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 창작자의 AI 사용 주체감: 프리 프로덕션에서의 시나리오 기획 단계를 중심으로 (The Sense of Agency in the Use of AI by Filmmakers: The Scenario Planning Stage in Pre-Production)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4.07
15P 미리보기
영화 창작자의 AI 사용 주체감: 프리 프로덕션에서의 시나리오 기획 단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37권 / 3호 / 135 ~ 149페이지
    · 저자명 : 김하연, 안예인, 백병수, 김동환

    초록

    연구배경 AI와의 협업은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영화 산업에서도 AI 사용이 꾸준히 시도되고 있다. 현재 AI 영화제가 개최될 정도로 AI 영화 산업은 성장했으나 영화 산업에서의 AI 사용에 대한 우려와 거부감도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AI를 활용한 영화 창작 활동에서 창작자의 주체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영화 창작자의 창작 주체감을 확인해 보기 위해 영화 창작 전문가를 대상으로 반구조화 인터뷰를 통해 프리 프로덕션 단계에서 주체감이 요구되는 작업을 파악하였다. 이후 해당 단계에서 AI와 협업 시 창작자의주체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고자 워크숍을 진행하였다. 워크숍에서 수행한 AI 사용 유무 차이에 따른 과업 수행에 대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여 창작자의 의견을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전문가 대상 반구조화 인터뷰 결과, 영화 제작 과정의 프리 프로덕션 단계에서 트리트먼트까지의 작업이 작가의 개성과 창의성이 가장 돋보이는 작업이라는 점을 도출하였다. 워크숍 결과로는 AI가 상세한 기획 작업에는 미흡하며 인간만이 설정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참가자들은 AI로 생성된 기획 콘텐츠가 상투적이고 양산적이며, 클리셰가 강조되어 매력적이지 않다고 평가했다. AI의 언어적 장점을 통해 콘텐츠 품질이 높아질 수 있다는 의견도 있지만, 대중성 강조와 상호작용에서 AI가 상투적이고 양산적인 경향을 지적했다.
    따라서 AI가 대중의 즐거움에 기여하려면 창작자가 직접 개입하여 작품에 독창성을 부여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강조했다.
    결론 참가자들은 주체감이 요구되는 영화 기획의 창작 단계에서 AI와의 협업으로 효율적인 창작이 가능하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AI 사용 과정에서 창작자의 개입이 뚜렷하다는 의견으로 보아 AI와의 협업이 창작자의 주체감에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collaboration spans various sectors, including the film industry, marked by the growth of the AI film sector with the inaugural AI film festival. However, concerns and resistance to AI use in filmmaking have surfaced. This study explores into how AI influences the creator’s agency in film creation activities.
    Methods To assess filmmakers’ creative agency, we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industry experts, emphasizing tasks requiring a sense of agency in the pre-production phase.
    Subsequently, a workshop explored the impact of AI collaboration during this phase on creators’ agency.
    To gauge differences in task performance with and without AI during the workshop, a focus group interview collected insights from creators.
    Results Expert interviews revealed that the pre-production stage, particularly tasks from pre- production to treatment, showcases a filmmaker’s uniqueness and creativity. However, AI shows limitations in detailed planning, perceived as generating conventional and uncharming content. While acknowledging AI’s potential to enhance content quality linguistically, concerns were raised about its tendency to be conventional and generic in emphasizing popularity and interaction. Thus, it was emphasized that for AI to contribute to audience enjoyment, creators must directly infuse originality into their work.
    Conclusions Participants view AI collaboration positively for efficient creativity in the filmmaking planning stage, indicating that AI involvement does not hinder the filmmaker’s sense of agen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