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숙종대 황해도 지역의 '生佛' 사건 (The Living Buddha Cases of Hwanghae Province During the King Suk-jong Regime in the Late Joseon Dynasty)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3.05
40P 미리보기
조선후기 숙종대 황해도 지역의 '生佛' 사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연구 / 50호 / 121 ~ 160페이지
    · 저자명 : 최선혜

    초록

    이 글에서는 조선후기 숙종 2년(1676)-14년(1688)-17년(1691)에 處瓊-呂還-車忠傑이 황해도를 중심으로 잇따라 生佛과 관련해 일으킨 사건을 검토하였다. 황해도는 일찍부터 군사・외교적으로 주요한 지역이었다. 특히 명말・청초에는 전쟁의 여파 속에 明과 淸에게 이중으로 살육과 착취를 당하였다. 명의 장수 毛文龍과 청 조정의 과다한 요구는 고스란히 황해도의 부담으로 돌아왔다. 유달리 전염병과 재변도 횡행하여, 숙종이 특별히 황해도는 대폭 감세하는 조치를 취할 정도였다. 어느 지역보다 패전의 굴욕을 절감하며 고통을 겪었지만 국왕과 집권층은 이를 해결해주지 못하였다. 여기에 더해 황해도는 중국과 오가는 사신이 묵어가는 곳이었으며, 해로를 통하는 사신들의 배도 경유하는 지역이었다. 그에 따라 황해도는 사신의 숙식 공급에 따른 과중한 부담에 시달리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 국왕과 집권층을 향한 황해도민의 불만과 저항은 숙종의 즉위와 더불어 집단적 행동으로 이어졌다. 숙종 초 생불을 자칭한 僧 처경은 소현세자의 유복자를 자처하며 위조한 문서까지 들고 남인의 영수 許積을 찾아갔다. 福昌君 楨 집안의 사람이나 궁궐 나인과 가깝게 지내며 소현세자를 둘러싼 사건에 관해 소상히 들은 처경은 소현세자의 아들을 자처하며 남인과의 연결을 도모하였다. 결국 처경 일당은 伏誅되었으나 이 사건은 황해도에 여파를 남겼다. 황해도 여러 고을에는 사당이 세워지고 역모로 처형된 복창군・허적・처경이 함께 모셔졌으며, 이들의 영험함을 믿는 백성들이 몰려들었다.
    생불로 불리던 僧 여환은 生佛 신앙을 매개로 황해도민 및 중앙 훈련도감 소속 武人들과 연합하여 궁궐을 차지하려는 거사를 일으켰다. 여환은 황해도에서 생불 신앙을 믿는 일군의 무리를 만나고 영험한 무당과 결혼하는 등 그들과 연합하였다. 마침내 여환 일당은 훈련원에 모여 궁궐 진입을 계획하였고, 훈련도감 소속 무인을 비롯한 여러 무사와 사전 약속도 해 두었다. 여환 사건은 남인과 불만 무사들, 그리고 황해도민이 생불 신앙으로 얽혀 세상의 변화를 희망한 움직임이었다.
    차충걸은 鄭榏의 아들 鄭弼錫이라는 生佛을 찾아다니다 일군의 무리와 함께 체포・처형되었다. 주모자 모두가 거주한 곳도, 사건이 일어난 곳도 황해도였다. 정익은 서인의 공격으로 福善君 楠과 함께 처벌된 사람이다. 차충걸이 정익의 아들을 생불이라 하며 찾아다닌 것에서도 황해도 생불사건에는 집권 서인에 대한 반발이 담겨있음이 드러난다. 차충걸 사건은 여환 사건과 직접적인 연관을 가지면서 오로지 황해도민이 모여 일으킨 움직임이었다.
    이와 같이 백성들은 생불 신앙을 중심으로 잇따른 집단적 움직임을 보였으며, 이는 지배층이 주도한 주류문화에서 벗어난 조선후기 사회의 비주류 문화였다. 고통과 모순 속에서 황해도민은 집권층에 대한 불만을 생불 신앙과 결합하여 표출하였다. 생불 신앙을 중심으로 한 잇따른 역모 사건은 통치에 대해 민간의 신앙의 던지는 저항의 한 표현이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Living Buddha cases of Hwanghae province by Cheo-Kyeong(1676) - Yeo-Hwan(1688) - Chung-Geol Cha(1691) during the King Suk-jong regime in the Late Joseon Dynasty. First of all, this study reviewed the context of Hwanghae province to understand the cause of the Living Bhddha cases. Hwanghae province is an important region for military and diplomatic purpose and people in the province suffered a lot from Ming(明) and Ching(淸). The excessive demand by Mo Mun Ryong(毛文龍) of a general of Ming, and the Ching Dynasty gave huge burden to Hwanghae province. Rampant infectious diseases and disasters took place in the province which made the royal court to give special exemption of taxation. In addition, as the province is the strategic point of the staying of envoy to and from China, they suffered from excessive burden for providing accommodation and meal.
    In such situation, the discontent and resistance of people in Hwanghae led to a collective 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enthronement of King Suk-jong. A monk Cheo-Kyeong who pretended himself as a Living Buddha falsified a document, disguised him as the posthumous child of the Crown Prince Sohyeon(昭顯世子) and planned to link with Heo Jeok(許積), the head of Namin party. Although the Cheo-Kyeong party was broken up, shrines were installed in many villages of Hwanghae province and they were enshrined with Bokchanggun, Heo Jeok and Cheo-Kyeong who were executed by the treason. Many people gathered the shrine expecting for the miracle.
    A monk Yeo-Hwan who was called as a Living Buddha made a government resistance in association with people in Hwanghae province and the military forces in Military Training Command (Hullyŏn togam). Yeo-Hwan united with a group of people who believed in the Living Buddha while he married to a spiritual shaman in Hwanghae province. Finally, Yeo-Hwan’s party planned to attack the Royal Palace and arranged a plot with many military personnel in the Military Training Command. The case of Yeo-Hwan was a movement for the change of the world associated with Namin party, discontented military forces and Hwanghae province people under the umbrella of the Living Buddha belief.
    Chung-Geol Cha was seized and executed together with a group while seeking a Living Buddha named Cheong Pil Seok(鄭弼錫), a son of Cheong Ik(鄭榏). The case of Chung-Geol Cha took place in Hwanghae province where all leaders of plot lived. Cheong Ik was punished with Bokseongun Nam(福善君 楠) by the attack of Seoin party. That Chung-Geol Cha sought the son of Cheong Ik as a Living Buddha demonstrated resistance on the ruling Seoin party.
    As such, people had a collective action focusing on the Living Buddha belief, which was a sub-cul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the mainstream culture led by the ruling class. People in Hwanghae province expressed their discontent in suffering and contradiction against the ruling class in combination with the Living Buddha belief. The cases of consecutive government resistance with the Living Buddha in the center was an expression of a resistance by the popular religion against the government ruling.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