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루마니아의 ‘트로이차’와 장승·솟대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Romanian Cultural Heritage 'Troytsas (Troiţa)' and Jangseung·Sotdae(Korean traditional totem pole at the village entrance signifying prayer for a good harvest and village's peac)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1.04
28P 미리보기
루마니아의 ‘트로이차’와 장승·솟대 비교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유럽발칸연구 / 26권 / 231 ~ 258페이지
    · 저자명 : 김정환

    초록

    루마니아의 ‘트로이차’는 한 마디로 우리 문화의 ‘장승’이나 ‘벅수’ 또는 ‘솟대’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입간 습속의 대표적인 민속 조형물인 장승(벅수)과 솟대는 하위신으로서 민간과 밀착되어 부락이나 방위 수호, 산천비보, 읍락 비보, 호법, 경계표, 노표, 금표, 기자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신격화된 조형물을 의미하며, 장대나 돌기둥 위에 새를 앉힌 모양을 한 솟대는 북아시아 샤머니즘의 문화권 안에서 ‘세계수’와 ‘새’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매우 오랜 역사성을 지닌 신앙 대상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변별성을 부여하여 루마니아의 트로이차는 원시 민속학적 기원(수목의 토테미즘)에 뿌리를 둔 크리스트교 사상의 성스러운 구조물이라 할 수 있다. 트로이차는 마을의 입구나 출구 또는 길가 교차로에 세워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때때로 마을의 중심부에 세워져 트로이차 스스로 현실과 상상의 모든 길이 만나는 교차로서의 상징성을 내포하기도 하고, 마을과 마을의 경계에 세워져 노표의 기능을 하기도 한다. 과거 공동체의 삶은 ‘하늘의 기둥이나 원주’와 같은 성스러운 수목을 구심점으로 하여 확립되었으나, 근래로 넘어오면서 트로이차를 중심으로 한 공동체 형성으로 대체되기 시작하였는데, 하늘, 즉 신성과의 교감 또는 사다리나 계단 같은 ‘세계수’의 의미를 상징하게 되었다. 종교 신화적 테두리 안에서 ‘땅 밑’과 ‘땅 위’ 그리고 ‘하늘’을 이어주는 세계수의 상징을 가진 트로이차는 공간의 신성화는 물론 악령, 어둠, 지하세계와 같은 자연의 모든 사악한 기운에 대한 방어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토로이차는 한 민족의 다양한 공동체 속에서 과거와 현재, 성과 속,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하나로 결속시켜주는 종교 문화적 기호이자 상징이 되고 있다. 이와 유사한 관점에서 장승(벅수)과 솟대 역시 마을의 입구, 교차로, 마을 경계, 사원이나 대문 등 초자연적 존재들이 드나들거나 내·외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장소에 세워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마을의 안녕과 수호, 풍농, 액막이, 벽사, 노표 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트로이차’나 솟대, 장승 또는 그 복합형을 아우르는 ‘장승류’ 역시 유사한 점을 보이지만, 그 모습과 유형은 사뭇 다른 것이 특징이다. 장승이 잡귀나 질병을 내칠 듯이 입을 크게 벌려 몹시 노한 표정을 지으며 의인화된 모습을 보이는 반면 솟대는 ‘장대’와 ‘새’로 구성되어 샤머니즘의 범주 안에서 세계수의 상징성을 지향한다. 즉, 트로이차와 솟대가 입간민속의 하나로 지주나 선돌형을 보편적으로 유지하고 있다면, 장승은 기둥형이나 비석형에 바탕을 두되 우상형을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장승은 돌과 나무로 만들어진 석장승과 목장승이, 그리고 솟대 역시 나무와 당간 지주 형태의 돌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는 만물에 신령이 깃들어 있다는 다신적 만상이 시대를 거쳐 나무와 돌 등이 신의 처소로 되어가는 과정에서 수용된 것으로 인식된다. 트로이차의 재질 역시 주로 돌과 나무로 만들어지는데, 크리스트교 도입 이전의 트로이차는 하늘의 기둥이나 원주처럼 성스러운 구조물의 형태를 뗬으나, 크리스트교 도입 이후 십자가형이 주류를 이루며 성상(이콘)이나 교회의 포치 이형들도 등장하게 된다. 또한 트로이차나 솟대와 달리 장승은 성이 구분되는데, 남장승은 홍색, 여장승은 황색으로 채색되는 것이 특징이다. 루마니아의 일부 지역에서는 트로이차의 유형 중 ‘십자가형 트로이차’와 ‘성상(이콘)형 트로이차’가 복합적으로 앙상블을 이루기도 하는데, 이는 우리의 시골에서 자주 접하는 장승과 솟대의 앙상블과 매우 유사하다. ‘트로이차’와 ‘장승(벅수)·솟대’는 양국의 기층문화 속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는 마을 또는 공동체의 신앙으로서 수호와 비보, 골막이와 액막이, 노표로서의 주된 기능 외에도 솟대가 보여주듯 ‘우주목(세계수)’과 ‘하늘 새(물새)’의 결합처럼 예사롭지 않은 신앙의 구심 축을 이루는 입간 민속이 되고 있다.

