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중 문화간 의사소통을 위한 중국 사회문화 요소 연구 - 중국 초등학교 의무교과과정 『品德与生活』를 중심으로 (Study for Korea and China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Chines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5.11
24P 미리보기
한중 문화간 의사소통을 위한 중국 사회문화 요소 연구 - 중국 초등학교 의무교과과정 『品德与生活』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언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언어연구 / 60호 / 397 ~ 420페이지
    · 저자명 : 맹주억, LU YUHUA

    초록

    2001년, 중국이 WTO (세계무역 기구)에 가입 이후 경제 강국으로 성장하면서 한국을 포함한 많은 나라에서는 중국어 열풍이 불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외국인 학습자들이 장기간 중국어를 배웠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원어민과의 의사소통을 함에 있어서 여전히 많은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언어요소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생겨나기도 하지만, 중국 문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면, ‘解放(해방)’이라고 했을 때, 한중 양국 사람들의 이해가 다르다. 중국 사람들에게 있어 ‘解放’이란 ‘중국 혁명의 승리와 신 중국의 수립’을 가리키고, 구체적인 시기는 1949년 10월 1일이다. 반면 한국 사람들에게 ‘해방’은 ‘일본 제국주의자들에게 빼앗겼던 나라의 주권을 다시 찾은 날로’ 생각한다. 즉 ‘광복절’을 연상하게 되며, 구체적인 시기는 1945년 8월 15일이다. 따라서 ‘解放前(해방 전)’이라고 했을 때 중국 사람은 1949년 10월 1일 전으로 생각하고 한국 사람은 1945년 8월 15일 전으로 생각한다. ‘解放’이라는 요소는 한중 양국 사라들의 문화 간 의사소통의 장애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중국인이라면 일반적으로 다 아는 상식이지만, 외국인으로서는 생소한 사회· 문화 요소들을 정리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요소들을 정리하기 위해서는 중국인들의 기본상식의 범위를 정하는 것이 관건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본격적으로 기본상식을 접하는 것은 초등학교부터이기 때문에, 외국인들이 중국인의 기본상식을 배우는 첫 단계로 초등학교 교재에 출현한 사회·문화 요소들을 먼저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중국 의무 교과과정인 ‘品德’시리즈 교재 중 초등학교 1,2학년의 교재인 『品德与生活』에 출현한 중국 사회문화 요소를 정리, 분류, 해석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우선 교재에 출현한 중국의 사회 문화요소들을 정리한 후, 각 분야 별로 분류를 할 것이다. 다음으로 그에 해당되는 한국어 대응어를 찾고, 각 요소들의 생성원인과 중국 특유의 배경 등 여러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로써 제2언어로 중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중국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원어민들과 의사소통을 할 때 장애 요소들을 줄이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본고에서 제시한 여러 요소들을 이해함으로써, 중국의 문화, 특히 의사소통 문화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다.

    영어초록

    After China joined the WTO(World Trade Organization) in 2001 and became an economic powerful country, there has been a Chinese craze in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Although foreign language learners have learned Chinese for a long time, there are many problems when communicating with native Chinese. These problems occur due to the lack of knowledge in linguistic components, and also because of insufficient understanding in Chinese culture. For instance, the word ‘解放(liberation)’ is differently understood by Koreans and Chinese. For Chinese, ‘解放’ means 'the establishment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specifically in 1941 October 1. For Koreans, however, 'liberation' refers to 'gaining sovereignty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In other words, it reminds of the 'National Liberation Day', specifically 1945 August 15. Thus, when saying ‘解放前(before liberation)’, Chinese acknowledge it as before 1949 October 1, Koreans as before 1945 August 15. For both Koreans and Chinese, ‘解放’ can be an obstacle when communicating.
    Therefore, this writing will analyze the social and culture components that can be unfamiliar for foreigners, but basic knowledge for the Chinese. In order to arrange these components,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range of Chinese people's basic knowledge. Generally, as things learned from compulsory education takes account most part of people's basic knowledge, foreigners should understand the social and culture components that appears in elementary school books. This is the first step to learn the Chinese basic knowledge. This writing will orgainize, categorize, and analyze the social and culture components of 『品德与生活』, the compulsory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year 1 and 2 students, among the series of ‘品德’.
    It will first arrange the Chinese social and culture components that appeared in the textbook. Next, find the Korean word that corresponds to it, and explain some points on each components, such as the reason for its creation and the background information. This will help those foreigners, who learn Chinese as their second language, to gain enough understanding in Chinese culture, and reduce the hardship when communicating with native Chinese. Moreover, this writing will offer a chance to get closer to the Chinese culture, especially in communicating culture, by understanding the compon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언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