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최초의 사대부상, 최덕지(崔德之, 1384-1455) 초상화의 전승과 현황 (A Study on Choi Deok-ji(1384-1455) Portrait, the Earliest Extant Literati Portrait of Joseon Period)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1.02
32P 미리보기
조선시대 최초의 사대부상, 최덕지(崔德之, 1384-1455) 초상화의 전승과 현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41권 / 39 ~ 70페이지
    · 저자명 : 유미나

    초록

    연촌(烟村) 최덕지(崔德之, 1384-1455)는 조선 태종~문종 연간에 활동한 문신으로서 특히 세종조의 성세(盛世)에 관료를 지내면서 집현전 학사들과 교유하며 덕망이 높았던 인물이다. 그는 문종 즉위 후에 예문관 직제학을 지내다가 노령을 이유로 사퇴하고 전라도 영암으로 내려가 학문에몰두하였다. 최덕지 사후에 그의 초상화는 그의 강학처였던 존양루에 봉안되었고, 이후 사당과 서원의 건립이 이어져 이모본이 봉안되면서 후손 및 사림의 첨배 대상으로 존숭되었다.
    최덕지 초상화는 조선시대의 사대부상 중 가장 이른 작품으로 일찍이 학계의 주목을 받았고, 영암 영보리 영당의 <최덕지상 정본>과 <유지초본>은 1975년 보물 제594호로 지정되어 보존되고있다. 그러나 최덕지 초상은 영보리 영당에 2 점이 더 있고 임실 주암서원에도 1본이 있어 총 5점이지만 이들에 대한 면밀한 고찰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문헌을 통해 최덕지초상화의 전승 내력을 살펴보고, 이어 현존하는 5점의 작품에 대한 양식 고찰을 행하였다.
    먼저 최덕지 초상화에 표현된 복식을 보면 직령(直領)의 청포를 걸치고 허리에 홍대(紅帶)를 둘렀는데 이는 고려 말의 유풍이 있는 공복(公服)에 해당되고, 머리에 착용한 관모(冠帽)는 일종의오건(烏巾)으로 단추와 같은 돌기가 있는 독특한 규식인데 이는 사복(私服)에 속하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서안을 앞에 놓고 독서하는 선비의 모습을 표현한 도상이다. 이는 고위 관료를 지낸 최덕지의 위상을 드러낸 동시에 향리에 은거한 선비의 이미지를 복합적으로 표상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최덕지 초상화의 전승 내력을 살필 수 있는 곳으로 첫째, 최덕지가 중앙 관료직을 사임하고 은퇴하여 살았던 영암 영보 마을의 영당, 둘째, 영암의 사족이 힘을 모아 설립한 녹동서원(구 존양사), 그리고 마지막으로 남원(현 임실)의 주암서원이다.
    첫째 영암 영보리 영당은 최덕지가 거처했던 곳에 설립된 사당이다. 최덕지 초상화는 최덕지의강학처였던 존양루에 봉안되다가 1578년(선조 11)에 사당 건립 후 사당의 영당에 봉안되었다. 정유재란 중에 이 사당은 소실되었으나, 초상화는 나주의 본손(本孫) 묘산에 매안(埋安)한 덕분에온전하였다. 전란 후 1610년(광해 2)에 꺼내어 개장했고 이후 이모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초상화는 1659년(현종 즉위년)에 다시 건립된 영당에 봉안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현재 영보리 영당에 총 3점의 최덕지 초상화 정본과 유지초본 1점이 있는데, 이 중 ‘궤장본’이 17세기 양식을 지니고 있으며, 따라서 기록에서 확인할 수 있는 영보리 영당본이라 여겨진다.
    둘째 녹동서원은 본래 최덕지 향사(享祀)를 위해 1630년(인조 8)에 창건된 존양사(存養祠)에서시작되었다. 1713년(숙종 39)에 사액되어 녹동서원으로 개칭되었으며, 이 때 최덕지 초상화 이모본을 제작하여 봉안하였고, 1769년(영조 45)에 또 한 차례 이모하여 봉안하였다. 이후 녹동서원에는 1769년 제작본이 봉안되어 내려오다가 1868년(고종 5)의 서원철훼 때 영보리 영당으로 옮겨졌던 것으로 파악된다. 영보리 영당의 현존작 중 ‘보물 지정본’과 ‘유지초본’은 18세기 양식 특징을보이고 있어 녹동서원의 1769년본일 가능성이 크다고 여겨진다.
    셋째, 주암서원은 남원(현 임실)의 최덕지 후손들이 영정을 봉안하기 위해 1774년(영조 50)에설립한 곳이다. 녹동서원의 1769년본을 토대로 이모본을 제작하여 주암서원 영당에 봉안하였다.
    주암서원에 현존하는 <최덕지 초상화>는 양식에서도 18세기 말의 특징을 지닌 작품으로 기록과부합된다.
    한편, 영보리 영당에 현존하는 ‘신본’은 20세기 중반에 ‘궤장본’을 토대로 이모한 본이다. 당시‘궤장본’을 모본(母本)으로 삼았던 것은 그것이 영보리 영당에 원래 걸려있던 영정이었기 때문일것이다.
    이상 문헌 자료와 현존 초상화의 양식을 검토하여 최덕지 초상화의 전승 내력을 알아보고 현존작에 대한 편년을 시도하였다. 최덕지 초상화는 초상화 양식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던 1970년대에보물로 지정된 이래 작품에 대한 면밀한 분석 검토 없이 지금까지 15세기의 원본으로 받아들여져왔다. 본 연구에서 그동안 흑장궤에 담긴 채 잊혀졌던 ‘궤장본’과 기존에 주목되지 않았던 ‘주암서원본’ 및 ‘신본’에 대한 조사를 하여 최덕지 초상화 현존작 5 점에 대한 편년을 새롭게 시도하였다.

