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차용의 관점에서 본 ‘포스트프로덕션’ ('Postprodu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ppropri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9.05
20P 미리보기
차용의 관점에서 본 ‘포스트프로덕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예술과미디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과 미디어 / 18권 / 1호 / 159 ~ 178페이지
    · 저자명 : 김연희

    초록

    니콜라 부리오(NicholasBourriaud)는 『관계미학』(1998) 이후 『포스트프로덕션』(2002)을 출간하여 『관계미학』과 같은 연장선상에서 예술현장을 재조명하고 있다. 본고에서 ‘포스트프로덕션’을 ‘포스트모던 미술’의 차용방식과 비교하는 것은 그 차용 방식의 차이를 드러내며, 그 의도와 결과에 있어서 물신주의에 사로잡힌다는 핼 포스터(Hal Foster)의 비판은 이후의 미술이 상품화의 변증법적 차원에서 회귀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에 필자는 관계의 미학-포스트프로덕션의 차용방식을 넘어설 수 있는 새로운 미술의 출발점은 세계를 어떻게 규정하는가에 대한 사유로부터 시작할 것을 제안한다. 이는 동시대 미술(Contemporary Art)에서의 ‘내용 없는 형식’이나 ‘텅 빈 기표’로서의 강박적 새로움에 대한 문제제기이다. 이미 논의된 ‘실재의 귀환’이나 ‘포스트프로덕션’ 에서의 차용 미술에 관한 문제점을 물신주의의 변증법으로 보고, 세계의 일부로서의 예술을 다룬 히토 슈타이얼의 미술 프로젝트를 ‘포스트 재현’이라는 코드로 분석한다. 빈곤한 이미지가 갖는 정치적 함의는 형식과 내용의 차원에서 다가가려는 시도이다. 또한 기록적이며 모방적이고, 불안정한 동시대 미술은 포스트프로덕션에 의한 ‘포스트 재현’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미지가 취하는 방식은 역사 감각과 현실에 대한 비판적 개입이 요구된다. 결국, 세계는 우리에게 어떤 모습으로 현상하며, 세계의 다양한 사건과의 영향관계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천착하는 히토 슈타이얼의 작업에서 그 합의점을 모색해 보았다. 자신이 속한 세계와 역사를 인식하고 주제화하는 과정에서 슈타이얼이 다룬 이미지는 현실 세계의 파편이며, 다른 모든 것과 동등한 사물이다. 이러한 작업 방식은 빈곤한 인터넷 이미지로 순환되는 기표이면서 그 이미지 자체를 긍정하는 내용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이미지가 세계의 파편으로서 전체와 부분의 변증법으로 작용한다고 보고 동시대 미술을 접근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삼고자 한다.

    영어초록

    Nicholas Bourriaud published "postproduction"(2002),following "relational aesthetics" (1998),reviewing the art scene, such as ‘relational aesthetics’.the concepts and the exhibition examples are addressed, centered on ‘postproduction'. Above all, comparing them with the appropriation methods of postmodern art. Hal Foster's critique that it is captivated by Fetishism in intention and outcome is significant. Accordingly, the author suggests that the starting point of new arts that can transcend the appropriation method of ‘relational esthetics-postproduction’ should start with the reasoning of how to define the world. This is the question on the obsessive newness as the ‘contentless form’ or ‘empty signifiant’ in contemporary art. The art project of Steyerl dealing with part of the world is 'post-representation'.The contemporary art-documental,imitative, and unstable, could be defined as the ‘post reproduction’ by ‘postproduction’. The inquiry of the political implications the poor image has hereby is an attempt to approach in the dimension of form and content. Finally, we will reach an agreement in the Steyerl’s work that questions of ‘what image will the world appear to us?” and “what are the influencing relationships with various events in the world?”.The images addressed by Steyerl,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and topicalizing the world and history to which he belonged, are the fragments of the world and the objects equal to all the others. This work method is a signifiant that circulates through a poor internet image and the content affirmative of the image itself. In this paper, we consider that this image acts as dialectic of whole and part, as fragments of the world, and will take it as a method to approach contemporary ar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