•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세기 단종 유적의 정비와 <越中圖> (18th Century Commemorative Projects on King Danjong and Woljung-do (越中圖))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3.04
30P 미리보기
18세기 단종 유적의 정비와 &lt;越中圖&g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29호 / 72 ~ 101페이지
    · 저자명 : 김문식

    초록

    이 글은 단종과 그의 충절신이 복권되고, 그들에 관한 유적이 정비되며, 기록으로정리되는 과정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 글은 특히 장서각에 소장된 <越中圖>가 작성된 시기와 그 의미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숙종은 단종과 그 충절신들을 복권시켰고, 영조와 정조는 그들의 행적과 관련이있는 유적을 정비하고 이에 관한 기록을 남겼다. 18세기 국왕들의 이러한 조치는 세조의 발언과 행동을 근거로 해서였다. 세조는 단종을 죽게 한 주인공이었지만 단종을복권시키려다 사망한 死六臣들이 후일에 忠臣이 될 것임을 인정했다. 18세기의 국왕들이 단종과 그 충절신을 복권시키고 이들과 관련된 유적들을 정비한 것은 세조의뜻에 반하는 것이 아니라 세조의 盛德을 드러내는 조치가 되었다.
    18세기 국왕들이 단종의 충절신을 표창한 것은 자기 신하에게 君臣 의리를 지킬것을 요구하는 의미도 있었다. 특히 정조가 1791년에 내린 조치들은 사도세자의 복권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정조는 사도세자의 묘소인 顯隆園을 참배하는 길에 단종의 충절신에 대한 기록을 조사하라고 명령했고 이는 결국 장릉 배식단의 설립으로까지 이어졌다. 정조는 사도세자의 복권을 기획하는 가운데 이런 명령을 내렸다.
    1791년은 단종의 유적에 관한 기록이 전반적으로 정리된 시기였다. 이 해에 『莊陵史補』가 편찬되기 시작했고, 채색기록화인 <자규루도>와 <월중도>가 작성되었기 때문이다. 단종의 유적을 정비하고 관련 기록을 정리하는 작업에서는 영월부사 박기정의활동이 주목된다. 그는 사육신 가운데 유일하게 후손을 남긴 박팽년의 후손으로, 장릉 배식단의 첫 번째 제사에 참여했고, 영월부사로 부임하여 단종 유적을 정비하는일에 정성을 다하였다. 그는 <자규루도>와 <월중도>에 나타나는 건물과 유적들을 모두 정비했고, 『장릉사보』의 편찬에는 교열자로 참여했다.
    <월중도>는 단종의 모든 충절신을 표창하고 영월에 있는 단종 유적을 정비한 사실을 기록으로 남겨두려는 정조와 박기정의 의지가 담겨있는 작품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written to examine the course of restoring the honors of King Danjong and his loyal subjects. The paper also would aim to study the restoration of ruins and making records connected with King Danjong and his loyal subjects. I especially focus on the production period and the meaning of Woljung-do.
    King Sukjong had restored the honors of King Danjong and his loyal subjects,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had restored ruins and made records connected with King Danjong and his royal subjects. These kings’ commemorative projects on King Danjong in 18th century based on King Sejo’s comment and action.
    Even if King Sejo was the very person who had killed King Danjong, Sejo did acknowledge Sayuksin, the six subjects dying for King Danjong, would become loyal subject. So the 18th century kings’ commemorative projects were for betraying King Sejo’s saintly virtues.
    The 18th kings had appreciated King Danjong’s loyal subjects to ask their subjects loyalty. King Jeongjo’s commemorative project in 1791 was specially connected with restoring the honors of Crown Prince Sado. Jeongjo had ordered to search the records about King Danjong’s loyal subjects on the way to visit Crown Prince Sado’s tomb, it was concluded to built the altar for the loyal subjects close to King Danjong’s tomb. At that time, King Jeongjo was planning to restore the honors of Crown Prince Sado.
    1791 is the important year to make records about the restoration of ruins connected with King Danjong. It’s because Jangneongsabo was started to compile and the painting Jagyulu-do and Woljung-do were made in that year. I pay attention to Yeongwol governor Pak Gi-jeong on the point to restore ruins and make records connected with King Danjong. He was the descendant of Pak Paeng-nyeon who was the only person having son among Sayuksin. Pak Gi-jeong had participated in the first memorial ceremony for King Danjong’s loyal subjects and had restored ruins connected with King Danjong with all his hearts. He also had repaired or constructed the buildings and ruins appeared in Jagyulu-do and Woljung-do and he had copy-edited Jangneongsabo in obedience to King Jeongjo’s order.
    I think Woljung-do is the painting showing King Jeongjo and Pak Gi-jeong’s willingness to leave on record of the 18th kings’ commemorative projects on King Danj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