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지자의 덫의 수사학 비교 연구 - 사무엘하 12장과 열왕기상 20장을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n the Prophet's Rhetorical Entrapment - Focusing on 2 Samuel 12 and 1 Kings 20 -)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0.09
23P 미리보기
선지자의 덫의 수사학 비교 연구 - 사무엘하 12장과 열왕기상 20장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71호 / 229 ~ 251페이지
    · 저자명 : 염명희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거의 비슷한 “덫의 수사학”을 구사하고 있는 두 본문(삼하 12:1-15a; 왕상 20:35-43)의 비교 분석을 통해서 덫의 수사학의 기능을 살펴보고 적용 점을 찾아보는 데 있다. 덫의 수사학은 선지자가 심판의 메시지를 청자에게 잘 전달하기 위해 사용한 독특한 수사 방식으로, 나단 선지자가 다윗을 책망하고, 한 익명의 선지자가 아합 왕을 규탄하는 두 내러티브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두 왕 모두 선지자가 들려준 이야기를 제3자의 이야기인 줄 알고 듣고 있다가 객관적인 판결을 내리게 되는데, 나중에야 그 판결이 스스로에게 향하고 있음을 충격적으로 직면하면서 통렬한 반전을 이룬다. 비유와 심판의 메시지를 들은 두 왕의 반응과 결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다윗은 회개와 회복의 길로 나아간 반면, 아합은 분개하며 멸망의 길로 나아갔다.
    필자는 두 내러티브의 구조와 핵심 단어를 살펴봄으로 덫의 수사학이 전환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선, 나단의 수사학적 덫은 다윗의 은폐된 죄를 드러내고 여호와와 소통함으로 회복의 단계로 나아가는 전환의 역할을 한다. 나단이 가난한 자의 암양 비유에 사용한 “라카흐”(취하다)와 “샤카브”(눕다) 동사는 다윗이 밧세바를 취하여 동침할 때도, 또한 하나님이 다윗의 아내를 취하여 이웃에게 주시겠다는 심판의 메시지에도 사용되어 비유와 범죄, 심판까지도 연결하여 소통을 시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익명의 선지자 역시 전쟁에 승리하고 돌아오는 아합에게 비유와 심판의 메시지를 통해서 죄를 지적하고 죽음을 예고함으로 전환의 기회를 제공한다. 아합은 아람과의 전쟁을 “코아마르 아도나이”(여호와께서 이렇게 말씀하셨다)대로 순종하여 승리하였지만(왕상 20:1-30), “이쉬 헤르미”(여호와께서 심판하시기로 작정한 사람)인 벤하닷을 놓아주었기 때문에 죽을 수밖에 없다는 심판의 메시지를 듣게 된다(왕상 20:31-43). 마지막으로 필자는 두 선지자의 덫의 수사학을 통해 배운 바대로 설교자가 청중으로 하여금 말씀과 소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적용 점을 모색해볼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unction of rhetorical entrapment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wo texts(2 Sam. 12: 1-7; 1 Kgs. 20: 35-43), which use structurally almost similar the rhetorical entrapment and to find an application point. The rhetorical entrapment is unique rhetoric used by prophets to convey the message of judgment to listeners, found in two narratives where Nathan the prophet reproves David and an anonymous prophet condemns King Ahab. Both kings, listening to the story told by the prophet as being told by a third party, and then make an objective judgment. Later, the shocking confrontation that the judgment is towards themselves turns into a devastating reversal. The response and results of the two kings who listened the parable and the message of judgment were different. David went on the path of repentance and recovery, while Ahab indignantly went on the road to destruction.
    By examining the structure and key words of both narratives, I can see that the rhetorical entrapment is playing a role in conversion. First of all, Nathan's rhetorical entrapment serves as a turning point, revealing David's concealed sin and communicating with Jehovah to the stage of recovery. The verbs “lakhakh”(take) and “shakab”(lie down) that Nathan used in the parable of the ewe of the poor man repeat when David takes Bathsheba and sleeps with her, and also in the message of judgment that God will take David's wives and give them to his neighbor. It seems that they try to communicate by connecting parables, crimes, and even judgments. An anonymous prophet also provides Ahab who won the war with an opportunity for conversion by pointing out sin and foretelling death through the message of parables and judgment. Ahab triumphed in the wars with Aram by obeying "Koammar Adonai"(Jehovah said, [1 Kings 20: 1-34]). However he hears the message of judgment that he must die because he has released Benhadad, the “Ish Hermi”(whom Jehovah has determined to judge, [1 Kings 20: 31-43]). Finally, as I learned from the rhetorical entrapments of the two prophets, I was able to explore the application points to enable the preacher to communicate with the Word to the aud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