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큐 <더 블루스>의 디아스포라 서사와 음악 (Diasporic Narratives and Music in the Documentary The Blue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5.02
28P 미리보기
다큐 &lt;더 블루스&gt;의 디아스포라 서사와 음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31권 / 1호 / 319 ~ 346페이지
    · 저자명 : 신사빈

    초록

    이 글은 다큐멘터리 <더 블루스> 속 디아스포라 서사와 음악의 통시적이고 공시적인 담론을 연구한다. 이 연구의 동기는 일곱 편의 다큐멘터리 영화 시리즈에서 작가 시점으로 바라본 서로 다른 주제와 스타일을 지닌 TV 에피소드가 블루스의 ‘뿌리’와 ‘길’이라는 기호적 역할로서 공감각적 상호 텍스트성을 구현한 것에 의미를 부여하면서 비롯되었다.
    마틴 스코세이지의 <고향으로 가고 싶다>는 노예제와 이민(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이탈리아계 미국인의 경험)을 비교하지 않더라도 자기 뿌리에 대한 탐구, 고국과 미국을 연결하는 것에 대한 관심은 스코세이지 자신의 작업과 정체성의 상당 부분을 기반으로 한 주제를 반영한다. 또 리처드 피어스의 <멤피스로 가는 길>은 1940년대 남부 흑인들의 대중문화의 중심지였던 멤피스 빌 스트리트의 음악계에(특히 B.B 킹과 로스코 고든, 보비 러쉬와 같은 블루스 음악가에게) 중점을 두면서 그들의 투어 버스에 탑승하여 음악적 재회를 가진다. 그리고 마크 레빈의 <대부와 아들들>은 마셜 체스와 척 디를 따라가며 시카고 블루스의 역사를 기억하고, 그 기억을 바탕으로 머디 워터스의 <Mannish Boy>(1955)의 새 버전을 녹음하기 위해 <Electric Mud>(1968)를 창작했던 블루스 음악가들과의 재회와 협연을 시도함으로써 시카고 블루스와 힙합, 랩의 간격을 해소한다. 이러한 통시성과 공시성의 흐름에 따른 음악 여행과 로드 무비를 통해 블루스 음악과 문화에 대한 주관적이고 인상적인 관조에 도달한다.
    <더 블루스>에서 발현된 디아스포라 의식은 고향과 이주 지역의 경계를 넘어 새로운 문화 영역을 개척하는데, 여기서 주안점은 이주 과정 자체가 아니라 이주자들이 새 영역에서 형성한 유기적 사회 연결망과 그들이 창조한 독창적 문화 유형들, 즉 ‘아버지와 아들(Fathers And Sons)’ 또는 ‘대부와 아들들(Godfathers And Sons)’의 메타포인데, 그 음악 미학의 가치와 의의는 크다고 여겨진다. 디아스포라 음악은 단순한 착취, 상실의 서사가 아니라 진정한 통합, 해방의 담론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diachronic and public discourses of diasporic narratives and music in the documentary The Blues. The motivation for this study stems from the profound role that television episodes, each embodying distinct themes and styles through the author's lens, play in constructing synesthetic intertextuality. These episodes serve as symbolic representations of the "roots" and "path" of the blues.
    Martin Scorsese's Feel Like Going Home does not juxtapose slavery with immigration (or the experiences of African Americans with Italian Americans); however, its exploration of roots and the connection between homeland and America resonates deeply with themes central to Scorsese's oeuvre and personal identity. Richard Pearce's The Road to Memphis shifts its focus to the vibrant 1940s music scene on Beale Street in Memphis, a cultural hub for African Americans, particularly for blues artists such as B.B. King, Rosco Gordon, and Bobby Rush. The film culminates in a musical reunion aboard their tour bus. Marc Levin's Godfathers and Sons portrays Marshall Chess and Chuck D revisiting the history of Chicago blues and bridging the gap between Chicago blues and modern hip-hop and rap. This endeavor is exemplified by their collaboration with the creators of Electric Mud (1968) to produce a contemporary rendition of Muddy Waters' Mannish Boy (1955). Through musical journeys and road movies, the documentary reflects the synchronicity and publicity of blues music, culminating in a subjective and impressionistic exploration of its culture.
    The diasporic consciousness articulated in The Blues transcends the confines of homeland and migration, forging a new cultural space. Here, the focus shifts from the migration process itself to the organic social networks migrants establish and the unique cultural expressions they develop in their adopted territories. This metaphor, captured in works such as Fathers and Sons or Godfathers and Sons, underscores the profound aesthetic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diasporic music. This genre is not merely a narrative of exploitation and loss but a genuine discourse of integration and lib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