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맥킨타이어와 칸트의 덕: 인간선의 실천으로서의 덕 (Virtue in MacIntyre and Kant: virtue as practice of human good)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07.10
30P 미리보기
맥킨타이어와 칸트의 덕: 인간선의 실천으로서의 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와 철학 / 14호 / 171 ~ 200페이지
    · 저자명 : 이원봉

    초록

    맥킨타이어는 현대 사회가 극단적 도덕적 상대주의에 빠지게 된 이유를, 근대 도덕철학이 전제하는 사회적 맥락에서 분리된 추상적 자아와 보편적 도덕법칙에서 찾는다. 근대의 계몽주의는 도덕성을 인간본성이 실현해야 할 목적이 아니라 계산적 합리성에 근거지움으로써, 도덕을 개인의 결단으로 만들어버렸다. 맥킨타이어는 이러한 계몽주의의 도덕기획이 인간의 행위를 이해할 수 없는 것으로 만들어 버렸다고 비판하면서, 인간선 혹은 인간의 목적을 통해서만 인간의 행위는 이해가능해진다고 한다. 하지만 그는 인간의 목적을 아리스토텔레스적인 형이상학적 목적론이 아니라 역사와 전통에 의해 형성되어가는 서사적 존재로서의 인간에게서 찾는다. 맥킨타이어의 덕 개념은 사회적 실천을 통해서 형성되어가는 인간 본성에 근거한다는 점에서 도덕적 행위자 개인의 감성적 성품에 주목하는 다른 덕 윤리학과 구별된다. 맥킨타이어는 개인의 도덕적 성품보다 역사와 전통 안에서 전개되는 개인 삶의 서사에 주목함으로써, 덕 윤리학에 대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상대주의의 혐의와 다원화되고 갈등이 상존하는 현대 사회에서 덕 윤리가 갖는 한계를 극복하려고 한다. 그의 이러한 시도는 형이상학적 목적론 없이도 상대주의에 빠지지 않는 덕 윤리를 제시하려는 노력이라고 할 수 있고, 칸트의 윤리학 역시 형이상학적 목적론 없이 보편적인 도덕의 기초를 확립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맥킨타이어와 만날 수 있다. 칸트에게 있어서 행위의 이해가능성은 정언명법과 준칙, 그리고 개별적 행위 사이의 관계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많은 칸트 연구자들이 칸트의 준칙을 단순히 개별 행위의 의도나 결단으로 해석하지 않고, 장기적인 ‘삶의 지침’으로 이해한다. 칸트에게 있어서 도덕법칙은 목적없는 공허한 형식이 아니라 인간성 자체를 도덕적 목적을 설정해주고 있으며, 칸트에게 있어서 덕은 자신과 타인의 인간성 자체를 목적으로 하는 준칙을 끊임없이 실천하는 과정을 통해서 달성된다. 칸트 윤리학에서 추상적이고 보편적인 도덕법칙이 구체적인 삶의 현장에서 어떻게 실천될 수 있는지를 해명함으로써, 맥킨타이어가 말하는 행위의 이해가능성이 주어질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칸트의 덕과 맥킨타이어의 덕은 크게 다르지 않으며, 오히려 맥킨타이어가 해결하지 않고 남겨 놓은 문제, 즉 공존하는 여러 가지의 이해 가능한 삶과 전통 사이에서 어떤 삶과 전통을 실천하는 것이 옳은 것이냐 실천적 판단에서 칸트의 정언명법이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MacInytyre, modern moral philosophy is presupposing the isolated I and universal moral law that are abstracted from the social context. And because of these characteristics of modern moral philosophy, modern society is seeing the flourishing moral relativism. Modern Enlightenment is justifying morality not by telos in human nature but by calculating rationality, as result morality has became the problem of the best choice of the isolated individual. MacIntyre says that modern Enlightenment Project has made a human act unintelligible because we can understand an act only through human good or human telos which the act strives for. But he finds human telos not in Aristotelian teleology but in the human being as the narrative that is being formed by the history and tradition. Because MacIntyre's virtue is based on the changeable and so unpredictable human nature which is being built up by social practices, his virtue ethics is different from the other virtue ethics that give emphasis on the emotional character of agent. Emphasizing the narrative of individual life which is intelligible only through the history and tradition, MacIntyre is trying to overcome the doubt of ethical relativism which is constantly raised against his concept of virtue. Meanwhile Kant also has tried to establish the universal foundation of morality that is not based on the metaphysical teleology. In Kant, the intelligibility of a moral act is attained by the relation of the Categorical Imperative and the Maxim and individual acts. Many Kant critics understand the Maxim not as an intention of an act but as ‘general guideline for living’. According to Kant the moral law is not an empty form but gives an end of every moral act. The humanity itself is the universal end of all rational agent who seek after the moral good. Kant says that we can achieve moral virtues only through practicing constantly the maxims which aim the humanity in myself and others. If we could make clear how the universal moral law be practiced in everyday life, there can be the intelligibility and predictability of moral acts. Accordingly the Kantian virtue is not so different from MacIntyre's virtue, on the contrary, can give help to solving MacIntyre's dilemma. When he should decide to choose among many compatible but conflicting narratives or traditions, the Categorical Imperative can function as guiding princi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