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애도와 기억 - 베른하르트 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와 스티븐 달드리의 <더 리더>에 나타나는 전후세대의 역사의식 비교 (Trauer und Erinnerung - Eine vergleichende Studie zum Geschichtsbewusstsein am Beispiel von B. Schlinks Der Vorleser und dessen Film S. Daldrys The Reader)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8.05
31P 미리보기
애도와 기억 - 베른하르트 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와 스티븐 달드리의 &lt;더 리더&gt;에 나타나는 전후세대의 역사의식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일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일현대문학 / 50호 / 85 ~ 115페이지
    · 저자명 : 구연정

    초록

    영화 <더 리더>는 소설 "책 읽어주는 남자"를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나치 과거와의 대면 과정에서 전개되는 주인공의 심리를 소설의 서사와는 다른 언어로 전달하고 있으며, 윤리적으로 독일의 전후세대에게 요청되는 역사의식에 충실하게 각색하여 전달하고 있다. 특히 소설 2부의 공간적 형상화 및 인물의 시각화에서 나타나는 영화적 각색과 연출은 원작과는 다른 영화의 주제의식을 분명히 드러내주고 있다. 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원작 소설에 나타난 전후세대의 과거사 인식의 문제점이 확연히 드러난다. 기존에 있었던 영화에 대한 분석에서는, 특히 소설과 비교되어 주로 영화 속 주인공의 역사적 성찰이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으나 앞서 살펴본 바로는 소설보다 오히려 영화에서 전후 독일의 2세대로서 죄의식과 역사적 책임에 대한 의지가 더욱 분명하게 전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Die vorliegende Arbeit diskutiert die Streitpunkte um den Roman Der Vorleser von B. Schlink und versucht, die Frage nach der Trauer und Erinnerung in der Konfrontation mit der NS-Vergangenheit aus der Perspektive der Nachkriegsgeneration zu beleuchten, vor allem im Rahmen des "Postholocaust Fiction".
    Dieser Versuch zielt darauf, die Grenzen und Herausforderungen des Erinnerns für die Nachkriegsgeneration im Vergleich mit der Erinnerungsarbeit der Hauptfigur Michael im Film The Reader zu erläutern.
    Insofern, als die Erinnerungsarbeit von Michael im Roman von dem Schuld- und Schamgefühl begleitet ist, kann sie als das ‘postmemorial work’(M. Hirsch) gekennzeichnet werden. Jedoch bleibt fraglich, ob sie die Ethik und Ästhetik der Generation des Postmemory darstellt: Um diese Frage zu beantworten, wird zuerst in Anlehnung an Mitscherlichs These von 1967 untersucht, wie sich die Trauerarbeit der beiden Michael entwickelt und zur Darstellung kommt.
    Davon ausgehend lässt sich erkennen, dass sich Michaels Erinnerungsarbeit im Roman in einer ‘autistischen Haltung’ befindet, in der sein Rückblick sich einseitig nur auf Hannas Situation richtet und sich in dem rhetorischen Zirkelschluss des inneren Monologs entwickelt, und letztendlich die wahren Opfer außer Betracht lässt. In dem Sinne ruft Michaels Erinnerungsarbeit ‘die Unfähigkeit zu trauern’ für die Kriegsgeneration hervor. Hingegen lässt sich im Film wahrnehmen, dass Michael durch das aktive Engagement und Tun die richtige Trauer um die Opfer verkörpert. Somit kommt man zum Schluss, dass Michael im Film ein anderes Geschichtsbewusstsein als im Roman hat und die Ethik des Postmemory gewährleist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일현대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