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황해도굿 무구 ‘둑대’의 의미와 기능 (The Meaning and Function of 'Dukdae', a Shamanistic Tool Used in Hwanghae-do Gut)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2.09
28P 미리보기
황해도굿 무구 ‘둑대’의 의미와 기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79권 / 79호 / 43 ~ 70페이지
    · 저자명 : 홍태한

    초록

    이 글은 황해도굿 <군웅거리>에 사용하는 무구 둑대의 의미와 연원을 찾은 글이다. 황해도굿 <군웅거리>에 사용하는 둑대는 그동안 군웅대로 알려졌는데 <초감흥거리>에서 이미 둑대를 제작하여 무구로 사용하므로 군웅대는 정확한 명칭은 아니다. <초감흥거리>에서 둑대를 흔드는 것은 <초감흥거리>가 그날 굿에 사용할 무복과 무구를 모두 둘러내기 때문이다. <군웅거리>에서는 둑대에 방울을 달아 무구로 사용한다. 제물로 올린 통돼지를 사냥하는 도구 역할을 둑대가 한다. <군웅거리> 이후에 진행되는 <타살감흥거리>에서 둑대가 다시 사용되는데 이때는 제물을 운감하는 데 사용하고 모든 액을 물리기 위해 둑대를 밖으로 던진다. 이처럼 둑대는 <초감흥거리>부터 <타살감흥거리>까지 사용하는 무구로 군웅대로 한정할 수는 없다. <군웅거리>에서는 둑대에 방울을 단다. <군웅거리>의 특징을 둑대의 방울이 보여준다고 할 수 있지만 <군웅거리>의 연행 상황을 바탕으로 할 때 특별한 기능을 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두레기에 방울이 달려있지만 특별한 기능을 하지 않는 것과 동일하다. 둑대에 방울을 다는 것은 둑제에서 중심이 되는 둑기의 형상을 둑대가 계승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둑기의 모습은 방울의 모습을 연상하게 하고, 조선왕조실록에는 둑기가 스스로 울어 변고를 알렸다는 기록이 있어, 둑기를 수용한 둑대에 방울을 단 것으로 보았다. 무엇보다 황해도굿이 싸움굿이라는 황해도굿 종사자들의 말에 주목하여 군사문화를 수용한 흔적이 둑대라고 보았다. 하지만 이러한 논의는 개연성을 가지기 위해서 좀 더 다양한 자료를 찾아 보완하여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meaning and origin of Dukdae, a shamanistic tool used in Hwanghae-do Gut <Gununggeori>. Dukdae used in Hwanghae-do Gut <Gunwoonggeori> has been known as Gunwoongdae so far, but as Dukdae was already made and used as a shamanistic tool in <Chogamheunggeori>, Gunwoongdae is not the exact name. The reason for shaking Dukdae in <Chogamheunggeori> is to adapt to the Gutpan by sharing all the shamanistic clothes and tools to be used at the Gut, <Chogamheunggeori>, on that day. In <Gunwoonggeori>, bells are attached to Dukdae and used as shamanistic tools. Dukdae has roles as a tool to hunt the pig offered as a sacrifice entirely. In <Tasalgamheunggeori> that is performed after <Gunwoonggeori>, Dukdae is used again, and at this time, it is used to see if the sacrifice is satisfying, and then, it is thrown out to drive away all the evils. As described above, Dukdae is a shamanistic tool used in <Chogamheunggeori> and <Tasalgamheunggeori>, and the name, Gunwoongdae, is not accurate. In <Gunwoonggeori>, bells are hung on Dukdae. The bells on Dukdae can be said to characterize <Gunwoonggeori>; however, considering the progress of <Gunwoonggeori>, we can conclude that they do not have special functions. This is the same as the bells hung on Duregi having no particular functions. This researcher assumes that bells are attached to Dukdae because the shape of Dukgi that forms the center of Dukje is handed down by Dukdae. The appearance of Dukdae reminds us of the shape of bells, and there is a recor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at Dukdae cried on its own to announce the crisis. This is why bells are hung on Dukdae that follows Dukgi. Above all, those engaged in Hwanghae-do Gut say Hwanghae-do Gut is Gut of Fighting, and with that, this author sees that Dukdae is a trace of adopting military culture. To make this discussion more plausible, however, it will be needed to search more data for further complemen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