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설문대전설>과 <변강쇠가> 그리고 디아스포라 (Seolmundae-legend and Byeongangsoe-ga and Diaspora)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4.02
29P 미리보기
&lt;설문대전설&gt;과 &lt;변강쇠가&gt; 그리고 디아스포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학 / 92호 / 7 ~ 35페이지
    · 저자명 : 강지영

    초록

    이 연구에서는 <설문대전설>과 <변강쇠가>를 주요 텍스트로 영토성과 탈영토성, 재영토화 및 디아스포라를 읽어내 보았다. 먼저 고유의 영토성을 확보하게 되면 뿌리내릴 곳을 찾아 떠돌게 되는 디아스포라적 떠남이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가정하고 <설문대전설> 중 설문대할망이 물장오리에 빠져 죽은 각편을 중심으로 제주도 생성 장면을 읽어냈다. 들뢰즈의 영토성과 탈영토성 주제어로 제주도가 육지와 영토성을 확보하였음을 먼저 밝혀냈다. 이를 통해 땅에서 만들어진 제주도가 탈영토화를 통해 땅과는 다른 고유의 영토성을 확보하여 제주도 사람들이 정신적 물질적으로 뿌리내릴 수 있는 당이 되어주고 있음을 해독해 보았다.
    제주도가 섬이라는 고유의 영토성을 확보했다는 것을 전제로 팥죽에 빠져 죽은 어미를 먹게 되는 내용을 남고 있는 <설문대전설> 각편을 다음으로 살펴보았다. 이 각편에서는 막내아들이 어머니와 형제들을 떠나 섬이 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필요에 의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떠밀려 어쩔 수 없이 선택해야 하는이동을 통해 심리적 놀람과 충격에서 디아스포라적 이동이 일어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설문대전설> 팥죽 각편에서는 정착의 측면은 보여주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초기 디아스포라적 면모를 담고 있다고 읽어냈다.
    <변강쇠가>는 마을에서 쫓겨난 옹녀와 강쇠가 외진 산으로 이동하여 육지 내섬처럼 남겨진 산에서 정착하려는 모습을 보여준다. <변강쇠가>에서는 두 사람의 떠남이 ‘추방’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에서 디아스포라적 떠남을 읽어냈다. 이들의 ‘추방’을 두 사람을 마을의 재영토화 도구로서 유용하지 않은 코드라 판정되어 마을이 제거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변강쇠가>에서는 <설문대전설>과 다르게후기 디아스포라에서 보여주는 정착을 위한 노력도 나타남을 살펴보았다. 하지만 가난으로 인해 두 사람의 정착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끝내 강쇠가 죽은 데서 강쇠는 정착에 실패한 것으로, 옹녀에게 마을로 내려가 ‘백년해로’하라고 한 뎁득이의 말에서 옹녀의 정착은 확정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해석했다.
    이 연구에서는 고유의 영토성을 확보하여 재영토화에 성공하여야 디아스포라적 떠남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음을 전제로 디아스포라의 떠남과 이동, 정착을 주제어로 <설문대전설>과 <변강쇠가>의 재독, 디아스포라적 정착은 영토화와 탈영토화의 반복을 통한 재영토화의 성공에 있음을 읽어냈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diaspora in Seolmundae-legend and Byeongangsoe-ga is read. It is assumed that the diasporic departure that wanders in search of a place to take root does not appear in case unique territoriality is secured. This study focuses on the scene of Jeju Island’s creation, centering on the episode in Seolmundae-legend where grandma-Seolmundae drowns to death, and reveals that Jeju Island has secures its own territoriality through Deleuze’s themes of territoriality and deterritorialization. Jeju Island, which was created from the earth, secures its own territoriality different from the earth through deterritorialization.
    Another version of Seolmundae-legend, which leaves a bizarre story of sons eating his mother drowning in red bean porridge is analyzed. On the premise that Jeju Island has secured its own territoriality as an island, diasporic migration, which is not a choice made out of necessity but a choice forced by circumstances would be from the psychological surprise and shock. Seolmundae-legend, only shows the early diasporic escape but it does not show the satisfactory settlement.
    Byeongangsoe and Ongnyou who have been kicked out of their village, move to a remote mountain and try to settle down on the mountain, which is left as an island within the land. The diasporic escape of the two texts could be read by the exile from the town.
    The exile is administered by the town, and it could be analyzed that they are considered unusable as a tool for reterritorialization. The efforts to resettle in the mountain appears in Byeongangsoe-ga.
    However, in the end, Byeongangsoe dies, and it could mean that Byeongangsoe fails in settlement. Ongnyou’s settlement could not be confirmed from Dedup’s words that Ongnyou should have marriage to settle.
    Seolmundae-legend and Byeongangsoe-ga are reread on the premise that diasporic escape could not emerge only in the condition that one has secured its own territoriality with the theme of diasporic escape, movement, and settlement. In conclusion, the diasporic settlement lies in the success of re-territorialization through the repetition of territorialization and deterritoria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