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풍류도(風流道)’, ‘화랑(花郞)’에 대한 의미론적·비교언어학적 연구 -‘風流道’와 ‘佛道’, ‘花郞’과 ‘和尙’의 대응 관계를 중심으로 (A Semantic and Comparative Linguistic Study of ‘Pungryudo (風流道)’ and ‘Hwarang (花郞)’)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4.03
34P 미리보기
‘풍류도(風流道)’, ‘화랑(花郞)’에 대한 의미론적·비교언어학적 연구 -‘風流道’와 ‘佛道’, ‘花郞’과 ‘和尙’의 대응 관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78권 / 27 ~ 60페이지
    · 저자명 : 한유수

    초록

    이 글에서는 구조주의 의미론의 의미 성분 분석 방법과 비교언어학의 음과 의미 대응관계 비교라는 방법을 응용·결합하여 ‘風流道’와 ‘花郞’의 의미를 탐구하였다.
    ‘風流’와 ‘花郞’은 ‘風月’, ‘花娘’처럼 유사한 음을 가진 다른 한자로 동일 대상을 표기한 점, 한자의 뜻풀이로는 해석이 되지 않는 점에서 음차표기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한자의 해석이 아닌 의미 성분을 찾아 뜻을 재구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風流道’의 의미 성분으로 [불교 국가의 종교], [불교도가 창설], [도(道)], [불도(佛道)], [불교 수행] 등이 추출되어 전체 의미는 ‘佛道’로 재구된다. ‘花郞’의 의미 성분은 ‘風流道’의 의미 성분인 [불도]를 포함해 [風流의 지도자], [미륵의 화신], [교육 책임자] 등이며 이를 통해 전체 의미는 ‘和尙’으로 재구된다.
    비교언어학적 분석을 통해 ‘風流’, ‘風月’은 ‘風+ㄹ’의 표기이며 이 음은 중국어의 ‘얼화(儿化)’, 반절식 표기(‘風月’)에 의해 ‘불’ 또는 ‘부얼’, ‘붤’로 재구 가능하고, 이 음은 ‘佛’의 음과 같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風流道’, ‘風月道’는 ‘佛道’의 신라(혹은 고려)어 표기로 보인다. 중국 방언과 『동국정운』서문 등을 근거로 ‘尙’과 ‘郞’의 음 사이에 대응 관계를 찾을 수 있으므로 ‘花郞’은 ‘和尙’에 대응하는 신라(혹은 고려)음이라 판단된다. 또한 ‘和([v-])’, ‘花’가 고어에서 순음으로 사용되었고, 현대 중국 방언에서도 ‘ㅂ’에 대응하는 [f-], [v-], [ɸ-] 등으로 나타나는 비율이 각각 32%(和), 43%(花)에 달하여 ‘和尙’, ‘花郞’은 티베트어 ‘브람(blama)’, 산스크리트어의 ‘브라마(Brāhma)’등과 대응 관계를 보인다. ‘花郞’을 뜻하는 ‘郞’도 티베트어와 몽골어 ‘브람’의 구어 형태인 ‘람(lɑm)’과 ‘僧’의 중국 방언 /ɬɐŋ/과 대응한다.
    결론적으로 미륵의 화신으로 떠받든 ‘花郞’을 중심으로 신라식 불교로 체계화된 것이 ‘風流道’라 판단된다. 진흥왕은 자신을 전륜왕에 비유해 ‘花郞’과 ‘風流道’를 통제하였고, 정치·종교를 아우르는 강력한 왕권을 소유하려 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searched the meanings of “風流道” and “花郞” by analyzing their semantic components within the framework of structural semantics and exploring sound-meaning correspondences within the framework of comparative linguistics.
    The pairs “風流”/“風月” and “花郞”/“花娘” represent the same objects with different Chinese characters that have the same or similar sounds, and they are difficult to interpret based on the meaning of the Chinese characters. For this reason, they appear to be phonetic borrowings. Therefore, we chose to reconstruct their meanings by identifying their semantic components rather than by interpreting the Chinese characters.
    The semantic components of “風流道” were extracted as [Buddhist countries], [founded by Buddhists], [Tao (道)], and [Buddhist Tao]; thus, the meaning of “風流道” was reconstructed as “Buddhism (佛道).” The semantic components of “花郞,” including the semantic components of “風流道” (e.g., [Buddhist Tao]), were extracted as “leader of the 風流道,” “incarnation of Maitreya,” and “head of education,” and the term means “Buddhist monk(和尙).” Turning t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風流” and “風月” are written as “風+ㄹ(l),” and this sound can be reconstructed as /pul/, /puʌl/ or /pwʌl/ based on the Chinese “儿化”, semi-syllabic(反切) transcription (“風月”), which corresponds to the sound of “佛.” Therefore, “風流道” and “風月道” are judged to reflect the Silla (or Goryeo) sound of “佛道.” Based on Chinese dialects and the preface of the Dongguk Jeongun (『東國正韻』), “尙” and “郞” correspond to each other, so “花郞” is judged to be the Silla (or Goryeo) sound corresponding to “和尙.” Furthermore, since “和” and “花” were recorded as representing a labial sound ([v]) Old Chinese, and the percentage of labial sounds such as [f], [v], and [ɸ] corresponding to “ㅂ” in modern Chinese dialects is 32% and 43%, respectively, “花郞” is thought to correspond to Tibetan “blama” and Sanskrit “Brāhma.” “花郞” also corresponds to the Chinese dialectal /ɬɐŋ/ for “僧” (“lama”), the colloquial form of Tibetan and Mongolian “blama (blam-a).” Based on this research, Silla Buddhism, which was systematized around 花郞, who was respected as an incarnation of Maitreya, is “風流道.” It is judged that King Jinheung sought to strengthen his royal authority by establishing himself as a chakravartin who controlled both 花郞 and 風流道.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