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마스 만의 초기 단편 <토비아스 민더니켈>에 나타난 동정적/사디즘적 시선 - 장폴 사르트르의 ‘타자의 시선’ 개념을 토대로 (The pitiful/sadistic look of Tobias Mindernickel in Thomas Mann’s earlier story Tobias Mindernickel - based on the Jean-Paul Sartres ‘the view of the other’ concept)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0.05
22P 미리보기
토마스 만의 초기 단편 &lt;토비아스 민더니켈&gt;에 나타난 동정적/사디즘적 시선 - 장폴 사르트르의 ‘타자의 시선’ 개념을 토대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일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일언어문학 / 88호 / 101 ~ 122페이지
    · 저자명 : 강미란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르트르의 ‘타자의 시선’ 개념을 활용하여 <토비아스 민더니켈>에서 토비아스 민더니켈의 ‘시선’이 어떻게 타자에 의해 ‘응시당한 시선‘에서 자신이 ‘응시하는’ 시선으로 바뀌게 되는지, 그러는 과정에서 민더니켈이 어떻게 사디즘적 양상을 노골적으로 표면화하면서 삶에 대해 복수를 하는지 고찰한다.
    사회에서 소외된 토비아스 민더니켈은 자존감 없이 철저히 타자에 의해 ‘응시당하는- 존재’로 살아간다. 여기서 ‘응시당하는-존재’로 인식된다는 것은, 자신의 자유와 의지를타인에게 빼앗긴 채, 자신의 존재성을 잃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다가 다친 아이를동정하고 상처를 봐준 것을 계기로 그는 아이를 ‘응시하는-존재’로 승격되는데, 이때 느꼈던 “고통의 행복” 을 재현하기 위해, 민더니켈은 노점에서 구입한 개를 거만하게 ‘응시하고’ 개의 야성과 생명력을 억압하면서 사디스트가 됨으로써 타자에 대한 권력을 행사하려고 한다. 결국 개(타자)가 ‘응시당하기’를 거부하고, 주인과 ‘시선 투쟁’을 유발하자, 민더니켈은 분노와 광기를 억제하지 못하고 개를 잔인하게 죽이는데, 이와 함께 삶에복수를 하지만, 자신의 존재의 의미는 사라지고 만다.
    이 작품은 토마스 만의 초기 단편이지만, 작가의 일관된 화두였던 삶과 죽음, 사디즘과 관용, 시민사회와 소외의 세계의 모순을 주인공의 정교한 심리 묘사를 통해 형상화하여 이후에 나올 장편소설에서 보여줄 특징을 선취하고 있다.

    영어초록

    Im vorliegenden Beitrag wird anhand des Begriffs ‘der Blick des Anderen’ von Jean-Paul Sartre analysiert, wie sich der Blick Tobias Mindernickels im Werk Tobias Mindernickel von dem des ‘Erblickten’ zu dem des ‘Erblickenden’ wandelt, und wie Mindernickel seine bemitleidenden und sadistischen Züge während dieses Vorgangs in den Vordergrund bringt und sich damit auf seine Weise, jedoch ohne dass es ihm bewusst wird, am Leben rächt.
    Tobias Mindernickel, der von der Gesellschaft ausgeschlossen ist und von den Anderen mit Verachtung ‘erblickt wird’, lebt, ohne irgendwelche Selbstachtung zu haben, dahin. ‘Erblickt werden’ heißt, dass er von dem Anderen seiner eigenen Freiheit und seines eigenen Willens beraubt wird. Durch eine Gelegenheit, bei der Mindernickel aber zufällig einem durch eine Verletzung blutenden Kind (dem Anderen) hilft, gewinnt er bis zu einem gewissen Grad Selbstbewusstsein und wird zum das Kind ‘Erblickenden’ erhoben. Um das durch Herrscherposition errungene Gefühl des ‘schmerzlichen Glücks’ wiederzuempfinden, wirft er einmal einen bemitleidenden Blick, ein anderes Mal einen herablassenden Blick auf den Hund, den er einem Straßenhändler abgekauft hat, und unterdrückt die wilde Lebenskraft des Hundes. Auf diese Weise übt er Macht über ihn aus. Als letztendlich der Hund (der Andere) sich dem sowohl bemitleidend als auch sadistisch ‘erblickenden’ Blick Mindernickels verweigert und seinen Herrn zu einem ‘Blickkampf’ herausfordert, kann Mindernickel seine Wut und seinen Wahn nicht mehr unterdrücken und tötet den Hund auf grausame Weise mit einem Messer. Damit hat er sich an der lebendigen Bürgergesellschaft rächen wollen, zeigt aber nur seine zwiespältige Psyche und geht zugrun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일언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