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기룡보살도(騎龍菩薩圖)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Bodhisattav‐Riding‐a‐Dragon‐Painting (騎龍菩薩圖) in Goryeo)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2.06
11P 미리보기
고려 기룡보살도(騎龍菩薩圖)의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58호 / 223 ~ 233페이지
    · 저자명 : 고승희

    초록

    이 글은 기룡보살도(騎龍菩薩圖) 양식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보살신앙은 일심으로 염불하면 현세의 고난에서 벗어날 수 있는 영험을 얻을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인도에서 아시아로 전파된 이래 불교에서 가장 중요하고 사랑받는 신앙이 되었다. 또한 보살신앙과 보살도상 등은 오랜 세월 동안 현지의 풍토와 문화에 섞이고 녹아들어 각 나라와 시대에 알맞게 특색 있는 종교 문화 형태와 예술 작품을 만들어냈다.
    특히 보살상을 그린 그림은 우리나라 고려시대에 대부분 아미타불상·석가모니불상·약사불상 등의 협시보살상으로 함께 그려지거나 독존도로 표현할 경우 수월관음도, 지장보살도 등으로 그려졌다. 한편 조선시대에는 불화 주제가 더욱 다양해지면서 보살도는 여러 가지 도상으로 비교적 많은 형식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보살상이 용을 타고 있는 형식의 기룡보살도는 현존하는 고려시대 불화에서는 찾아 볼 수 없으며 조선시대 불화도 19세기경에 조성된 용두관음도(龍頭觀音圖) 몇 점만이 남아있다. 따라서 지금껏 볼 수 없었던 기룡보살도의 도상과 양식 특징, 편년 등을 고찰하여 이 불화의 가치를 밝혀보았다.
    그 결과 비록 바탕 배경과 일부 도상 부분이 상당히 훼손되어 알아볼 수 있는 부분이 많지 않아 안타까웠지만 보살상의 특징적인 부분은 대부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보살상이 들고 있는 삼고저 지물과 보관 중앙에 장식한 봉황 등이 매우 독창적이어서 기룡보살상의 도상 명칭은 좀 더 자세히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양식 부분만 고려해보면 14세기경 불화의 특징과 개연성을 갖고 있으나 현존하는 우리나라 고려 후반기 또는 조선 전반기 불화에는 어떠한 사례가 남아있지 않다. 따라서 중국과 일본 등 여러 나라의 도상을 살펴보고 분석하여 기룡보살도의 국적 문제에서도 앞으로 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충분한 결론에 도달하지는 못하였으나 그래도 이렇게 특별하고 희소한 기룡보살도를 고찰하여 조형적으로 뛰어난 도상의 독창성과 세련되고 고상한 품격이 느껴지는 양식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도상의 양식을 바탕으로 14세기경 불화로 편년을 추정해 보았다는 것에 그 의미가 크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bout the Bodhisattav‐Riding‐a‐Dragon‐Painting(騎龍菩薩圖) style. Because the Bodhisatva Faith believed that if you meditate with one mind, you can obtain spiritual powers that will allow you to escape from the sufferings of this world, it became the most important and beloved belief in Buddhism since it spread from India to Asia. In addition, as the Bodhisattva Faith and Bodhisattva image have been mixed and melted into the local climate and culture for a long time, it created distinctive religious and cultural forms and works of art suitable for each country and era.
    In particular, most of the paintings depicting Bodhisattva images were drawn together with attendant Bodhisattva images such as Amitabha Buddha statue ‐ Sakyamuni Buddha statue ‐ Bhaisaiyaguru Buddha statue during the Goryeo era in Korea, or in the case of One Alone Painting, it was drawn as Water‐Moon Avalokitsvara Painting and Ksitigarbha Bodhisattva Painting, etc. Meanwhile, during the Joseon era, as Buddhist painting subjects became more diverse, Bodhisatva Painting appeared in relatively many forms with various images.
    However, the Bodhisattav‐Riding‐a‐Dragon‐Painting in the form of the Bodhisattva image riding on a dragon cannot be found in the existing Buddhist paintings of the Goryeo era, and for Buddhist paintings in the Joseon era, only a few of the Dragon‐head Avalokitsvara Paintings (龍頭觀音圖) created around the 19th century remain.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value of this Buddhist painting by examining the images, style characteristics, and creation year of the Bodhisattav‐Riding‐a‐Dragon‐Painting that had not been seen before.
    As a result, although the background and some images were considerably damaged, it was disappointing that there were not many recognizable parts, but most of the characteristic parts of the Bodhisatva image could be grasped.
    However, the fly whisk of esoteric Buddhist ritual objects holding the Bodhisattva image and the phoenix adorned in the center of the crown are very original, and so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mage names of the Bodhisatva‐riding‐a‐dragon painting in more detail. And considering only the style part, it has the characteristics and probability of Buddhist painting around the 14th century, but there are no existing examples of Buddhist painting in the late Goryeo era or the early Joseon era in Korea. Therefore, by examining and analyzing images from various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the nationality issue of the Bodhisattav‐Riding‐a‐Dragon‐Painting will also require further in‐depth research in the future.
    This study failed to reach a sufficient conclusion, but still, considering this special and rare the Bodhisattav‐Riding‐a‐Dragon‐Painting, was able to grasp the originality of the formatively outstanding images and the style in which a refined and noble dignity was felt. And it has a great meaning in that it estimated the year of Buddhist painting around the 14th century based on the style of the im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