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 코로나19 판데믹 기간 발생한 입원을 요하는 소아청소년 지역사회폐렴의 원인과 위험 인자 (Etiology and Risk Factors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in Hospitalized Childre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South Korea)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3.08
13P 미리보기
국내 코로나19 판데믹 기간 발생한 입원을 요하는 소아청소년 지역사회폐렴의 원인과 위험 인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소아감염학회
    · 수록지 정보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30권 / 1호 / 20 ~ 32페이지
    · 저자명 : Kang Hae Min, Song Seung Ha, Ahn Bin, Park Ji Young, Kang Hyunmi, Kwak Byung Ok, Kim Dong Hyun, Lee Joon Kee, Choi Soo-Han, Choi Jae Hong, Choi Eun Hwa, Yun Ki Wook

    초록

    목적: 국내 소아청소년에서 지역사회폐렴의 원인병원체 분포에 대해 잘 설계된 임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코로나 19 판데믹 기간 동안 국내 소아청소년에서 진단된 입원을 요하는 지역사회폐렴의 역학과 위험인자를 파악하고 지역사회폐렴의치료 방침 결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2021년 1월 1일부터 2022년 2월 28일 사이에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 지역사회폐렴으로 입원한 소아청소년 및 2022 년 1월과 2월 전국 7개 대학병원에 지역사회폐렴으로 입원한 소아청소년의 임상 정보를 후향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해당 연구 기간 동안 참여 기관들에서는 폐렴 진단명을 임상 증상과 진찰 소견, 그리고 흉부방사선 소견에 대해 각각 엄격한기준을 적용하고 이를 종합해서 선별적으로 넣도록 하였고, 이들에 대해 추후에 의무기록 분석을 통해 다시 한번 폐렴 진단의 적절성을 평가하여 최종적으로 연구 대상자 여부를 결정하였다.
    결과: 코로나19 유행기의 14개월 동안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 지역사회폐렴으로 입원한 소아청소년은 총 91명이었다. 이중 5세 이하가 68.1%로 높은 비중을 보였고, 79.1%는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총 95건의 지역사회폐렴 중 호흡 보조가 필요했던 경우는 70.5%였으며, 인공호흡기는 20.0%에서 적용되었다. 최종적으로 5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고 모두 면역저하 혹은 신경계 기저질환이 있었다. 위험인자분석에서도 신경계 기저질환과 면역저하상태는 각각 호흡 보조(P=0.003) 및사망(P=0.014)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검출된 호흡기 병원체의 54.7%는 바이러스였고 그 중 리노바이러스의 비율이35.9%로 가장 높았다. 2022년 초 2개월 간 8개 기관에서 지역사회폐렴 진단 하에 퇴원한 소아청소년은 총 169명이었고, 이들 중 92.3%에서 한 개 이상의 호흡기바이러스가 검출되었으며 대부분 respiratory syncytial virus (79.8%)였다.
    결론: 코로나19 판데믹 기간에도 국내 소아청소년들이 주로 계절성 호흡기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 지역사회폐렴으로 입원치료를 받았다. 주요 세균성 폐렴의 원인균들은 아직 유행이 없으나 지속적인 임상 감시와 연구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tiology and risk factors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CAP) requiring hospitalization in Korean children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Methods: Clinical information of children admitted with CAP to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SNUCH) between January 1, 2021, and February 28, 2022, was retrospectively collected and analyzed. In addition, the etiologic diagnosis and demographic data of children with CAP who were discharged at the other seven hospitals between January and February 2022 were collected. Pneumonia was diagnosed using strict criteria comprising clinical symptoms, physical examination findings, and chest radiographic findings.
    Results: Among 91 children hospitalized with CAP at SNUCH during the 14-month period, 68.4% were aged <5 years and 79.1% had underlying diseases. Among the 95 CAP cases, respiratory assistance was required in 70.5%, and the use of a ventilator was required in 20.0%.
    A total of five patients expired, all of whom were either immunocompromised or had underlying neurological diseases. Neurological diseases and immunosuppress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spiratory assistance (P=0.003) and death (P=0.014). A total of 55% of the detected respiratory pathogens were viruses, the most common of which was rhinovirus at 35.9%. Among the 169 children hospitalized for CAP at the eight institutions, ≥1 respiratory virus was detected in 92.3%, among which respiratory syncytial virus (79.8%) was the most prevalent.
    Conclusions: Eve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Korean children were hospitalized with CAP caused by seasonal respiratory viral pathogens. Although atypical and pyogenic bacteria were not detected, continuous clinical monitoring and further prospectiv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