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봉인된 시간 - 「박하사탕」, 혹은 더 나은 삶에 관한 에세이 (Sealed Time: Meditation on the Way in Peppermint Candy)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0.09
18P 미리보기
봉인된 시간 - 「박하사탕」, 혹은 더 나은 삶에 관한 에세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26호 / 25 ~ 42페이지
    · 저자명 : 신철하

    초록

    「박하사탕」은 80년대적 에피스테메의 단면을 비극적으로 투시하고 있는 필름이다. ‘비극적 황홀’로 요약되는 고전적 기법을 통해 이 필름은, 우리에게 80년대란 무엇인가라는 근원적 질문을 던진다. 마침내 영화는 질문의 형식으로서의 ‘길’을 매개로 우리를 봉인된 시간 속에 유폐시킴으로써, 그 질문이 어떤 고통스런 역사적 기억과 만날 수 있는지를 심문한다. 이창동은 80년대라는 시대적 과제를 현재적 시간으로 되돌려 비춰볼 것을 이 필름을 통해 주문한다. 그것은 그가 자신의 내면에 잉태하고 있던 시대적 부채의식을 동시대와 그것을 경험한 세대에게 함께 공유하기를 바라는 고문의 메시지로 읽힌다.
    이 글은 이를 분석/해석하기 위해 서사를 구조적으로 해체하고 재구조화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서사의 구조적 이해는 문제를 명료하게 하며, 해석의 주요한 모티프를 적출해내는데 기여한다. 해체/재구성은 이 서사 자체가 지닌 구조적 결을 그 결대로 읽는 가장 효과적인 정독 방식이기도 하다. 서사의 구조적 읽기를 통해 우리는 이 필름이 80년대를 무의식적으로 드러내는 가장 훌륭한 방법으로 시간의 ‘창조적 회상’을 활용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기억의 재현으로서의 그 기법은 고통스런 지난 연대에 대한 성찰적 상기이자, 그 시대가 성취하려고 했던 열정과 고민이 지금 우리에게는 무엇인가에 대한 현재적 과제로 질문을 되돌리는 힘을 발휘한다. 우리는 지금 민주주의의 실질적 위기를 살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Peppermint candy is a film that looks tragically into the cross-section of episteme after the fashion of the 80's. The film poses a fundamental question of what the 80's means to us by means of a classical technique summarized as 'tragic ecstasy.' At length, the film looks into what sort of agonizing historical memories the question could encounter by shutting us up in the sealed time through the way in the form of questions. The director, Chang-Dong Lee, winsomely requests the viewer to bring the task of the 80's back to the present time and project it through the film. This is a message of torture transmitted in the hope of sharing the sense of responsibility of the time spawning on his inside with his contemporaries and the generation that has experienced it.
    This study proposes to introduce a process of structurally dismantling and recomposing descriptions in an effort to analyze or interpret it. Structural understanding of descriptions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problem clearly and assists in digging out the motif of interpretation. Dismantling or recomposition is the most effective close reading authentically with which we can read the structural texture intrinsic to the descriptions themselves. Structural reading of descriptions enables us to take a glance at the fact that the film utilizes 'creative recalls,' which is the most excellent method revealing the 80's unconsciously. The film, a contemplative reminder of the agonizing decades of the past, brings the question of what the zeal and worries which the age sought to see accomplished means to us today back to a task of today. We find ourselves living at a time when democracy is practically in jeopar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