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분황 원효와 탄허 택성의 만남과 대화 (Meeting and Conversation between Bunhwang Wonhyo(芬皇 元曉) and Tanheo Taekseong(呑虛宅成))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3.10
40P 미리보기
분황 원효와 탄허 택성의 만남과 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철학 / 13권 / 245 ~ 284페이지
    · 저자명 : 황상진

    초록

    인간의 사유는 세계해석에 있어 크게 변화와 불변에 대한 근본적 입장차이로 나누어진다. 즉 ‘불변적 실체’를 가치의 중심에 두는 사유와 ‘연기적 생성’을 가치의 근본에 두는 사유로 나뉜다. 붓다의 연기법은 고정 불변적 실체를 거부하는 변화와 생성의 세계관이다. 그러나 불교사상의 전개 양상을 보면 실체론적 해석의 구도인 본체/현상의 이원적틀로 불교학을 정초하려는 시도가 빈번히 목격된다. 즉 이(理)/사(事), 성(性)/상(相), 체(體)/용(用), 진(眞)/속(俗), 공(空)/유(有) 등의 양극적계열구분을 불변적 본체와 가변적 현상이라는 이원적 실체론으로 해석하려는 경향을 지닌다.
    본 논문은 『기신론』의 일심이문을 생성론적 사유로 해석하려는 시론(試論)이다. 『기신론』이 진여/생멸의 양극적 계열로 구조된 것은 사실이지만, 이를 본체와 현상 이분의 실체론적 해석에서 구출하고자, 생성자와 생성성을 구별하는 생성론적 차이를 제시하여 이문구조를 해석하고자 한다. 또한 그러한 해석의 구체적 적용으로 『기신론』의 대표적 해석자로서 원효와 탄허를 선정하여 생성론적 관점을 기준삼아 만남을 도모했다우선 원효의 경우 그가 이문(二門)을 별체로서 이해하지 않고, 상호포괄과 불가분리의 관점으로 소통시키려 한 것을 생성론에 충실한 해석으로 평가하며, 생성성의 생성자에 대한 초월적 측면을 진여문으로보고, 생성성의 생성자에 대한 내재적 측면을 생멸문으로 해석함으로서 원효의 의도를 보다 정치하게 이해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한편 탄허의 경우 그의 회통론은 연기법의 생성론적 사유의 반성을 거치지 못한인상론적 실체주의 사유로 간주될 여지가 있으며, 특히 『기신론』의 일심(一心)을 시공을 초월한 기독교의 불변적 창조주와 같은 것으로 보는 해석은 불교를 실체론적 사유와 혼동한 것이라고 평가된다

    영어초록

    The human intellect is fundamentally divided in its interpretation of the world between the perspectives of change and permanence. It is separated into reasoning that centers around the concept of 'immutable substance' and reasoning that places 'generative interdependence' at the core of values. The interdependence doctrine(緣起法) in Buddhism rejects the notion of fixed, immutable substances, emphasizing a worldview of change and creation.
    However, in the development of Buddhist thought, attempts to establish Buddhist studies within a framework of substantial interpretation can be frequently observed. These attempts involve dualistic categorizations such as essence(理)/appearance(事), nature(性)/form(相), substance(體)/function (用), ultimate(眞)/conventional(俗), emptiness(空)/existence(有), interpreting these polarized classifications as a dualistic substantial philosophy of immutable substance and mutable phenomena.
    This paper is a tentative discourse attempting to interpret the One Mind(一心) doctrine in the Qixin-lun(起信論) from a perspective of generative reasoning. Although it is true that the doctrine is structured as a polarized system of substance and phenomena, this discourse seeks to rescue it from the substantial interpretation of dualistic substance as reality and phenomena. It aims to interpret this doctrinal structure by distinguishing between ‘Create itself(生成性)’ and ‘Creation(生成者)’, presenting a generative reasoning difference. Furthermore, as a specific application of such interpretation, this paper selects Wonhyo(元曉) and Tanheo(呑虛), prominent interpreters of the Qixin-lun(起信論) and seeks a meeting point based on a generative perspective.
    Firstly, in the case of Wonhyo(元曉), his understanding of the dual gates(二門) not as separate entities but as perspectives of mutual inclusiveness and indivisibility is evaluated as an interpretation faithful to generative reasoning. On the other hand, Tanheo(呑虛)'s theory of integration may be seen as a speculative realism that has not gone through the reflection of generative reasoning in the doctrine of interdependent occurrence(緣起法) in Buddhism. Particularly, his interpretation that views the One Mind(一心) in the Qixin-lun(起信論) as the unchangeable creator of Christianity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is evaluated as a confusion of Buddhism with substantial reaso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