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송대(宋代) 주돈이 철학에 미친 불교의 영향 (Influence of Buddhism on Philosophy of Zhou Dunyi in Song( ) Dynasty)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1.07
18P 미리보기
송대(宋代) 주돈이 철학에 미친 불교의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43권 / 7호 / 527 ~ 544페이지
    · 저자명 : 김제란

    초록

    주돈이(周敦頤, 1017-1073)의 ‘무극태극설(無極太極說)’은 유학의 ‘태극(太極)’과 노장의 ‘무극(無極)’ 개념을 조화시킨 것이다. 이것은 불교에서 바다와 파도의 비유로 표시되는 일심(一心)과 식(識)의 해석으로 이해할 수 있다.
    대승기신론 에서 ‘태극’은 의언진여(依言眞如)와, ‘무극’은 ‘이언진여(離言眞如)’와 연관이 된다고 보기도 한다. 만물이 태극을 포함한다는 견해는 불교의 ‘일즉일체(一卽一切)’ 사상의 해석이다.
    주돈이가 무극태극설을 주창하게 된 것은 당대 종밀(宗密)의 원인론 과 대승기신론 을 통하여 대승불교 사상을 접하였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논자는 무극· 태극의 관계는 이언진여· 의언진여의 관계보다는 심진여문· 심생멸문의 관계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종밀 사상은 노자 사상을 대승기신론 의 아라야식 사상을 가지고 해석하는 데서 출발한다. 이러한 사고 방식으로 역(易) 을 볼 때, 태극은 혼돈의 일기(一氣), 즉 아라야식이 되고, 여래장이 된다. 이 때 불생불멸의 여래장은 무극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태극이무극’이 된 것이다.
    이처럼 주돈이 철학에서 노장 사상과 역 의 조화는 불교를 매개로 하였고, 이 점에서 불교가 영향을 끼쳤다고볼 수 있다.

    영어초록

    Zhou Dunyi( , 1017-1073)'s 'Wuji-Taiji Theory( )' harmonized the concept of ‘Taiji ( , Supremr Ultimate)’ of Confucianism and the concept of ‘Wuji( , Non-Ultimate)’ of Daoism. This can be understood as the interpretation of ‘One mind’ and ‘alaya consciousness’ expressed in the parable of the sea and the waves in Buddhism. It is also considered that in The Awakening of Faith ( ), Taiji is related to ‘Yiyan True Thusness’( ) and Muji is related to ‘Liyan True Thusness’( ). The view that all things contain Taiji is an interpretation of the Buddhist idea of one-is-all and all is one( )'.
    Zhou Dunyi advocated for the theory of Wuji-Taiji Theory because he came into contact with Mahayana Buddhism through Yuanrenlun( ) by Tsung-mi in Dang dynasty and theory of The Awakening of Faith. However, I believe that it is more appropriate to 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Muji and Taiji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spect of Mind in terms of the Absolute’( ) and ‘the aspect of Mind in terms of phenomena’( ). Tsung-mi thought starts from interpreting Lao-tzu thought with the Alaya Conscousness thought of The Awakening of Faith. When we look at Book of Change ( )” in this way of thinking, Taiji becomes chaotic Yiqi( ), thus Alaya Conscousness, and becomes Tathahatagarbha. At this time, the immortality of the Tathagata can be said to be Muji. Therefore, it became ‘Wuji Taiji Theory’.
    In this way, the harmony between Daoism and the theory of Book of Change in Zhou Dunyi's philosophy was mediated by Buddhism, and it can also be said that Buddhism had an influence in this resp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