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충북대학교역사관의 건립과 활용 방안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Plans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istory Exhibition Hall)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2.10
32P 미리보기
충북대학교역사관의 건립과 활용 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담론 / 104호 / 65 ~ 96페이지
    · 저자명 : 김영관

    초록

    충북대학교역사관은 충북대학교의 역사와 정체성 및 미래 비전을 보여주기 위해 만든 곳으로 2022년 3월에 문을 열었다. 충북대학교는 1951년에 개교하였지만, 대학의 역사를 제대로 보여줄 공간이 없었다. 그러므로 학교 구성원들은 물론 신입생들과 입학을 희망하는 수험생들, 학교를 방문하는 외부인들에게 학교의 역사와 전통을 알리고 소개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 필요가 있었다.
    이에 2021년에 개교 70주년을 맞아 학교역사관을 만들 계획을 수립하였고, 박물관에서 주관하여 개관을 추진하였다. 우선 전시공간은 여러 번의 논의 끝에 1956년에 준공된 학교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인 제2본관을 리모델링하여 사용하기로 했다. 그리고 건물의 외관은 건축 당시의 원형을 복원하여 역사성을 보전하기로 하였다.
    전시할 자료는 기존에 수집하여 가지고 있던 자료들 이외에 졸업생들과 교직원들을 대상으로 기증 운동을 벌여 확충하였다. 특히 개교 당시 사용한 교기를 비롯해 유실된 3개의 교기는 새롭게 복원해 전시하였다.
    전시내용은 학교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교시와 교표, 교가, 교화와 교목 등을 보여주고, 학교사를 연표로 제시하면서 실물 자료도 함께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학교 공간의 변천과 학생 생활의 시기별 특징과 단면들을 실물 자료와 사진, 영상 등을 통해 보여주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미래 비전을 영상으로 표출하여 보여주고자 했다. 전시기법은 입체적인 전시를 추구했고, 영상과 디지털 큐브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학교역사관은 단순히 전시만을 하는 공간으로 만들면 활용도가 떨어질 것이므로 전시관 이외에 총동문회 사무실, 학교사 자료보관실, 첨단시설을 갖춘 세미나실, 대회의실, 북카페 등을 함께 배치해 활용도를 높였다.
    충북대학교역사관은 학교의 역사와 전통을 홍보하는 곳일 뿐만 아니라, 원래 건물의 건립 목적에 맞는 강의공간으로써의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동문들이 방문해 추억을 나눌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시민들을 위한 강좌를 열고 있으며, 학생들이 쉴 수 있는 휴게공간으로의 역할도 하고 있다.

    영어초록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istory Exhibition Hall was officially opened in March 2022 to show the history, identity, and future vision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The University was established in 1951, but there was no space to show its history correctly.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create a space to inform and introduce the history and tradition of the school to school members such as students, professors, and employees, as well as new students, test takers who wish to enter the school, and school visitors. Accordingly, university authorities planned to create a university history exhibition hall to mark the 70th anniversary of the University’s opening in 2021, and the university museum organized it.
    First of all, after several discussions, it was decided to remodel and use the second main building, the oldest building in the school, completed in 1956. Also, university authorities decided to preserve its historicity by restoring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as it was at the construction time.
    In addition to the existing materials collected, they expanded the exhibition object of the Exhibition Hall through a donation campaign for graduates and faculty members. In particular, the three missing school flags, including those used at the opening, were newly restored and displayed.
    The exhibition’s contents were to show emblem, educational guidelines, school song, school flower, and school tree that show the University's identity. In addition, the university authorities decided to show actual data while presenting the chronology of the University’s history from the opening to the present. Next, the changes in school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student life were shown through physical data, photos, and videos. Moreover, they tried to show the University’s future vision by expressing it in a video. The exhibition technique pursued three-dimensional exhibitions rather than flat ones and actively utilized videos and digital cubes.
    The Exhibition Hall will be less utilized if it is created only for exhibition. Thus, the alum office, the school’s history data storage room, the seminar room with high-tech facilities, the conference room, and the book cafe were placed together to increase its utilization.
    The Exhibition Hall is not only a place to promote the history and tradition of the University but also a space where alums can visit and share memories while maintaining its function as a lecture space suitable for the original building’s purpose. It also holds liberal arts lectures for local citizens and serves as a rest area for stud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