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漢文 經傳敎育에서 ‘明德’과 ‘昭明德’明明德’의 의미에 대한 攷察 (A Study on the Implication of Myungduk, Somyungduk and Myungmyungduk in Sino-Korean Educatio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08.01
26P 미리보기
漢文 經傳敎育에서 ‘明德’과 ‘昭明德’明明德’의 의미에 대한 攷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41호 / 261 ~ 286페이지
    · 저자명 : 이형성

    초록

    한문 경전에는 ‘덕(德)’이란 글자가 적지 않게 보이고 또 다른 글자와 결합하여 새로운 의미의 어휘도 등장한다. ‘(德)’은 자형적 측면에서 보면 여러 의미가 있으나, 신(神)을 볼 수 있는 능력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덕’은 ‘직(直)’과 문자적 연관성을 가졌으며, 훈고적 측면에서 덕(德)은 득(得)의 글자로 표현되기도 하였다. 술목구조로서의 ‘명덕’은 선천적으로 본래 부여받은 덕을 후천적 수양을 통해 밝힌다는 의미이다. 후천적 수양이 없다면 ‘덕’을 밝힐 수 없다. 덕을 밝히는 근저에는 사회 윤리적 요소로서의 ‘서(恕)’가 자리하고 있었다. ‘서’는 덕과 예의 법칙으로 간주되는데, ‘서’를 통해 자신과 타인을 동태적 측면에서 결합시킬 때 본래 부여받은 덕을 밝힐 수 있는 것이다. 수식구조의 ‘명덕’은 선천적으로 받은 ‘덕’을 후천적 수양을 통해 현실에서 중용의 덕을 발휘할 때 비로소 ‘밝은 덕’이 된다. ‘밝은 덕’에 대한 강조는 주나라 초기이다. 이것은 하늘의 명을 받는다는 ‘수명론(受命論)’을 극대하기 위한 전제이다. 즉 상제의 법을 실천하고 천하의 백성을 다스린다는 것을 표면화한 것이다.수식구조의 ‘밝은 덕’을 밝힌다는 조어로서 ‘소명덕(昭明德)’과 ‘명명덕(明明德)’의 의미는 본래 부여받은 ‘밝은 덕’이 천하에 드러나도록 하는 것이자 또한 그러한 인물로 천하를 다스리도록 하는 면이 강하였다. 이는 도덕적 인격을 닦아 백성을 교화시켜 다스리도록 하는 위정자의 역할을 강조한 것이다. ‘밝은 덕을 밝힌다’는 것은 향내적 측면에서는 하늘의 명을 받은 본래의 밝은 덕을 밝히는 수양의 자세가 근간이 되고 있고 나아가 향외적 측면에서는 위정자가 그러한 수양의 극치를 통해 국가와 사회의 일체화를 도모하는 것이었다.

    영어초록

    We have studied the education of the thirteen sacred books in Chinese. It is important that we should grasp the meaning of letter and sentence in education of Chinese writing. This essay is studing Myungduk(明德), Somyungduk(昭明德) and Myungmyungduk(明明德) appeared at the thirteen sacred books. The Duk(德) is manytimes advent on the thirteen sacred books in Chinese. The Duk have various meanings on the shape of a character. Duk’ singular thing is able to see god. Such Duk has connection of letter with jik(直). In addition, it does the meaning of Deuk(得) on side of exegetics.
    Myungduk(明德) on structure of verb and object is that we clarify Duk endowed by nature through postnatal cultivation of the mind. Base of Myungduk is Seo(恕) as social moraity. Seo regards as rule of Duk and Ye(禮). Myungduk is able to clarify Duk endowed by nature in the side of movemently combining self and others through Seo.
    Myungduk on structure of modifier is that we can clarify Duk of nature at the time of manifesting Duk of Jungyong(中庸) in the realities of life. It is on focus on the period of Ju(周) in Chinese. It is the greaest of theory of the king’s accepting the Myung(命). It is come to the fore that the king adapt to the rule of the God and reign over the whole country.
    The meaning of Somyungduk(昭明德) and Myungmyungduk(明明德) which clarify Myungduk on structure of modifier is that the king lets Duk endowed by nature appear in the realities of life and reign over the whole country through clear Duk. This is making the king discharging his duties and palnning the unification of country and society through clarifing Myungdu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