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활한 더 라 레이(De la Rey): 공동의 기억과 아프리카너 정체성 (The ‘De la Rey Phenomenon’: Collective memory and Afrikaner identity in the post-apartheid South Afric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5.06
28P 미리보기
부활한 더 라 레이(De la Rey): 공동의 기억과 아프리카너 정체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프리카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아프리카 학회지 / 44권 / 113 ~ 140페이지
    · 저자명 : 문지희

    초록

    이 글에선 2006년 남아공사회에 돌풍을 일으킨 ‘더 라 레이 현상’을 공동의 기억과 정체성의 정치라는 관점에서 조사해보았다. 보어전쟁(1899- 1902) 당시 보어인들을 이끌었던 더 라 레이 장군에 대한 이 노래가 전쟁이 끝난 지 한 세기도 훨씬 지난 지금 아프리카너들에게 큰 인기를 끌게 된 이 현상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다. 즉, 부활한 아프리카너 민족주의로 간주하거나, 포스트아파르트헤이트 시대 지도자를 잃고 방황하는 아프리카너를 반영한다고 보거나, 현 ANC 정부의 차별철폐조치(Affirmative Action)로 인한 역차별 현상에 대한 저항운동으로 생각하는 등 여러 시각이 존재한다. 이 현상에 대한 이토록 다양한 비평이 가능하게 된 데는 이 노래가 수용되는 과정에 시대성에 부합하는 정치적 의미가 분명 존재하기 때문일 것이다.
    ‘더 라 레이 현상’은 현재를 살아가는 아프리카너에게 있어 정체성의 화두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잘 보여주는 사회문화적 현상이다. 먼저 ‘더 라 레이’ 노래는, 아프리카너의 역사적 영웅을 환기시키며 이들의 자부심을 확인시켜주었고, 동시에 영국의 억압을 받는 희생자의 위치에 선 이들을 묘사하며, 아프리카너들에게 늘 꼬리표처럼 따라다니는 아파르트헤이트에 대한 죄책감에서 눈을 돌릴 수 있게 했다. 그리고 이들이 현 정부에 의해 억압을 받고 있다는 소외감은 ‘더 라 레이’와 같이 공동의 기억에 근거한 정체성의 정치로 이어지게 된다. 즉, ‘더 라 레이’는 포스트아파르트헤이트 시대에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하고 있는 아프리카너에게 제시된 ‘문화적 기억’이며, 이들의 정체성을 다시금 재구성하고 재위치시킬 수 있는 뿌리의 역할을 하고 있다. 아스만(Assmann)이 말하는 ‘문화적 기억’은 사회적 요소들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며, 또 반대로 한 사회나 공동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더 라 레이 현상’은 아프리카너들의 심리를 반영한 거울이며, 동시에 이들이 만들어 갈 새로운 정체성의 퍼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 현상은, 역사, 문학, 음악, 출판, 방송 등 다양한 아프리카너 문화를 ‘무지개 나라’에 적합한 새로운 문화적 기억으로 (재)위치시키며 정체성의 정치를 펼치고 있는 포스트아파르트헤이트 시대 아프리카너의 전략을 잘 반영해 준 사회문화적 현상이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n 2006, the Afrikaans song ‘De la Rey’ by Bok van Blerk caused a sensation in South African society. In this paper, the ‘De la Rey Phenomenon’ is investigated with the focus on collective memory and politics of identity.
    Van Blerk sings of General Koos de la Rey who led the Boer forces during the Anglo-Boer war (1899-1902) and his song ‘De la Rey’ received extraordinary attention from Afrikaners in the 21stcentury. This phenomenon has been interpreted from diverse perspectives: commentators treated it as a resurrection of Afrikaner nationalisme, or as reflection of the Afrikaner’s loss of leadership in the post-apartheid era, or as resistance to the reverse discrimination due to current Affirmative Action under the ANC government. The ‘De la Rey phenomenon’, however, shows how important identity is to the white Afrikaner community even though more than a decade has passed since democratization.
    First of all, praising their historical hero and focusing on the Afrikaners’ victimhood during the pre-apartheid era has diverted Afrikaners from the feelings of guilt with which they have been burdened due to apartheid. The feeling of isolation in being suppressed by the current government is also perpetuated in the identity politics of Afrikaners as based on the collective memory of De la Rey. It serves as a route for reconstruction and repositioning of their identity in the present socio-political context. According to Assmann, cultural memory is formed by the influence of social elements, and it can also be the driving force for transforming a community. The ‘De la Rey Phenomenon’ therefore is a mirror reflecting the psychology of the Afrikaners on the one hand, and could, at the same time, serve as a foundation to creating a new identity for them.
    This phenomenon can be evaluated as an important socio-cultural phenomenon that reflects the identity politics of the Afrikaners in the post-apartheid era for the diverse cultural content of the history, literature, music, publications, and media of Afrikaners to be relocated in a new cultural memory suitable for the ’Rainbow 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아프리카 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