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세조대 공물 대납 公認의 정책적 맥락 (Study on the Political Context of Permission for Proxy Payment of Tribute during Sejo of Joseo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8.11
34P 미리보기
조선 세조대 공물 대납 公認의 정책적 맥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연구 / 72호 / 33 ~ 66페이지
    · 저자명 : 소순규

    초록

    본 연구는 세종대에서 시작된 공물대납의 부분적 허용이 세조대 전면적인 공인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공물 대납 정책이 어떠한 맥락 안에서 이루어진 것인지를 고찰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대납을 주로 불교계와의 관련성 하에서 다루어왔다. 그러나 필자의 검토에 따르면 공물 대납은 공납제 본연의 모순 해결이란 측면과 불교 승려에 대한 후원이란 두 가지 맥락에서 이루어졌다. 당시 대납에 부정적이었던 신료들은, 승려들이 대납에 개입되어 있는 상황을 빌미로 대납 전체를 비정상적인 것 또는 불교에 대한 후원으로 간주하여 비판하였다. 그러나 세종과 문종 그리고 세조는 이러한 비판에 대응할 때 본래 대납을 허용한 취지, 대납이 필요한 상황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다.
    세종대 최초 도입된 공물 대납은 본래 공납제가 가진 자체적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세종 말년에 이르러 세종이 친불성향으로 돌아서고, 이후 불교계에 대납권을 광범위하게 인정해주면서 공물 대납이 불교 문제와 깊은 연관을 맺게 되었다. 세종 사후 문종대에 이르러 관료들은 대납의 폐지를 강하게 주장하였지만, 문종은 대납 정책의 정책적 의도를 파악하고 있었기에 폐지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표명하였다. 세조 역시 집권 초반 문종과 마찬가지였으나, 집권 중반기에 이르러 오히려 대납을 전면적으로 공인하면서 이전과는 확연히 다른 대납정책을 시행하였다.
    세조의 대납 전면 공인에는 대납가 산정, 대납 시행 절차의 정비 등 여러 가지 부수적인 정책들이 필요하였다. 아울러 세조 집권 후반기에 이루어진 공안의 개정에도 대납정책이 영향을 미치게 되어, 불산공물의 존재를 인정한 상태에서 각 군현의 공물을 분정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세조대 대납의 전면 공인에서도 여전히 불교계 인사들의 대납 개입은 막을 수 없었고, 이와 더불어 공물 납입이 지체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에 이르렀다. 이리하여 세조의 대납 전면 공인 정책은 다음 국왕인 예종의 즉위와 함께 백지화되기에 이르렀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process that partial permission for proxy payment of tribute, which began from King Sejong, became the full-scale permission during King Sejo, and determining the context of the policy of proxy payment of proxy in the process. Previous researches have treated proxy payment based on the correlation with Buddhism. However,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investigation, proxy payment of tribute was conducted in two contexts, the aspect of settlement of the natural contradiction of tribute system and the aspect of support for Buddhist monks. The officers, who were negative about tribute during that time, criticized the whole tribute as an abnormal system or support for Buddhism, based on the situation where Buddhist monks intervened in proxy payment. Nevertheless, Sejong, Munjong, and Sejo fully perceived the purpose of permitting proxy payment and the situation which required proxy payment, when they responded to such criticism.
    Tribute proxy payment, firstly applied during Sejong, originally intended to settle the contradiction of tribute system itself. However, as Sejong became pro-Buddhism during his latter years, accordingly, as proxy payment right in Buddhism was extensively permitted, tribute proxy payment became deeply associated with the matter of Buddhism. The government officials strongly insisted on abolition of proxy payment during Munjong, after Sejong’s death, however since Munjong comprehended the political intention of proxy payment, he expressed a careful position on the abolition of it. Sejo was also in the same position as Munjong during his initial years, however he fully adopted proxy payment in his middle stages, all the more, implementing definitely different proxy payment policy. Sejo’s full-scale permission for proxy payment required several subordinate policies, such as calculation of proxy payment value, organization of proxy payment procedure, etc. Also, proxy payment policy also influenced revision of tribute system during the latter stages of Sejo’s reign, tribute of each Gun Hyeon was arranged(分定) as the existence of Buddhistic tribute. Nevertheless Sejo’s full-scale permission for proxy payment, Buddhist persons’ intervention in proxy payment was not prevented, and problems such as delay of tribute payment occurred. Accordingly, Sejo’s full-scale permission for proxy payment was eliminated along with enthronement of Yejong after Sej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