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추상공간'의 폭력과 공포: <감기>와 <더 테러 라이브>와 <숨바꼭질> (Violence and Fear of the ‘Space of Abstraction’ :The Flue(Gamgi), The Terror Live, and Sumbakkokjil)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3.11
24P 미리보기
&#039;추상공간&#039;의 폭력과 공포: &lt;감기&gt;와 &lt;더 테러 라이브&gt;와 &lt;숨바꼭질&g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상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상예술연구 / 23호 / 97 ~ 120페이지
    · 저자명 : 최은

    초록

    비슷한 시기에 개봉한 세 편의 한국영화 <감기>와 <더 테러 라이브>와 <숨바꼭질>은 모두 실제 지명을 거론하면서 구체적인 한국의 도시 공간을 재현한 작품들이다. 특히 이들이 각각 배경으로 삼고 있는 분당과 여의도, 일산은 1970-1980년대 부동산 안정과 중앙집권적인 지배체제의 강화를 목적으로 한 도시계획의 산물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세 편의 영화가 제시하는 공간을 ‘사회적인 공간’과 그것의 영화적인 재현이라는 관점에서 탐구한다.
    ‘사회적인 공간’ 개념은 프랑스의 공간 사회학자 앙리 르페브르에게서 차용한 것이다. 그에 따르면 사회적인 공간의 특성은 공간의 물리적 속성이 아니라 그것이 다양한 사회 질서 안에서 맺고 있는 관계에 의해 정의된다. 절대공간이 붕괴되면서 도시계획과 같은 합리적 국가 권력이나 제도에 의해 등장한 ‘추상공간’은 그 중 몸(들)과 맺는 관계와 공간의 사회적 위계를 가장 극명하게 드러내는 공간이다. 실제적인 ‘몸’과 일상이 부재한 채, 잘리고 정리되고 구획된 공간은 그 자체로 추상화의 작업과 같은 폭력성을 내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영화 <감기>와 <더 테러 라이브>와 <숨바꼭질>이 나름의 재현방식으로 추상공간의 폭력성과 모순을 폭로하는 지점들을 지니고 있다고 주장한다. 가장 안락하고 편안한 삶을 보장할 것 같았던 공간이 가장 공포스럽고 잔혹한 공간이 되는 모순은 그 공간이 ‘재앙들’을 마주할 때 극단적으로 표출된다. 여기서 재앙들은 일종의 ‘계기’로서, <감기>에서는 치명적인 변종 바이러스의 출현으로, <더 테러 라이브>에서는 테러의 위협으로, <숨바꼭질>의 경우는 연쇄살인의 공포로 체험된다. 그런데 이는 곧 르페브르가 일상생활의 일탈이자 각성의 계기가 되고 결국은 ‘공간의 실천’에 기여한다고 믿었던 상상적인 공간, 즉 ‘재현공간’으로서의 영화의 가능성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The Flue(ask Gamgi), The Terror Live, and Sumbakkokjil are commercial films released almost at the same time in Korea, and they made huge success in the box office. The peculiar thing is that they all use the real names of cities or places of contemporary Korea, and function as the reminder of the modern historicity and reality of the cities. Bundang, the setting place of The Flue, Yeoido of The Terror Live, and Ilsan of Sumbakkokjil are the spaces ‘produced’ in the result of government city planning in the 1970’s and 1980’s. This research explores the idea that the spaces in those films would be ‘social spaces’ and their representation of those spaces could be an appealing critical point.
    The term and concept of ‘social space’ is borrowed from French sociologist of space Henri Lefebvre. According to him, the specialty of social space is defined not by the space's physical element but by its diverse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our social orders. With the destruction of ‘space of absolution’, the ‘space of abstraction’ has appeared by the government systems or legal power like city planning. It is the space where reveals its alienated relationship with 'bodies' and spacial hierarchy in its society. Without the presence of physical bodies and familiar relationships with them, violence is inherent in this abstract space, because it is arranged and divided and even destroyed in force, just like the abstract should be.
    1. In this research, I propose that these three films, The Flue(ask Gamgi), The Terror Live, and Sumbakkokjil, disclose contradictions of the absolute space in their own space of representation. These contradictions contain the truth of the absolute space as the most cruel and the fearful space where should have been the most cosy and safe one. And the spacial violence is revealed in ‘moments’ when it encounters some kind of ‘disaster’ such as the fatal influenza virus, the imminent threat of terrorism, and the fear of serial murders. In this point we can consider contemporary commercial films in the notion of Lefebvre’s ‘space of representation’ where contains the possibility and potentiality for the spacial practice and eventually, for the revolution of everyday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상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