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엘프리데 옐리네크의 『피아노 치는 여자』에서의 외설적 환상과 실재 - 슬라보예 지젝의 라캉 독해를 중심으로 (Das obszöne Phantasma und Das Reale im Elfriede Jelineks Roman Die Klavierspielerin - Im Hinblick auf Slavoj Žižeks Lacanianische Lektür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7.03
28P 미리보기
엘프리데 옐리네크의 『피아노 치는 여자』에서의 외설적 환상과 실재 - 슬라보예 지젝의 라캉 독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어독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어독문학 / 58권 / 1호 / 127 ~ 154페이지
    · 저자명 : 이진숙

    초록

    본고는 슬라보예 지젝이 라캉의 정신분석에서 강조하는 ‘환상’과 ‘실재’ 개념으로 엘프리데 옐리네크의 『피아노 치는 여자』를 분석하고, 궁극적으로 작가의 글쓰기가 이데올로기적 환상을 폭로하고 비판하는 작업임을 지젝이 정치적 의미에서 수용하는 라캉의 ‘환상 가로지르기’ 이론을 바탕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지젝에 따르면 라캉의 환상은 타자의 수수께끼 같은 욕망에 대한 질문인 ‘케 보이 Che Vuoi’ 즉, ‘당신이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와 같은 질문과 연관된다. 따라서 욕망은 근원적으로 주체의 욕망이 아닌, 타자의 욕망 즉, ‘타자가 나로부터 무엇을 원하는가?’로부터 출발한다. 지젝에 따르면, 이러한 불가해한 타자의 욕망에 대한 답을 구하는 방식이 바로 환상하기다. 옐리네크의 『피아노 치는 여자』에서 에리카와 클레머가 서로에게 갖는 욕망은 이러한 외설적 환상을 통해 구성된다. 여기에 상징화에 저항하는 외상적인 현실로서 ‘실재’는 텍스트에서 에리카의 비상식적인 성적 행위와 자해를 설명하기 위한 적절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해준다. 하지만 텍스트는 사회적 환상에 의해 구성된 남성과 여성의 조화로운 성적 관계도 이상화된 남성과 여성의 모습도 보여주지 않는다는 점에서 지젝이 이데올로기 분석으로 발전시킨 ‘환상 가로지르기’의 독해가 가능하다. 궁극적으로 『피아노 치는 여자』는 수용자에게 남녀관계에 대한 실재 차원의 현실을 대면케 함으로써 남성과 여성에 관한 이데올로기적 환상에서 벗어나 이전과 다르게 인식되는 주체의 본질을 문제시하게 한다.

    영어초록

    Diese vorliegende Arbeit versucht, Elfriede Jelineks Die Klavierspielerin mit den Begriffen ‘Das Phantasma’ und ‘Das Reale’ zu analysieren, die Slavoj Žižek in der lacanianischen Psychoanalyse hervorhebt. Damit wird im Grunde die Möglichkeit ‘des Durchqueren des Phantasmas’ im Text diskutiert, welche Žižek als ideologische Analyse in Lacanianischer Lektüre entwickelt. Mit den Begriff ‘das Phantasma’ bezeichnet Žižek ein imaginäres Szenario, das eine Antwort über das rätselhaften Begehren des Anderen gibt, das sich auf Lacans ‘Che Vuoi’, d. h. ‘was willst du?’, bezieht. Im Jelineks Text wird das Begehren der Hauptfiguren ‘Erika’ und ‘Klemmer’ auch durch diese obszönen Phantasmen dargestellt. Dadurch kann das exzessive Handeln Erikas z. B.: sexuelle Perversion, Voyeurismus und Selbstverletzung, durch ‘das Reale’ erklärt werden, das als traumatische Realität definiert wird, die der Symbolisierung widersteht. Der Text Jelineks wird aber vor allem durch die These ‘das Durchqueren des Phantasmas’ lesbar. Weil hier keine harmonische sexsuelle Beziehung zwischen Mann und Frau gezeigt wird. Und auch keine Idealisieurung von Mann und Frau, die in den gesellschaftlichen Phantasmen gebildet wird, sondern versucht wird den traumatischen Kern der männlichen und weiblichen Existenz auf eine Ebene des Realen zu übertragen. Diese Darstellung dient aber nicht nur dem Schock und dem Schreken für den Rezipienten. Stattdessen hinterfragt sie zugleich Mechanismen der Realität, welche die Substanz der Existenz mit dem gesellschaftlichen Phantasma verhüllt und unterdrückt. Der Rezipient kann daher ein Phantasma durch den Text durchschreiten, indem er das Phantasma in der Realität erkennen und es problematisieren kann. Z.B. in dem er sich fragt, was anders als die bekannte - die wirkliche Substanz männlicher und weiblicher Exsitenz i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어독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