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강 얼음낚시의 특성과 어로조직 -팔당댐 축조 이전 마포에서 양평지역을 중심으로- (The Traits of Winter Fishing Practices and fishing system on Hangang River -Before the Construction of Paldang Dam from Mapo to Yangpyeong are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7.06
30P 미리보기
한강 얼음낚시의 특성과 어로조직 -팔당댐 축조 이전 마포에서 양평지역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민속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민속학연구 / 40호 / 41 ~ 70페이지
    · 저자명 : 편성철

    초록

    이 글은 1973년 팔당댐 축조 이전 한강에서 이루어졌던 겨울철 어로관행에 대해 주목하였다. 한강의 겨울 어로관행이 다른 지역과 어떠한 변별성을 가지고 있는지 밝히고자, 잉어잡이 도구인 삼봉낚시와 계(契)를 구성하여 외지 낚시꾼에게 잉어 낚시터를 제공하고 현금을 받는 이 지역만의 독특한 관행을 함께 살폈다. 특히 얼음 밑으로 그물을 치고 고기를 몰아 ‘방’을 만드는 과정에 대해 세밀하게 조사한 결과는 그간 소개된 적이 없는 내용으로써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삼봉낚시는 겨울철 얼음낚시를 위해 여러 도구를 사용한다. 곱돌을 이용해 틀을 만들어 납을 부어 삼봉낚시를 만든다. 낚시꾼은 재리가 박힌 나막신을 신고 쓰리로 얼음구멍을 만들었다. 썰매는 장비를 운반하는 도구이자 얼음에서 올라오는 한기(寒氣)를 피해 앉을 수 있는 의자의 역할을 한다.
    얼음구멍에는 살얼음이 얼기 때문에 ‘얼음뜰채’를 이용해서 강표면의 살얼음을 계속해서 떠내고 작은 물고기가 잡혔을 때는 얼음뜰채로 건져올리기도 한다. 미끼를 이용하지 않으며 ‘끼’를 만들어 물고기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큰 고기가 잡혔을 때는 낚시줄의 손상을 막고 물고기를 쉽게 건져 올리기 위해서 ‘거낙’을 사용한다.
    한편 다른 지역에서는 겨울이 되면 계원(契員)들이 그물을 친 후 손수 잉어를 작살로 잡아 계원들끼리 이를 나누었다. 반면 한강에서는 계원들이 얼음 밑으로 그물을 치고 일정한 구역 안으로 잉어를 몰아넣었는데 이를 ‘방’이라고 했다. 계원들은 직접 낚시를 하지 않고, ‘방’을 외지의 낚시꾼들에게 제공함으로써 현물(잉어)이 아닌 입장료를 받았다.
    잉어를 직접 잡은 경우는 계원들이 잉어를 현금으로 교환해야하는 유통과정이 필요하겠지만 한강의 경우는 낚시꾼들을 ‘방’으로 입장시킴으로써 현물거래인 잉어의 유통과정을 생략하고 현금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낚시꾼들을 대상으로 식사를 비롯한 각종 유흥을 제공함으로써 부수입을 올렸다.
    서울 마포에서 경기도 양평에 이르는 지역에서는 지역민들이 이러한 유료낚시터를 만들어 운영하였다. 이러한 계조직이 특히 번성했던 곳은 현재 팔당댐과 팔당대교가 있는 두미강지역이었다. 잉어를 잡는 터가 열두 곳이 있었다고 하여 ‘열두바탕’이라고 부르며, 열두 곳은 각각 다른 명칭으로 불린다.
    이 글은 1970년대 이전 한강에서 이루어졌던 겨울 어로관행에 대한 문헌자료와 현지조사자료를 기본으로 임진강 등 다른 지역의 겨울 어로관행과의 비교검토를 통해 어로방법과 기술적 특성을 정리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winter fishing practices that were prevalent along the Hangang River area before the construction of Paldang Dam in 1973. In order to find out how the winter fishing practices in the Hangang River area differed from other regions,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unique regional practice of forming gye (a cooperative group), procuring the weighted treble hooks (to catch carp) used in Sambong fishing, and then providing fishing grounds to “outside” fishermen from other areas. In particular, the detailed investigation of how these fishermen cast their fishing nets below the ice to create a ‘bang’ in which to catch the fish is the first of its kind and is therefore very meaningful.
    Sambong fishing required several different tools for catching fish in winter. Agalmatolite was used to make the cast into which molten lead was poured to make the fishing hooks. The fishermen wore wooden shoes studded with crampons and made holes in the ice with ice chisels. Snow sleds were used to transport the equipment and also served as chairs for the fishermen to rest in whenever they wanted a reprieve from the chill emanating from the ice holes.
    Because thin ice forms on ice holes, ice scooping nets were used to break the surface of the ice from time to time and to lift small fish from the water. When bait was not used, a float was crafted and used to detect the movements of the fish. When a big fish was caught, an ice fishing gaff was used to lift the fish out of the water in order to prevent the fishing line from getting damaged.
    In other regions during the winter season, the members of the gye would cast nets and then kill the carp directly using harpoons, and the catch would then be divided amongst them. In the Hangang River region, however, the members would cast their nets under the ice and then herd the fish into a designated area called a ‘bang’. The members did not engage in fishing themselves, but provided the ‘bang’ to outside fishermen and earned their income from the entrance fees rather than from the sale of the goods (carp).
    If, however, the members of the gye caught the fish themselves, they would have needed a distribution channel to convert the carp into cash. But by charging a fee for access to the ‘bang’, the gye in the Hangang River area could cash in without having to distribute the carp. In addition, they could make extra money by serving meals and providing other amenities to the fishermen.
    The inhabitants of the region extending from Mapo-gu in Seoul to Yangpyeong in Gyeonggi-do operated this type of fee-charging fishery, with the Doomi River area, which is home to Paldang Dam and Paldang Bridge today, having the largest concentration of such organizations. There were twelve fishing grounds, which together were referred to as the “twelve fisheries,” though each of them had its own separate na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