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유 과정 가운데 나타난 반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의 권력과 통치성 관점을 중심으로 (Critical Review of Anti-Multiculturalism in the Process of Accepting Korean Multiculturalism - Focusing on Michel Foucault’s Perspective of Power and Governanc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9.12
30P 미리보기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유 과정 가운데 나타난 반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의 권력과 통치성 관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사상 / 187호 / 471 ~ 500페이지
    · 저자명 : 김미연

    초록

    본 소고는 한국적 다문화 상황을 현실적으로 고려하며 포스트모더니즘의 선구자인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의 권력과 통치성에 관한 사유체계를 점검하고, 푸코의 관점에서 한국적 다문화주의 전유 과정 가운데나타난 반다문화주의 담론에 대하여 비판적 검토를 한 후에 나아가 한국다문화 사회를 위한 신학적 고찰을 하고 한국의 다문화주의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먼저 푸코가 제시하는 생명 권력은 살게 ‘하거나’ 죽음속으로 ‘몰아가는’ 권한이다. 한국 사회는 이제 반다문화 담론의 틀과 규범이 권력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고착화되어 영원할 것 같은 반다문화 담론이 ‘권력의 산물’일 수 있고 허구적이고인위적인 장치일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동시에 한국인이 아닌 사람과 한국인이라는 이항적인 ‘반다문화주의’ 등식으로 인하여 생존과 삶의 가능성으로부터 소외되고 심지어 추방당하는 이들이 구조적으로발생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것은 단지 삶이 불편할 거라는 막연한 논의가 아니라 언제든 생존권의 문제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푸코는다른 포스트모더니즘 이론가들처럼 권력에 대하여 비판적이면서 해체해야 할 배제의 대상으로 간주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사회를 움직이는권력 자체를 해체하고 다른 대안으로서 보충제(supplement)를 찾거나 대체재(substitute)를 발견하기까지 우리 사회는 권력을 무시하고 권력을 해체하라는 푸코의 권고에 순응할 수 없다. 그렇기에 본 소고는 푸코의 권력 이론에 대한 전복적 해석을 제안하면서 한국 사회에 대한 비판적인성찰과 함께 타인에 대한 환대(hospitality)를 수행해야 하며, 이러한 환대를 실천할 수 있는 기독교와 교회가 변형자(transformer)와 번역가(translator)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때 한국 다문화 사회와 한국 교회의 미래를 담당해야 할 의무와 책임을 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영어초록

    This paper considers the Korean multicultural situation realistically, examines the system of thinking about the power and governance of Michel Foucault, a pioneer of postmodernism, and discusses anti-multiculturalism discourse in the process of accepting Korean multiculturalism from Foucault’s point of view. After a critical review, I would like to suggest a theological proposal for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and make suggestions for Korean multiculturalism. Bio Power is the ‘power’ to make live. In addition, Bio Power is the power to let some die. Korean society should now pay attention to how the framework and norms of anti-multicultural discourse relates to power, and the fact that anti-multicultural discourse is likely to be a ‘product of power’ and a fictional and artificial device. At the same time, multicultural people should not be alienated by the binomial equation of Koreans and non-Koreans. It is not just a vague argument that life will be uncomfortable, but it is always a matter of survival rights. Foucault, like other postmodern theorists, considers the power an object of exclusion that must be critical and dismantled. But in reality, our society cannot comply with Foucault’s recommendation to dissolve power until we find a supplement or substitute as an alternative. For that reason, this paper proposes a subversive interpretation of Foucault’s theory of power and hospitality to others with critical reflection on Korean society. Besides I believe that Christianity and churches that must perform this hospitality to fulfill their obligations and responsibilities for the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and for the future of the Korean church. And so as to practice it, they should serve as transformers and translat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