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태조~현종대 노비 관리 정책의 성격과 추이 (The Nature and Evolution of Slave Management Policies during the Reigns of Taejo to Hyeonjong)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4.12
34P 미리보기
태조~현종대 노비 관리 정책의 성격과 추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중앙사론 / 63호 / 5 ~ 38페이지
    · 저자명 : 김우택

    초록

    이 연구는 고려 초기 노비 관리 정책을 새로운 왕조의 지위 체계 정비 라는 맥락에서 분석한것이다. 고려사회에서 노비는 최하층에 놓여 정치적 참여와 국가적 시책에서 배제된 집단이었다. 이들을 관리하는 정책은 국가적 목표에 따라 시기별로 달라졌고, 이에 대한 노비의 대응 또한 다음시기의 정책에 영향을 주었다.
    태조는 ‘安民’을 내세우며 왕조의 정당성을 선전하였다. 이에 배역 행위는 천명을 거스르는 중죄로 규정하였다. 정치적 반대세력은 사형보다 관· 사노비화 등으로 처분되었으며, 이는 정치적 참여를 차단하기 위한 조치였다. 태조는 이를 후대에도 유지하도록 훈요 8조를 남겼고, 이러한 정책은 노비를 반역자의 후손으로 보는 인식을 확산시켰다.
    광종은 태조의 지향점을 계승하며 사노비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비 안검법을 시행하였다. 이는 양인이 노비로 전락하는 것을 막고 국가의 지위 체계 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노비안검 시행으로 많은 사노비가 방량되었으며, 이는 전국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성종은 광종 시기의 노비 정책으로 발생한 사회적 갈등을 해결하고자 노비 방량을 억제하는 정책을 펼쳤다. 다만 조정이 추구하는 정책에 부합하게 행동하면 특별히 방량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였다. 하지만 방량된 노비라도 주인을 경시하면 다시 노비로 환원되는 정책을 함께 시행하였다. 이는 현종대에 더욱 강화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slave management policies of early Goryeo in the context of reorganizing the new dynasty’s hierarchical system.
    Positioned at the bottom of society, slaves were excluded from political participation and state welfare initiatives. Policies regarding slaves evolved with the state’s priorities, and slaves’ responses influenced future measures.
    King Taejo legitimized his rule by promoting "fostering public welfare" (安民) and equating rebellion with defiance of the Mandate of Heaven. Dissidents were demoted to public or temple slaves to block political re-engagement. This policy, institutionalized in the Eighth Articles of Royal Instruction (訓要八條), reinforced the view of slaves as traitors’ descendants.
    King Gwangjong expanded Taejo's vision by introducing the Slave Review Act (奴婢按檢法) to prevent freeborn individuals from being enslaved and to bolster the hierarchical order. This act led to significant slave emancipation nationwide.
    King Seongjong, addressing unrest from these reforms, curtailed emancipation while allowing conditional freedom. He enacted policies to return freed slaves to servitude if they disrespected former masters, a system later tightened under King Hyeonj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앙사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