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조대 후반 탕평정국과 진산사건의 성격 (Tangpyeong Political Situation and Political Meaning of Jinsan Affair in the Latter half of King Jeongjo’s Reig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0.07
34P 미리보기
정조대 후반 탕평정국과 진산사건의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35권 / 35호 / 235 ~ 268페이지
    · 저자명 : 허태용

    초록

    이 논문은 정조 15년 진산사건의 정치적 의미를 살펴보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그동안 진산사건은 천주교사의 맥락 속에서 주로 이해되었으나 정조 후반기 탕평 정국의 전개라는 맥락 속에서 발생한 정치적 사건으로 바라볼 때 그 역사적 의미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조 전반기 내내 일정하게 유지되었던 노론과 소론의 공존은 재위 8년에 발생한 김하재 사건과 10년에 발생하였던 문효세자와 성빈의 죽음, 구선복의 옥사 등을 통해서 일정한 수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결국 정조는 재위 12년에 채제공을 우의정으로 임명하면서 청남계열들을 등용해 탕평의 규모를 확대하였고 동시에 조정자로서의 국왕의 위상을 강화시켰다. 그런 바탕 위에서 즉위 이래 추진해오던 임오의리의 단계적인 천명을 준비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 중심적인 역할을 채제공에게 기대하였다. 하지만 채제공 계열 인물들의 등용은 일부에서는 환국으로 받아들일 만큼 커다란 충격이었기 때문에 다른 정치세력들은 남인들의 지나친 세력 확장을 우려하면서 견제에 동참하고 있었다. 그들은 오대익과 윤영희 같은 채제공 측근의 비리나 처신을 집중적으로 공격하면서 채제공에게 정치적인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었는데 마침 채제공 계열의 인물들이 연루된 천주교 문제가 재위 15년에 진산에서 발생하자 채제공 계열을 더욱 맹렬하게 공격하기 시작하였다. 진산사건 속에 내재된 정치적 의미를 잘 알고 있던 정조는 ‘扶正學’의 강조라는 가급적 관대한 원칙하에서 사건을 처리하려고 하면서 채제공 계열에 대한 보호 의지를 드러냈고 나아가서는 영남인들의 학문적 순정함을 강조하면서 도산서원에서 과거를 실시하여 영남인들을 선발하였다. 이 조치는 채제공 계열의 인물들의 약점을 보완하는 동시에 그들을 측면에서 지원해주려는 의도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이러한 조치 직후에 영남의 유생 만여 명이 마치 호응하듯이 연명하여 사도세자에 대한 모함을 변석하고 의리를 밝히기를 청하는 萬人疏를 두 차례 올렸는데 그 시점이나 그들이 정조에게 받은 호의적인 반응을 감안해본다면 만인소는 사실상 정조 및 채제공과의 사전 교감이 없었다면 이루어지기 어려운 일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임오의리에 관한 문제가 정국의 핵심현안으로 떠오르자 시벽의 갈등은 다시금 더욱 심화되면서 분립은 고착화되어갔고 진산사건으로 인해 고립되었던 채제공 계열의 청남은 일정하게 정치적 고립을 벗어날 수 있었다.

    영어초록

    Jinsan Affair broken out in 1791 had not only religious meaning but also political meaning in the latter half of King Jeongjo's reign. Jeongjo had persevered in his efforts to enhance his dead father's position from the time of his enthronement. And in the latter half of his reign, Jeongjo get down to this plan with help of Chae Jegong and his political companions. Jeongjo appointed Chae Jegong as uuijeong in 1788, and simultaneously some his political companion like Yi Heongyeong, Jeong Bumjo were appointed as a member of important post in royal court. This changed situation made other political groups such as Noron, Soron greatly confuse, and they realized the necessity of political attack against Chae Jegong and his political companions.
    Jinsan Affair was broken out in this context. In 1791 Yun Jichung and Gwon Sangyeon who dwelled in Jinsan Jeollado, and a member of Chae Jegong's political companions abolished confucian religious ceremonies in spite of their Yangban status to follow teaching of Catholicism. This affair gave other political groups which tried to attack Chae Jegong and his political companions excuse. Finally they strongly asserted that Yun Jichung and Gwon Sangyeon would be punished severely, and the root of Catholicism would be eradicated. In fact, This action aimed at Chae Jegong.
    Because Jeongjo knew this context well, he tried to protect Chae Jegong and his political companions from the offensive of other political groups, and dealt with figures who were related to Jinsan Attair such as Yi Seunghun, Gwon Ilsin generously. Furthermore, Jeongjo stressed on the confucian purity of Yeongnam Namin to make up the weakness of Chae Jegong and his political companions, and Yeongnam Namin presented maninso(萬人疏) to Jeongjo that protest Sadoseja's innocence in response. Presenting maninso changed political situation that focused on Jinsan Affair to new situation. In this process Chae Jegong and his political companions could escape from political iso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