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알제리 만화의 형성과 전개 : <엠키데슈M’quidech>로부터 FIBDA까지 (Naissance et actualité de la BD algérienne : de  au  FIBDA)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7.05
22P 미리보기
알제리 만화의 형성과 전개 : &lt;엠키데슈M’quidech&gt;로부터 FIBDA까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프랑스학회
    · 수록지 정보 : 프랑스학연구 / 80호 / 147 ~ 168페이지
    · 저자명 : 김세리

    초록

    알제리 만화의 역사는 1962년 알제리 독립 이후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1980년대로 대변되는 영광의 시절을 거치며 슬림과 아흐메드 하룬과 같은 만화계의 거장들을 배출했다. 그러나 테러리즘이 창궐하게 된 암흑기인 1992년부터 암흑의 시기를 맞이하면서, 그리고 많은 훌륭한 만화가들의 죽음으로 인해 알제리 만화가들은 그나마 스스로 터득했던 표현 기법들을 대부분 상실했다. 게다가 생존한 다른 만화가들이 자국을 등지고 프랑스나 미국 등으로 이주해 활동하게 된 탓에 만화 매체의 성장 과정은 잠시 단절된다. 이같은 상황에서 2008년에 열린 알제 국제 만화 페스티벌 FIBDA는 알제리 만화의 부흥기를 상기시키고 이를 통해 다시금 알제리 만화에 힘을 불어넣을 수 있다는 희망을 보여주는 축제였다고 할 수 있다. 이 행사 속에는 그간 알제리 만화가 겪어 온 온갖 고난과 자유를 향한 갈구가 담겨 있다. 여기에는 또한 만화 매체에 대한 독자들의 기대와 열정이 반영되었고, 매해 알제리를 찾는 젊은 작가들과 그들 작품과의 만남을 통해 이 희망과 염원은 비로소 결실을 맺어가는 듯하다. 유럽권 국가들에 비해 만화 산업의 판로가 원활하지 않은 마그레브 지역에서, 알제리 만화는 신세대 작가들의 도전정신과 더불어 만화계의 진정한 자주적 독립을 꿈꾸고 있다. 이러한 활동들에 힘입어 2013년, 앙굴렘 국제 만화 페스티벌에서는 알제리의 역사를 함께 이끌었던 50년간의 알제리 만화사를 회고하는 특별한 장을 마련하였다. 또한 같은 해 4월에는 아랍 세계 문화원(Institut du Monde Arabe)에서, 독립 이후로부터 잠깐의 전성기였던 1980년대를 뒤이은 만화의 암흑기까지의 알제리 만화의 역사를 전시한 바 있다.

    영어초록

    Derrière l’attentat contre Charlie Hebdo en janvier 2015, il y avait de jeunes Français d’origine algérienne. Cet événement tragique ne s’est pas seulement terminé par la mort des criminels, mais est devenu aussi une source de débats. Le sujet principal des discussions qui ont suivi traitait de la liberté d’expression et on a discuté, divisé en deux camps, les ‘Charlie’ et les ‘anti-Charlie’, pour savoir si cette liberté d’expression a lieu d’être lorsqu’elle provoque chez certains un sentiment d’humiliation ou de mépris.
    Dans ce contexte, nous poserons ces questions : existe-t-il une sorte de bd algérienne apparentée à Charlie Hebdo?  Jusqu’où va la liberté d’expression quand il s’agit d’images visuelles en Algérie ? De ce point de vue, nous allons examiner la naissance de la bd algérienne et son actualité, en investiguant le processus d’établissement d’une identité à travers ce médium.
    La bd algérienne renaît en fait d’un passé dense et agité. Dès l’indépendance du pays en 1962, elle avait connu ses pionniers, notamment Slim et Ahmed Haroun, qui avaient fait de l’Algérie le phare du 9e art au Maghreb. Après un âge d’or dans les années 1980, la bd algérienne s’est éteinte dans les années 1990. Les années noires du terrorisme, à partir de 1992, ont bouleversé toute la création dans le pays. Plusieurs caricaturistes et dessinateurs ont été assassinés. Le seul moyen de survivre était alors de s’exiler.
    A la fin des années 2000, la bd algérienne renaît lentement de ses cendres, notamment grâce au FIBDA (Festival International de la Bande Dessinée d’Alger) créé en 2008. Ce festival voit apparaître de jeunes auteurs qui ont pour ambition de faire revivre une bd populaire, tels Said Sabaou et Salim Brahimi. Ils passent souvent par la case manga et créent un nouveau style intitulé ‘DZmanga’, autrement dit le manga algérien – DZ est l’abréviation de Djazaïr. Après le grand succès du FIBDA 2013, une exposition au festival d’Angoulême de 2013, a retracé 50 ans d’histoire mouvementée de la bd en Algérie, de même qu’une autre exposition s’est déroulée à l’Institutdu Monde Arabe en avril 2016. Indépendance, années 80, « décennie noire » (années 90), toutes ces périodes ont fortement marqué le 9e art algérien qui a souffert mais qui est toujours debout.
    Revenons maintenant aux premières questions soulevées dans notre article. À travers l’examen de l’histoire de la bd algérienne, nous pouvons arriver à cette conclusion : les causes à l’origine de l’attentat contre Charlie Hebdo ne venaient pas seulement du conflit entre culture islamique et culture française, mais aussi des questions autour de la liberté d’expression. C’est-à-dire que cet événement révèle l’opposition entre les gens qui protègent la liberté d’expression totalement et ceux qui n’en veulent pas ou ne la conçoivent que limitée, au-delà de tout conflit dérivé de questions de religion ou de race. L’histoire de la bd algérienne nous montre bien l’histoire de la révolte contre la pression politique et pour la liberté d’expression. Les dessinateurs algériens avaient résisté pour préserver cette liberté dans l’ombre de l’histoire. Comme dans la bataille d’arguments entre « Charlie » et « Anti-Charlie », la question du degré de permissivité pour la liberté d’expression n’est en réalité pas claire. Cependant, au vu du passé et du potentiel de la bd algérienne, il semble que son avenir peut être envisagé avec optimis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