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德村 梁得中 학문의 양명학적 성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 of Yang-ming Studies in Yang deuk jung)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3.04
38P 미리보기
德村 梁得中 학문의 양명학적 성격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양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양명학 / 34호 / 87 ~ 124페이지
    · 저자명 : 한정길

    초록

    이 글은 양득중의 학문에 나타난 양명학적 성격을 탐색하고 그 사상사적 지위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양득중의 현실진단법, 양명학과의 접촉 가능성, 양명학의 기초이론에 대한 이해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득중은 당시 현실의 문제점을 ‘虛僞’로 요약하고, 현실구제방안으로 ‘實事求是’를 제시한다. 그리고 허위의 풍습이 유행하게 된 원인을 ‘마음에 근본을 두지 않은 의리의 추구’에서 찾는다. 이것은 心과 理를 분리시킨 데서 허위의 현상이 발생했다고 보는 것으로 王守仁의 현실진단법과 일치한다.
    양득중은 朴泰初로부터 經學을 心學으로 읽어내는 독법과 양명학적 지행관을 배웠다. 이로부터 그가 박태초에게서 양명학적 사유를 익혔을 가능성이 있다.
    양득중은 양명학의 기본 명제들을 전혀 사용하고 있지 않다. 그럼에도 그의 心體에 대한 이해와 格物致知에 대한 이해에는 양명학적 성분이 농후하게 들어 있다. 그는 實心이 곧 實理요 誠이라고 말할 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동일하게 갖춘 것으로 본다. 그 실심은 誠과 明의 통일체로서의 良心이다. 사람의 본심인 그 양심은 일체의 도덕규범을 창출해내는 근원이며, 성대하게 흘러서 萬物과 萬事에 도달한다. 이것은 양명학에서 말하는 ‘心卽理’‧‘心外無理’‧‘心外無物’‧‘心外無事’의 주요 명제들의 의미 내용을 담아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격물치지에 대한 이해에서도 그는 주자의 格致論을 양명학적으로 풀이한다. 주자가 말하는 ‘이미 알고 있는 이치’를 ‘양지가 명백하게 알고 있는 것’으로 풀이하며, 致知도 양지가 이미 알고 있는 當然之理를 미루어 그것을 실천과 내적 자각을 통하여 지극한 데까지 심화시켜가는 것으로 이해한다.
    양득중은 또 일상생활에서 良心과 良知를 자기 행위의 준거로 삼는다. 이것은 양명학적인 삶의 태도라고 할 수 있다.
    이상의 논의에 근거하면 양득중의 학문을 ‘양명학적 실심에 기반한 실학’으로 규정하는 것이 그의 학문성격에 보다 부합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to look into the character of Yang-ming Studies that is expressed in the study of Yang deuk jung(梁得中) and to define the status in the history of Joseon Thought. In order to do this, contemplation of the method of Yang duk jung’s reality check method, possibility of accessing Yang-ming Studies, and understanding of the basic theory of Yang-ming Studies. As a result, the following facts have been detected.
    Yang deuk jung summarized the current problems as ‘false’ and presented ‘the Quest for the truth from actualities’ as a the remedy to salvage the reality. Also, he sought ‘pursuing formal fidelity that does not take one’s mind as the core ‘ as the reason why the tradition of false was in trend. This considers the false phenomenon resulting from separating mind and reason and it coincides with the reality check method of Wang Yangming.
    In this thesis, from the fact that Yang deuk jung learned how to read Chinese classics theory as the Mind Studies and the theory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n Yang-ming Studies from Park tae cho(朴泰初), it has stated that Yang deuk jung could have learned the reasoning of Yang-ming Studies from Park Tae cho.
    Yang deuk jung does not use the basic propositions of Yang-ming Studies at all. Nevertheless, in his understanding of the Mind itself and ‘gaining knowledge by the Investigation of things’, there are significant ingredients of Yang-ming Studies engraved. He not only states that the Sincere Mind is Substantial reason and Sincerity but also he thinks everyone has it equally. The Sincere Mind is the unified body of conscience composed of Sincerity and Brightness. The conscience is the source that creates the whole moral standards and flow into all things and events. This contains the definitive contents of major propositions of ‘the mind is principle’‧‘there is no reason out of the mind’‧‘there is no thing out of the mind’‧‘there is no event out of mind’ stated in Yang-ming Studies.
    In the understanding of ‘gaining knowledge by the Investigation of things’, he explains the Zhuxi’s Theory of Investigation of Things in terms of Yang-ming Studies. The ‘pre‐acknowledged reason’ cited by Zhuxi is explained as ‘the thing that Innate Good Knowing clearly knows’ and ‘the gaining knowledge’ as a reasonable theory that is known by Innate Good Knowing and understands it as deepening it to the foremost through the practice and internal awakening.
    Yang duk jung also takes conscience and human nature in everyday life as the standard of one’s self‐behavior. This could be stated as the attitude to life in Yang-ming Studies.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it would be reasonable in terms of the correspondence to the character of his studies to state the study of Yang duk jung a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the Sincere Mind of Yang-ming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