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도의 한국 영화 리메이크 작품에 나타난 여성 캐릭터의 변화 양상과 그 의미 - “세븐 데이즈”와 “자즈바”, “더 테러 라이브”와 “다마카”의 비교를 중심으로 - (Changes in Female Characters in Indian Remakes of Korean Films and its Meaning)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3.10
13P 미리보기
인도의 한국 영화 리메이크 작품에 나타난 여성 캐릭터의 변화 양상과 그 의미 - “세븐 데이즈”와 “자즈바”, “더 테러 라이브”와 “다마카”의 비교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45권 / 10호 / 455 ~ 467페이지
    · 저자명 : 박찬효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인도에서 ‘가족 서사’와 ‘젠더’에 관심을 갖고 한국 문화 콘텐츠를 리메이크하는양상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현지화 현상이 특히 2010년대 이후 인도 영화에서 부각된 ‘신여성’의 존재성과 관계가 있음을 살펴보는 것이다. 관련해 주목되는 작품은 <세븐 데이즈>(2007)와 <더 테러 라이브>(2013)를 리메이크한 <자즈바(Jazbaa)>(2015)와 <다마카(Dhamaka)>(2021)이다. <자즈바>는 여성대상 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부각하는 서사가 강화되며, 어머니인 여교수 캐릭터 비중이 커지면서 복수극은 여성의 인권 문제를 공론화하는 것으로 확장된다. <다마카>는 원작과 다르게 국장이 여성으로 설정되면서 권력 지향적인 부정성이 더 강화되고, 부부의 멜로드라마 안에서 영웅적 아내의 죽음을 통한남편의 교화라는 개작이 이루어진다. <자즈바>가 기존 가치관을 위반하며 여성의 연대를 그린 페미니즘 영화로 재탄생한다면, <다마카>는 위안과 교화의 역할을 하는 전통적 여성상이 지향되면서 가부장제 질서로 회귀한다. 최근 인도 영화에서 능동적 여성상이 부각되고 있으나 여전히 젠더를 재현하는 방식은 고민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phenomenon is related to existence of the ‘new woman’, which has been highlighted in Indian films since the 2010s, as the aspects of remaking Korea culture contents with interest in ‘family narrative’ and ‘gender’ under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appear in india lately. Noteworthy works in connection with the subject matter are “Jazbaa” (2015) and “Dhamaka” (2021), which are remakes of “Seven Days” (2007) and “The Terror Live” (2013). In “Jazbaa”, the narrative that highlights awareness of crimes against women is strengthened, and as the female professor character becomes more important, the revenge plot expands to publicize the issue of women's human rights. In “Dhamaka”, unlike the original, the power-oriented negativity is strengthened as the director of a broadcasting station is set as a woman, and as a couple melodrama, the adaptation is made to edify the husband through the death of his heroic wife. If “Jazbaa” violates existing values and is reborn as a feminist film depicting solidarity between women, while “Dhamaka” returns to the patriarchal order by focusing on the traditional image-oriented women who play the role of comfort and domestic hel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