    영어초록

    An artistic creation expressed as a cultural phenomenon symbolizes the characteristics of a nation's soul and mental life. The house or the church among the various formative arts reflects, in many cases, not only the proper and philosophical art, but also the religious belief and permanent national identity. The cultural heritage of a nation which shows us the religious symbol and signal in the great nature harmonized with the profane and the sacred, is also found easily in Romania. 'Troytsa (Troiţa)' and 'Jangseung·Sotdae' among them are representative.
    The Romanian cultural heritage 'Troytsa (Troiţa)' conforms very similarly, in a word, to the Korean cultural heritage 'Jangseung·Sotdae'. 'Jangseung' and 'Sotdae', the representative popular sculptured creation of the folk beliefs related to the totem pole, are close to villagers' life, being a low-ranking god among the village's gods. These deific creations have the functions of divine protection of village's peace, the signpost, the boundary, the defense of the constitution, the good harvest, the preventing misfortune, the prayer for children etc. The Sotdae which puts the birds on the pole or the stone column, is recognized as an object of belief mixed between the 'Tree of World' and the 'Bird of Soul' in the cultural area of North Asia shamanism. Unlike them, the Romanian 'Troytsa (Troiţa)', taken root in the ancient faith (the Totem of Tree), is a divine sculptured creation mixed with Christianity.
    The 'Troytsa (Troiţa)' is located generally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or the intersection of the roads. Moreover, the one constructed in the center of the village contains the symbol of the intersection which meets the whole imaginative roads and the other set on the border between neighboring villages having the function of the signpost. The sacred tree of pre-Christian as 'the Sky Columns' is the center of the life of the community in the ancient times, and nowadays the 'Troytsa (Troiţa)' is recognized as the center of community. The 'Troytsa (Troiţa)' has the significance as the Tree of World which links the land with the sky and the underground in the conception of the religious mythology. Having not only the consecration of the space, but also the prevention of whole misfortune and evils, the 'Troytsa (Troiţa)' means the religious signs and cultural symbols which unite the ground and the underground, the profane and the sacred, the continuance and the discontinuity. From this point of view, 'Jangseung' and 'Sotdae' are constructed on places such as the entrance of village, the intersection, the boundary, the monastery, the gate in which supernatural beings or villagers come in and go out and the contact between the interior and exterior gets accomplished.
    The 'Troytsa (Troiţa)', the 'Jangseung', the 'Sotdae' and their complexes have the same standpoint for the functions and characters, but their features and patterns are different. The 'Jangseung' keeps the angry and fearful countenance as much as to throw away the diseases and the evil spirits, but "Sotdae', consisted of the totem pole and the bird of soul, intends to be the symbol of the Tree of World. If the 'Troytsa (Troiţa)' and the 'Sotdae' maintain the style of the 'Menhir' or the 'Column' as one of the folk beliefs related to the totem pole, the 'Jangseung' preserves the 'Iconolatry', the 'Column' and the 'Tombstone'.
    The 'Jangseung' is made generally by wood and stone, and the 'Sotdae' is also constructed by the same materials. These materials are accepted through the outlook on the world which the divine spirits close in all things and the process in which the wood and the stone become the living place of gods. The 'Troytsa (Troiţa)' is also made by wood and stone. The pre-Christian 'Troytsa (Troiţa)' keeps a type of the 'Column', but after the acceptance of Christianity, this adopts the pattern of the crosses. Different to the 'Troytsa (Troiţa)' and 'the 'Sotdae', the 'Jangseung' has a distinction of sexes. The masculine 'Jangseung' is painted in red color and the feminine one is painted in yellow. In some Romanian regions, 'Troytsa(Troiţa)s' can be a complex between the 'Cruciform Troytsa' and the 'Icon-form Troytsa'. This is also very similar to the ensemble of the 'Jangseung' and the 'Sotdae'.
    The 'Troytsa (Troiţa)' and the 'Jangseung·Sotdae' are the popular beliefs of the community which have various functions as divine protection of village's peace, signpost, boundary, preventing misfortune, divine protection etc. The combination with the 'Tree of World (Cosmos)' and the 'bird(waterfowl) of Soul' in the 'Sotdae' becomes a folk belief related to the totem po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유럽발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