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학치료적 관점에서 본 <덴동어미화전가> -치유의 과정에 주목하여- ( from the Point of Veiw of Literary Therapeutics- focused on the process of healing -)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7.02
37P 미리보기
문학치료적 관점에서 본 &lt;덴동어미화전가&gt; -치유의 과정에 주목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문화연구 / 39호 / 33 ~ 69페이지
    · 저자명 : 김은희

    초록

    이 글은 <덴동어미화전가>를 대상으로 문학치료의 메커니즘이라고 할 수 있는 공감, 카타르시스, 통찰의 세 요소가 작동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경험하고 관찰해 보았다. <덴동어미화전가> 텍스트 내부로 들어가 놀이의 과정과 향유 및 소통의 양상을 정리·제시해 보았으며, 화자 및 주요 인물 그리고 참여여성들과 독자를 중심으로 그 치료과정 및 양상을 실증적으로 조목조목 짚어보았다. 즉 참여자들의 치유과정을 자기서사 서술에 초점을 맞추어, (1) 덴동어미, (2) 청춘과부, (3) 화자 및 화전놀이 참여여성 그리고 독자의 세 층위로 살펴보았다. 조선후기 여성들이 화전가 창작과 향유, 전승을 통해 받았을 위로와 격려를 구체적으로 제시해 봄으로써 그 현재성을 확인해 본 것이다.
    덴동어미가 과거를 불러와 화전놀이 참여여성들 앞에 공개하고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자신을 발견하고, 운명적 고통에서 벗어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청춘과부 또한 화전놀이 과정에서 덴동어미의 삶을 경험·이해하고, 고독과 슬픔에서 벗어나며, 덴동어미의 일생담, 즉 작품서사와 자기서사의 통합을 통해 치유에 이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덴동어미의 일생담은 청춘과부 외에도 화자 및 화전놀이 참여여성들, 독자들 모두에게 치유의 기회를 중재한다. 부끄러움에도 불구하고 정직하게 과거에 직면하고 결핍을 이야기함으로써 확장된 공감과 카타르시스, 깊어진 통찰에 의해 참여자 모두를 치유하고 있는 것이다. 자기서러움의 토로와 놀이는 덴동어미와 청춘과부에게 정직함의 훈련이었으며 자기 암시였고, 궁극적으로는 자기를 확장시켜 치유에 이르게 하였던 것이다.
    여기서 자발성과 창의성이 나를 치유하게 하고 나아가 남을 치유하는 힘이 있음도 확인된다. 삶의 문제는 결국 자기 자신에 의해 해결될 수밖에 없음을 화전놀이 참여여성들과 독자들에게 인식시켜준다.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불가해한 운명의 고통, 보편적인 불행의 치유경험을 공유하게 한다. 현대를 살아가는 독자로서 화전놀이와 화전가의 심리치료 메커니즘의 작동과정을 보면서 문학치료제로서의 현재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 <덴동어미화전가>는 치유적 문학 텍스트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음이 확인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has examined and observed the specific process of the three elements like empathy, catharsis and insight, which are the mechanisms of literary therapeutics. I went into the text of <Dendongeomihwajeon-ga> and organized the process of play and aspects of enjoyment and communication. I also empirically examined the process and aspect of the therapeutics focused on a narrator, main characters, participating women and readers one by one. In other words, I looked over the process of the healing by three layers: (1) Dendongeomi[Dendong mother], (2) young widow, (3) narrator and participating women of Hwajeon play. I have confirmed the nowness by presenting the comfort and encouragement that wom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would have received through the creation, enjoyment and transmission of Hwajeonga.
    Dendongeomi talked about her past in front of the participating women of Hwajeon play. I could find out that Dendongeomi discovered herself and escaped from the fateful pain through the story. I also find out that the young widow could have healed solitude and sorrow through the integration of the epic of herself and the epic of the work. The story of the Dendongeomi’s life provided opportunities to heal for the narrator, readers and participating women besides the young widow. In particular, despite her shame, she honestly faced to her past and talked about her deficiency and therefore healed all the participants by her extended sympathy, catharsis and deep insights. The exposing her sorrow and play were a training of honesty and a Self-suggestion to Dendongeomi and the young widow.
    The spontaneity and creativity can heal oneself and also give the strength to heal others. Their healing process makes participating women and readers aware of the fact that the problem of life is inevitably solved by oneself. It allows us to share the healing experience from the fatal sufferings and the universal unhappiness. As a reader of modern life, I could confirm the present value of Hwajeonga and Hwajeon play as a literary therapeutics. As mentioned above, it is confirmed that the <Dendongeomihwajeonga> has enough value of a literary text for heal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