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억 속의 가공된 이미지: 蘇軾의 <偃松圖> – 김정희 <歲寒圖> 연구Ⅱ를 겸하여 – (Fictional image in memory – Su Shi’s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1.08
24P 미리보기
기억 속의 가공된 이미지: 蘇軾의 &lt;偃松圖&gt; – 김정희 &lt;歲寒圖&gt; 연구Ⅱ를 겸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42권 / 253 ~ 276페이지
    · 저자명 : 김현권

    초록

    현재 蘇軾이 그렸다는 작품이 상당수 전한다. 이 중에는 <木石圖>처럼 진작에 가까운 작품이있는가 하면 전칭작 중에는 본고의 주제와 관련하여 상하이박물관 소장 <枯木叢篠>, 베이징고궁박물원 소장 <古柏圖>, 그리고 개인 소장 <偃松圖>를 열거할 수 있다. 이 그림들에는 소식의 <목석도>에 보이는 세죽, 바위, 용과 뱀처럼 휘감긴 나무가 그대로 재현되어 있다. 이렇듯 진작으로통용될만한 요소를 간직하고 있으나 그림 속 나무는 비스듬한 정도가 아니라 지면에 닿을 정도로누운 형태이고 기둥이 직각에 가깝게 꺾였다. 이런 부자연스러운 형태가 전칭작에서만 강하게 보이는 점은 진작이 사라져 볼 수 없는 상황에서 「偃松屛贊」같은 문헌이 작품을 대신하였고 이 중에 ‘偃松’이라는 단어는 후대인들이 소나무를 비롯한 고목의 완전히 누운 이미지를 상상하게 해주었다.
    상기 작품들은 시대가 내려갈수록 상반된 평가를 받는데, <목석도>는 주목받지 못했으나 나머지 전칭작은 관심의 대상이 되어 갔다. 특히 원명대를 거치면서 소식이 <언송도>를 그렸다는 인식과 가공된 소식의 ‘언송’이미지가 나타났다. 그리고 乾隆帝(1736~1795)의 회화 애호와 궁정 수장품의 분류 사업 및 翁方綱(1733~1818)과 주변 인물의 소식 애호는 전칭작이 진작의 지위를 확실히 갖게 해주었다. 그러므로 이 전칭작은 이들의 가슴과 머릿속에 담긴 소식의 ‘언송’이미지를읽어낼 중요한 자료가 된다.
    한편 翁門 내에 구축된 ‘언송’이미지는 김정희를 비롯한 연행 구성원을 통해 조선에 유입되었고 김정희는 <언송도>를 남기기도 하였다. 그러나 <세한도>의 소나무 형태는 가공된 소식의 ‘언송’이미지와 관련성이 희박하다. 그는 『論語』「子罕」편을 조형화하기 위해 倪瓚 화풍에 고목죽석도 구성을 결합하여 <세한도>를 제작하였다.

    영어초록

    Currently, many works are said to have been drawn by Su Shi(蘇軾). Among them, there are work close to the authentic works, such as <Tree and Rock(木石圖)>, and among the attributed works related to the subject of this article, <Dry Tree and Bamboo(枯木叢篠)>, <Old Cypress Tree(古柏圖)>, and <Lying Pine Tree(偃松圖)>.
    The authentic works depict a thin bamboo, rock and snake-like winding tree in Su Shi’s <Tree and Rock>. In other words, it retains elements that can be used as authentic works, but the wood in the painting is not slanted but laid to the ground, and the columns are bent close to the right angle. This unnatural form appears only in the attributed works because literature such as 「Lying Pine Tree Painting’s Poem(偃松屛贊)」 has replaced works in the absence of the authentic works. In particular, the word “Lying Pine Tree(偃松)” in the literature allowed future generations to imagine fully laid images of old trees, including pine trees.
    These works received conflicting reviews as the times passed. Among them, <Tree and Rock> began to lose public interest, whereas, the rest of the attributed works received attention. In particular, the recognition that Su Shi painted <Lying Pine Tree> and the fictional Su Shi’s “Lying Pine Tree(偃松)” image appeared in the Yuan(元) and Ming(明) period.
    During the Qing(淸) period, the attribute works though the love of painting by Emperor Qianlong’s(乾隆帝, 1736-1795) and interest in Su Shi in the school of Weng, Fang-gang(翁方 綱, 1733-1818). Therefore, these attributed works are an important source of information to read the “Lying Pine Tree” image of what they think.
    Meanwhile, the “Lying Pine Tree” image, which was built in Weng School, was introduced to Joseon through Kim Jung-hee(김정희) and other members of the group, and Kim Jung-hee also drew <Lying Pine Tree(偃松圖)>. However, the shape of the pine tree in <Wintry Days(Sehan-do, 歲寒圖)> differs from the fictional Su Shi’s “Lying Pine Tree” image. He combined the Ni Zan(倪瓚) style of painting and the composition of the “Dry Tree, Bamboo, and Rock(枯木竹石)” to visualize the “Zihan(子罕)” chapter of <The Analect(論語)>.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