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희와 왕양명의 덕 윤리와 덕 인식론-시비지심과 양지를 중심으로- (Virtue Ethics and Virtue Epistemology of Zhu Xi and Wang Yangming: Focusing on the Mind of Approval-Disapproval and Innate Knowledge)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1.11
35P 미리보기
주희와 왕양명의 덕 윤리와 덕 인식론-시비지심과 양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57권 / 303 ~ 337페이지
    · 저자명 : 이찬

    초록

    사단 내에서 시비지심을 어떻게 자리매김할 것인가라는 질문으로 이 글을 시작하려 한다. 시비지심이 지적인 덕성의 단초라는 표현은 그것을 ‘이성적인 판단 능력’으로 해석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런 접근은 이성과 감정의 분리라는 인간 정신의 근대적인 이해방식에 기반을 두고 있다. 왜냐하면, 맹자도 그랬거니와 주희와 왕양명이 경계했던 것처럼, 이성적인 판단은 ‘합리적’임을 내세워 자칫 천착이나 사려와 계교로 사태를 뒤틀 수 있기 때문이다.
    시비지심을 이성적인 판단으로 분리해 볼 수 있는지, ‘사단’ 전체로 묶어서 보아야 한다면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지 검토할 것이다. 이런 논의는 시비지심을 도덕적인 덕성과 지적인 덕성의 통일적인 이해로 이어질 수 있는지도 확인하고자 한다. 맹자가 ‘사단’이라는 개념을 주조한 까닭에 주목해 시비지심을 사단 전체와 유기적으로 보아야 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맹자에서 말하는, 그리고 주희와 왕양명이 주장하는 시비지심을 나는 그 어떤 다른 계산이 개입되기 이전에, 학습이나 경험과도 무관하게 일어나는 마음의 반응이라고 해석하였다. 그것은 이성이나, 감성적인 것으로 구분되기 전에 일어나는, 특정한 사태에 대한 심적인 에너지의 즉각적이고 총체적인 반응이다. 마음에서 일어나는 그 최초의 반응인 본심을 간직하는 것만으로 곧 충분한 도덕적인 동기가 된다. 이런 작업을 위해 시비지심과 양지에 관한 주희와 왕양명의 논의도 포괄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이런 검토는 필연적으로 사단 전체의 맥락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주희와 왕양명의 담론을 검토하는 까닭은 도덕적 덕성과 지적 덕성의 통일적 이해에서 덕성인 ‘지’의 내재화가 갖는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서이다. 결론적으로 도덕적인 덕성과 지적인 덕성의 통일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근대철학을 형성해온 이원론적인 틀을 비판적인 성찰하는 철학적인 프로젝트의 일환이며 시비지심도 마음의 총체성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영어초록

    This essay starts with the question of how to understand the mind of approval and disapproval (Shifei Shi Xin, 是非之心) within the four Mencian sprouts (Siduan, 四端). The statement that Shifei Shi Xin is the sprout of intellectual virtue provides room for interpreting it as ‘a reasonable faculty for one’s judgment.’ However, this approach is based on the modern way of understanding the human mind, which is divided into two: reason and emotion. Just as Mencius did, Zhu Xi and Wang Yangming were aware that rational judgment would often distort the situations with obsessive analysis, stratagem, and even deep consideration. Thus, I will examine whether Shifei Shi Xin can be separated into rational judgement and how it can be explained if it must be viewed in terms of one of the bundles of four sprouts. This approach also attempts to confirm whether Shifei Shi Xin can lead to a unity between moral virtues and intellectual virtues. I think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reason why Mencius cast the concept of four sprouts and view the Shifei Shi Xin from a holistic perspective of the four sprouts. I interpret it as a reaction of the mind that occurs regardless of learning or experiences, before any other calculation was involved. It is an immediate and holistic reaction of mental energy to a particular situation that occurs before being classified into the cognitive or the conative. Keeping the pure reactions of the mind occurring initially is soon enough to be moral motivation. Thus, I will review Zhu and Wang on Shifei Shi Xin and Liangzhi (innate knowledge, 良知) for my entire argument. This review must inevitably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four sprouts. The reason for taking Zhu and Wang’s discourse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internalization of wisdom (Zhi, 智) in terms of the unity between intellectual virtue and moral virtue. In conclusion, a concern on the unity between them is part of a philosophical project to critically reflect on the dualistic framework that has formed modern philosophy, and it is also necessary to understand Shifei Shi Xin in the totality of the mi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