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정된 공간에서 인질을 다룬 영화의 캐릭터 연구 - <폰 부스>와 <더 테러 라이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 of films dealing with a hostage in a limited space - Focusing on and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1.12
24P 미리보기
한정된 공간에서 인질을 다룬 영화의 캐릭터 연구 - &lt;폰 부스&gt;와 &lt;더 테러 라이브&gt;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상기술연구 / 1권 / 37호 / 359 ~ 382페이지
    · 저자명 : 이정국

    초록

    본 논문은 한정된 공간에서 인질을 다룬 영화를 중심으로 한 서스펜스 스릴러 영화인 <폰 부스>(2002)와 그 작품의 플롯과 캐릭터를 패러디해서 한국적인 상황에 맞게 재해석한 <더 테러 라이브>(2013)란 영화를 중심으로 캐릭터를 연구한 것이다. 특히 두 작품의 메인 캐릭터인 주인공과 적대자 캐릭터를 각각 비교해 상호 어떻게 작동해서 구성에까지 영향을 끼치는지도 분석하고자 했다.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 <폰 부스>와 <더 테러 라이브>에 대한 기본 이해를 위한 정보를 분석했다. 각 작품의 제작비 현황과 박스 오피스 등을 통해 그들 작품이 관객에게 어떤 반향을 일으켰는지 객관적인 데이터를 통해 언급했다. 또한 각 작품의 컨셉과 주제 어떤 면에서 유사하고 어떻게 다른지도 비교해 보았다. 두 작품의 비교를 일종의 상호텍스트성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했다본론에서는, 두 작품의 주인공(스투와 윤영화)과 적대자(저격수와 테러범)의 캐릭터 구축과정을 상세하게 비교 분석하였다. 로버트 맥기를 비롯한 다양한 캐릭터 연구서에 의거해 6가지 항목으로 나눠 각각 <폰 부스>와 <더 테러 라이브>의 두 캐릭터를 분석하였다. 1) 주인공과 적대자의 욕망(목표) 2) 인물의 장애물과 딜레마에서 내린 선택 3) 대립되는 인물-적대자, 조력자, 방해자 4) 캐릭터를 설명하는 에피소드 및 대사, 외모, 과거 5) 모티프 및 아이러니 6) 캐릭터의 일관성과 변화- 정신분석적인 관점 등이 그것이다.
    <폰 부스>와 비교 결과 <더 테러 라이브>는 네 가지 면에서 패러디 영화로서 성공했다. 첫째는 장르화의 성공이다. 두 번째, 패러디를 창의적으로 확장 발전시켰다. <더 테러 라이브>는 <폰 부스>에서 한 개인의 문제였던 사건을 국가적인 사건으로 확장시킴으로서 주제에 무게감을 주었다. 세 번째, 주인공 하정우의 연기가 뛰어났다. 네 번째, 적대자인 테러범에 대한 정서적 공감이다.
    하지만 결말에서 두 작품은 큰 차이를 보인다. <더 테러 라이브>는 우화로서의 전 텍스트<폰 부스>의 긍정적 기능을 포기하고 감독의 사회비판적인 메시지를 작위적으로 드러냄으로써 감정적으로 과잉된 영화로 만들어 버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정된 공간을 소재로 한 캐릭터 중심의 저예산 영화가 우리 한국에서도 대중적인 호응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는데 더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is a thesis that tries to compare Hollywood film <Phone booth>(2002) and Korean film <The terror live>(2013) that succeeded in Korea box-office. and also a parody film that reinterpreted <Phone booth> successfully. I was going to analyze in the center of Main character and antagonist in their two films. First of all, I explained some basic information about two films: box-office, director’s profile, theme, concept etc. Mainly, I intended to approach by standpoint of intertextuality.
    In the main subject, I compared Main characterswith antagonists of two films in detail. By opinions of Robert Mckee and the other screenplay writers, they classifies 6 items for character study: 1) Desire of main character and antagonist, 2) Obstacle and dilemma 3)antagonistic character-antagonist, supporter, obstructor 4) episodes, words, appearance, past of characters 5)motif, irony 6) consistency and change of character In result of comparison, We can know that <the terror live> succeeded in 4 aspects. First, success of genre as suspense thriller. Second, efficient expansion of parody. Third, excellent acting of hero Ha Jung-woo, Fourth, emotional chemistry for terrorist. Two film exists some gap in the end of the story. <Phone booth> ends in an allegory, but <The terror live> is not. The film tells theme by mandatory episode. For all that, <The terror live> proved that low-budget films in restricted place can succeed in Korea film busi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상기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