    영어초록

    Choi Deok-ji(崔德之, 1384-1455) was a high-ranking official active during the reign of Kings Taejong~Munjong. In 1451, he resigned from office and returned to his home in Yeongam, Jeolla Province to concentrate on confucian studies. After his death, his portrait was enshrined in Jonyanglu(存養樓) Pavilion, where he had studied and taught students. Later, as his offsprings and followers constructed mortuary shrines for him, his portrait was copied and enshrined in more places to be revered and cherished.
    Choi Deok-ji portrait has been acknowledged as an important work because it is the earliest extant example of a scholar's portrait of Joseon Period. The Choi Deok-ji Portrait and the Sketch(Chobon) versions in the Portrait Shrine in Yeongbori Village in Yeongam were designated Treasure No. 594 in 1975. Since then, these two versions have been authorized as the original versions from the 15th century. However, there are two more versions of Choi Deok-ji portrait extant in the same shrine in Yeongbori Village, one of which has been kept inside a portrait case and long forgotten, and one more version in Juam Seowon(舟巖書院) in Imshil, North Jeolla Province, both of which had not yet been studied.
    In this paper, written document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the portrait were studied in detail to find out when and how each copies were produced and how they were handed down in each shrine. Also, five extant versions of Choi Deok-ji portrait were studied and analyzed to assess the stylistic features and their production dates.
    The conclusion is that unlike the existing authorization, the portrait and the sketch designated Treasure No. 594 are the 18th century copies which had been enshrined in Nokdong Seowon(鹿洞書院) and moved to the present location of the Portrait Shrine in Yeongbori Village after the crack down on Seowon in 1868.
    And the probable original version which the written records point to be the work from the 15th century is the one kept in the portrait case in the same shrine in Yeongbori Village. However, this portrait case version stylistically shows it's from the 17th century, which, in fact, accords with the written record that the Choi Deok-ji portrait was repainted between 1610 and 1635. Thus, the original Choi Deok-ji portrait from the 15th century does not exist and the portrait kept in the case is the oldest extant version from the 17th century.
    One more version in the shrine in Yeongbori Village is a work of the mid 20th century.
    Since the production of this 20th century new version, the offsprings say the older three versions had been put together in the portrait case until two of them were designated treasures. At present, the treasure versions and the new version are hung on the wall.
    Finally, one more version enshrined in Juam Seowon(舟巖書院) was produced in 1774 when Choi Deok-ji's offsprings residing in Namwon(present Imshil) constructed the shrine.
    The stylistic features of this version accords with the written reco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