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행락(行樂)과 삼교합일(三敎合一)의 초상: 증경이 그린 오몽양, 왕시민, 옹덕홍 (Portraits of Leisure Activity and Syncretism: Zeng Jing’s Portraits of Wu Mengyang, Wang Shimin, and Weng Dehong)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8.11
28P 미리보기
행락(行樂)과 삼교합일(三敎合一)의 초상: 증경이 그린 오몽양, 왕시민, 옹덕홍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와 시각문화 / 22호 / 154 ~ 181페이지
    · 저자명 : 최석원

    초록

    증경(曾鯨, 1564-1647)이 그린 초상화는 명말(明末) 강남(江南) 지식층을 일관되게 은자(隱者)로 형상화하고 있다. 명청(明淸)대의 비평가들은 안면 묘사의 사실성에 집중하여 증경의 초상화를 비평했지만, 정작 증경이 초상화를 통해 표현하고자 했던 강남 지식층의 은일은 얼굴이 아닌 배경, 복식, 자세 등을 통해 파악된다. 요컨대 증경의 초상화는 강남 지식층의 은일을 자연 속에서의 ‘행락(行樂)’으로 표상하고 있으며, 강남의 은자들이 내면화했던 ‘삼교합일(三敎合一)’적 성향을형상화하기도 했다.
    산수 배경을 포함하고 있는 〈오몽양(吴夢暘)초상〉과 〈옹덕홍(翁德洪)초상〉 은 증경이 표현해 낸 강남 지식층의 은일이 자연 속에서의 ‘행락’에 다름 아니었음을 보여 준다. 증경이 금릉(金陵)에서 그렸던 〈오몽양초상〉은 당시에 ‘행락도’로인식되기도 했다. 금릉 현지의 산수화가인 호종신(胡宗信)이 그린 〈오몽양초상〉 의 산수 배경은 이 작품의 제작지로 명기된 청계수각(青溪水閣)의 풍광을 묘사한것으로 추정된다. 청계수각은 오몽양이 금릉시사(金陵詩社)의 구성원들과 함께시회(詩會)를 열고 행락했던 장소로서 오몽양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공간이었다.
    한편 〈왕시민(王時敏)초상〉과 〈옹덕홍초상〉에서 증경은 은일 지향의 강남문인이 체화(體化)하고 있던 유불도(儒佛道)의 융합, 즉 ‘삼교합일’을 인물의 복식과 자세를 통해 표현했다. 증경은 왕시민을 포단(蒲團) 위에 앉아 불자(拂子)를들고 좌선(坐禪)하는 재가 불교 신자로 그렸다. 이는 왕시민 개인의 신앙을 반영한 것일 뿐만 아니라 도사(道士) 담양자(曇陽子)를 배출했던 태창(太倉) 왕씨 집안의 내력 그리고 이러한 종교적 성향이 표현된 가전(家傳) 초상화의 전통을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증경의 초상 속에서 평적각(平閣) 주변의 산수를 배경으로치의(緇衣) 차림으로 여의(如意)를 들고 있는 옹덕홍의 모습은 유불도에 통달한 군자가 ‘행락’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영어초록

    This essay proposes that portraits by Zeng Jing (1564-1647) embody Jiangnan (south of the Yangtze River) literati’s eremitic aspirations, illuminating the ways in which the literati visually constructed their reclusive personae. The sitters’ clothing, props, postures, and landscape settings in Zeng’s portraits functioned as visual signifiers of the political disengagement and reclusive lifestyle that his sitters pursued.
    Zeng’s portraits of Wu Mengyang (1545-ca. 1615) and Weng Dehong (?-1646) exemplify these ideals shared by the artist and his sitters. Zeng employs the conventional scholar-in-landscape composition, with the help of local specialists in landscape painting, in order to emphasize the sitter’s leisure activity (xingle). Thus, contemporary Ming viewers regarded Zeng’s portrayal of reclusive figures in nature as inheriting the tradition of xingle tu (painting of leisure activity).
    Zeng’s subtle use of Buddhist and Daoist iconography shows how archaism and syncretism permeated the literati’s ethos of reclusion. For instance, Wang Shimin’s (1592-1680) flywhisk and rush mat as well as Weng Dehong’s ruyi scepter and black robes point to the Buddhist and Daoist inclination of these two Confucian scholars. These visual motifs in Zeng’s portraits testify to the fact that late Ming syncretism deeply affected the literati’s practice of reclu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와 시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