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덕진산성의 구조와 축조시기에 대한 검토 (Review on the Structure and Construction Time of DeokjinSanseong Fortress(德津山城))

5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7.02
54P 미리보기
덕진산성의 구조와 축조시기에 대한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문화 / 56호 / 109 ~ 162페이지
    · 저자명 : 박현준

    초록

    덕진산성은 고구려에 의해서 처음 축조된 성벽을 통일신라시대에 여러 차례 이상 수축하였고, 이후 필요에 따라 조선시대까지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략적인 시기를 살펴보면 초축은 삼국시대 말 즉, 6~7세기대로 추정되며, 축성주체는 고구려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그 공간적 범위는 내성 전역에 해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관련된 근거로 고구려에 의해 축조된 토축부[치3]에서 출토된 장동호와 시루편, 그리고 주변에 위치한 호로고루와 보루들의 축조시점, 그리고 자연과학적 분석결과 등을 들 수 있다. 이후 7세기 후반에 이르러 통일신라에 의해 1차성벽[석축부]이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2개의 치와 치 기저부 강화를 위해 설치한 기단보축은 8세기대에 축조되었으며, 마지막으로 9세기대에 이르러 전면 가공한 화강암제 성돌을 이용하여 2차성벽을 축조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치3에서 확인된 치 기단보축의 축조수법이 주변에 위치한 고구려 보루[무등리 2보루, 홍련봉 2보루]의 축조수법과 매우 유사한데, 이는 고구려 멸망 후 고구려의 축성기법이 유입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후 조선시대에 들어 내성의 성벽을 기저부로 활용하여 외성을 축조하였으며, 외성문지 토축부와 내ㆍ외성의 연접된 토축부에서 고려~조선시대 기와편과 백자편이 출토되어 편년에 좋은 근거가 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외성에 대한 초축시기나 축성주체, 그리고 동파리보루와 덕진산성과의 관계는 명확히 단정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후속조사가 이루어지면 좀 더 구체적인 면모가 밝혀질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덕진산성 내성과 관련된 문지, 집수지, 건물지 등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가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e rampart of Deokjinsanseong fortress(德津山城) which had been first constructed by Goguryeo was repaired several times during the United Silla period, and it was found that it was used till the Joseon dynasty as occasion demanded. To examine the approximate periods, it is assumed that it was first built at the end of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that is, the 6th to 7th century, and it is very likely that Goguryeo was the subject of the construction.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its spatial range may be the entire area of the inner castle. The grounds for this include jars with a long body (jangdongho) and steamers (siru) excavated from crenellated wall (chi) 3 of the parts constructed with earth, built by Goguryeo, the period of the construction of Horogoru Castle and forts that are located around it and the results of a natural scientific analysis. Later, it seems that, entering the late 7th century, the parts constructed primarily with rocks of the rampart was built by the United Silla dynasty.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foundation subwall (gidanbochuk) installed to reinforce two crenellated walls and their base was constructed in the 8th century, and in the 9th century, the rampart was constructed secondarily, using fully processed granitic castle rocks. In the meantime, the method of the construction of the foundation subwall of the crenellated wall found in crenellated wall (chi) 3 i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Goguryeo forts located in the surrounding areas (Fort2 in Mudeung-ri and Fort2 in Hongryeon- bong), and this can be understood that after the fall of Goguryeo, its fortification was introduced. Later, in the Joseon dynasty, the outer castle was constructed, using castle wall of the inner castle as the base, and in the parts constructed with earth in the outer castle and the parts constructed with earth in the part where the inner castle and outer castle are connected, fragments of roofing tiles and white white porcelain of the Goryeo to Joseon dynasty were excavated, which become nice grounds for chronological recording. However, it is still difficult to clearly predicate the period of the first construction of the outer castle, the subject of the constru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ongpa-ri fort and Deokjin mountain fortress, and it is expected that more concrete aspects will be revealed if long-term and systematic investigations are carried out. Especially, it is judged that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n gate ruins, water catchment ruins and building sites related to the inner castle of Deokjin mountain fortress should be condu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