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행주(幸州)와 덕양(德陽)의 지명 유래 관련 공간성의 어문학적 고찰 (A Study on Origin-related Language and Literature Named Spatiality of ‘Haengju(幸州)’ and ‘Deokyang(德陽)’)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6.05
29P 미리보기
행주(幸州)와 덕양(德陽)의 지명 유래 관련 공간성의 어문학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어문연구 / 55호 / 401 ~ 429페이지
    · 저자명 : 김형태

    초록

    본 논문은 ‘고양(高陽)’의 지명 기반인 ‘행주’와 ‘덕양’의 유래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명 관련 한자와 어휘 및 여러 문헌에 산재한 행주 관련 설화와 기록 중 필요한 내용들을 어문학적으로 살펴보고, 행주 유래의 본질에 접근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행주(幸州)’의 ‘행(幸)’은 ‘만나다’라는 기본적 의미 외에 임금과 한씨(韓氏) 미녀로 대표되는 백성 간의 만남을 전제로 ‘임금의 총애’와 ‘요행을 바라다’라는 이차적 의미를 동시에 지닌 중의적 어휘이다. 따라서 행주는 만남을 중심에 두고, 그 공간적 특수성의 부수적 의미들에 적합한 한자를 사용했기 때문에 조선시대까지 만남이라는 의미가 지속적으로 실현될 수 있었던 공간이다. 또한 행주대첩 관련 행주치마 일화에서 중요한 이야기의 핵심은 민중의 힘에 있다. 미약한 민중의 잠재되어 있던 단합된 저력을 발휘함으로써 국난을 극복하고, 장차 스스로의 삶을 개척해 나가는 데 주안점을 둔 미래지향적인 이야기이므로 ‘행주’는 민중(民衆) 저력(底力)의 발산 공간을 의미한다.
    둘째, ‘우왕(遇王)’과 ‘왕봉(王逢)’은 ‘고봉(高峰)’과 아울러 고양과 관련된 옛 지명들이다. 이는 모두 백제의 한씨 미녀와 고구려 안장왕의 ‘만남’과 관련 있는 것들이다. 또한 ‘행주’역시 그러한 ‘만남’과의 연속선상에서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있다. 이는 군민(君民)과 요행(僥倖)의 공간을 중심으로 고양 지역이라는 동일한 만남의 공간성을 매개로 통용되었다.
    셋째, ‘행주(杏州)’는 예로부터 도학이 구현되던 공간이라는 이 지역의 특성을 감안할 때, 다분히 ‘행단(杏壇)’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이름일 가능성이 있다. 또한 ‘덕양’은 지정학적 친연성을 염두에 둔다면, 중국에서 유래한 지명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들 지명은 도학(道學) 구현(具現)의 공간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origin of the name based on the 'Haengju(幸州)' and 'Deokyang(德陽)' of the 'Goyang(高陽)'. Research methods will be discussed and recorded narratives related to the 'Haengju(幸州)' scattered on the nomination and relevant Chinese vocabulary, literature. The result is derived as follows.
    First, 'Haeng(幸)' is meeting, the King of Love, a vocabulary that accidental good fortune means a variety of views. In addition, the core of an important story in a cloth skirt anecdote is in the strength of the people. Therefore, 'Haengju(幸州)' means the space and the people of the meeting strength is divergent space.
    Second, 'Woowang(遇王)' and 'Wangbong(王逢)' is 'Kohbong(高峰)' as well as related to the nomination are former 'Goyang(高陽)'. This is all the Han(韓氏) Beauty of Baekje(百濟) and the King Anjang(安臧王) of Koguryo(高句麗) meeting and interest in things. The 'Haengju(幸州)' can also be found resulting from this contact. These are derived from both the nomination and the chance encounter of people of the king.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Goyang(高陽)' is from Dohak(道學) that specifically realized that this space before. So 'Haengju(杏州)' are Haengdan(杏壇) and there is probably a name made keeping in mind. Also 'Deokyang(德陽)' when both the geopolitical relevance in mind there is probably a nomination originated in China. Therefore, this nomination is all Dohak(道學) is specifically designated, which means that realized sp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