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과학혁명시대의 기계론적 철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의 위치에 대한 연구: 윌리엄 더햄(1657–1735)의 Physico-Theology와 Astro-Theology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the Place of Aristotelian Metaphysics in the Mechanic Philosophy during the time of Modern Scientific Revolution: The Analysis of William Derham’s Physico-Theology and Astro-Theology)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9.12
43P 미리보기
근대과학혁명시대의 기계론적 철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의 위치에 대한 연구: 윌리엄 더햄(1657–1735)의 Physico-Theology와 Astro-Theology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신학논총 / 35권 / 77 ~ 119페이지
    · 저자명 : 유정모

    초록

    본 연구의 목표는 영국의 신학자 겸 과학자였던 윌리엄 더햄의 주요 저술인 「자연신학」과 「천체신학」이 근대 기독교 신학과 과학의 발전에 끼친 영향을 밝힘으로써 서양 지성사의 잃어버린 퍼즐조각을 찾아 맞추는 것에 있다. 특별히 본 연구는 기계론적 철학사상을 받아들였음에도 불구하고 세상의 질서와 그 안에서 나타나는 신적인 간섭을 설명하기 위해서 목적인(目的因, final cause)의 존재를 긍정했던 더햄의 사상을 당시 유럽의 지성적 배경 속에서 연구함으로써 먼저는 더햄이 이해한 과학과 종교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더 나아가 그러한 사상이 근대 사상사에서 가지는 의의가 무엇인지를 조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윌리엄 더햄의 「자연신학」과 「천체신학」에 대한 연구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우리에게 제시하여 준다. 첫째, 더햄은 하나님의 창조세계를 설명하기 위해서 근대과학을 매우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하지만 근대과학은 그의 종교적 관심을 저하시키기보다 오히려 세상 속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섭리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촉매제의 역할을 하였다. 둘째, 더햄은 과학에서 목적인에 대한 논의를 제거하는 것을 반대하며 하나님의 섭리로 피조세계에 부여된 목적성을 이해하는 것이 종교뿐만 아니라 과학의 올바른 이해에도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셋째, 이러한 더햄의 목적인 사상은 목적인의 제거가 근대 과학혁명의 전형적인 특징이라고 주장하였던 이전의 학계의 주장이 설득력이 없음을 보여주는 실례가 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illiam Derham’s Physico-Theology and Astro-Theology in order to reveal how he influenced on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theology and modern science in the seventeenth-century England. In particular, this article will focus on studying Derham’s view of final cause as a way to highlight the relation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in his own context. In doing so, this study will specifically permit thre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Derham actively employed modern scientific discoveries and theories to explain the natural world. Second, however, he did not lose his interest in traditional Aristotelian metaphysics and Christian religion in his treatment of natural philosophy. In particular, Derham maintained an idea of final causality and it was used for design argument as proof of God’s existence and His providential relationship to the world. Third, therefore, previous scholarship’s argument that final cause was eliminated from natural philosophy during the Scientific Revolution, and it is a hallmark of the demise of Aristotelianism and the growing separation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in the seventeenth century cannot be warranted at all at least by Derham’s Physico-Theology and Astro-Theology. Unlike previous scholarship, in these works, final cause still played an critical role in the scientific explanation of the world and modern science was understood in a way compatible with traditional metaphysics and Christian the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