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의 화성・오산 일대 진출과 지역 장악 (Baekje’s Advance into Hwaseong&Osan Areasand the Domination of the Region)

5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4.05
55P 미리보기
백제의 화성・오산 일대 진출과 지역 장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백제학회
    · 수록지 정보 : 백제학보 / 48호 / 209 ~ 263페이지
    · 저자명 : 한지선

    초록

    경기 화성・오산시 일대는 백제가 충청 이남 방향으로 남진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핵심 지역이자 유력한 세력이 입지한 곳이었다. 본고는 화성・오산 동부 내륙 지역의 2~5세기 생활・분묘 유적을 검토하였으며, 백제의 남쪽 방면 진출 전략과 지역 장악력이 강화되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화성・오산 일대 지역 집단은 하천 유역별로 지역색 유지 여부・위상・백제와의 친연성 측면에서 다른 성격을 지녔던 것으로 보인다. 주거지・분묘 양상을 통해 볼 때, 황구지천과 발안천 유역은 지역색이 비교적 약했던 반면, 진위천과 오산천 유역은 5세기까지 지역색이 유지되었다. 위세품 등 출토 유물의 위상 측면에서는 진위천과 오산천 유역이 특징적이며, 백제와의 친연성 측면에서는 발안천 유역이 주목된다.
    백제는 4세기 이후 취락 재편, 축성, 위세품 사여 등의 방식을 통해 화성・오산 일대를 장악해갔다. 백제 중앙의 물질문화는 발안천 유역의 교통로를 따라 먼저 확산되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원삼국시대 이래 진위천 유역과 오산천 유역의 지역 집단에 비해 발안천 유역 지역 집단의 지역색과 통합도가 미약했던 점을 생각해볼 수 있다.
    4세기 중엽 이후 백제는 기존의 취락을 재편하고 성곽을 축조하면서 새로운 거점을 마련하였다. 진위천 유역의 길성리 일대에서는 4세기 중엽 길성리토성이 폐기되고 취락이 확장되었으며, 5세기대에 백제 주도의 축성 작업이 이루어졌다. 소근산성 축조 과정에서 백제는 지역 장악력을 강화하고 경기 남부 지역 교통로와 연결되는 성곽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했다. 오산천 유역에서도 4세기 중엽 이후 백제에 의해 농경・저장에 특화된 중심 취락과 대규모 저장수혈군이 조영되었다. 이를 통해 4세기 중엽부터 오산-화성-평택을 잇는 선이 백제의 교통로로 더욱 활발히 사용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 시기 진위천과 오산천 유역에서 취락 재편 현상이 진행되는 가운데, 주요 분묘에서는 위세품류가 부장되었다. 분묘 출토 위세품류에는 중앙 권력에 협조적인 세력을 선택하여 지역 사회 질서를 재조정하고자 한 백제의 의도가 함축되어 있었다. 오산 수청동 유적에서는 5세기 이후부터 대형 주구목관(곽)묘의 전통이 단절되고, 위세품류가 부장된 주요 분묘가 다른 묘역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확인된다. 한편 화성 요리 일대에서는 한 고분군에서 복수의 금동관모가 출토되어 주목된다. 묘제, 취락 재편 상황, 금동관모와 공반하는 유물 등을 고려할 때, 요리 고분군 일대에서 출토된 착장용 금공품은 지역 내 최상위 수장의 권위를 표상한다고 해석하기 어렵다. 오히려 백제 중앙에 협조한 인물이 받은 대가 혹은 백제가 지역 세력 재편을 위해 활용한 도구였을 가능성이 높다. 화성 지역 출토 금동관모・식리는 백제 위세품의 존재 유무만을 기준으로 지방지배 방식을 일괄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백제는 4세기 중엽 이후부터 적극적으로 기존 취락을 재편하거나 거점성을 쌓는 방식으로 지배력을 강화하였다. 이와 함께 지역 집단에 위세품을 사여함으로써 백제 중앙에 유리한 방향으로 집단 내부의 질서를 조정하였다.

    영어초록

    The region of Hwaseong and Osan, where local political forces were situated, was a crucial area that Baekje had to pass through in its southward expansion beyond Chungcheong. This study examines Baekje's strategy for its expansion southward and the process by which Beakje reinforced its central control,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tombs and dwellings dating from the 2nd century to the 5th century.
    It appears that local communities in the Hwaseong-Osan area had distinct characteristics across different river basins in terms of three aspects: whether the local culture was maintained, status, and affinity with Baekje. The Hwangguji and Balan stream basin sites have relatively weak regional color. On the other hand, the regional groups of the Jinwi and Osan stream basins maintained their own local color until the 5th century. The status of the local communities of the Jinwi and Osan stream basins remained high. And the Balan stream basin was characteristic in terms of high affinity with Baekje.
    From the 4th century, Baekje attempted to dominate the areas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reorganizing existing villages, building fortresses, and bestowing prestige goods. The material culture of Baekje spread along the route of the Balan stream basin first, where the degree of integration of local groups was relatively weak.
    From the mid-4th century, Baekje reorganized existing settlements and established new centers by building fortresses. In the Jinwi stream basin, Gilseong-ri Fortress was abandoned and the settlements reorganized around mid-4th century. In the 5th century, Baekje led the construction of a new fortress, Sogeun Mountain Fortres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Sogeun Mountain Fortress, Baekje attempted to enhance the control over the region and establish a network of fortresses, connected with the transportation routes of the southern Gyeonggi Province. In the Osan region, Baekje established central settlements serving special functions such as farming and storage, and plenty of storage pits from the mid-4th century. It is presumed that the route connecting Osan-Hwaseong-Pyeongtaek was more actively used as Baekje's transportation route from the mid-4th century.
    As the reorganization of settlements happened, prestige items came to be buried as grave goods in the major local tombs. The prestige goods excavated from the tombs implied Baekje’s intention to reshuffle the social order of local communities by selecting groups that had been cooperative with Baekje’s central power. At Soocheong-dong, the construction of large-scale tombs, which had been situated in the separate location stopped altogether from the 5th century. On the other hand, key tombs with prestige grave goods began to be constructed in a different burial zone. Meanwhile, in the Yo-ri area, the discovery of multiple gilt-bronze crown caps from a single site draws attention.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the metal craft items from the Yo-ri wooden cist tomb represent the authority of the highest-ranking leader in the region, given the burial structure, plain grave goods and nearby villages reorganized by Baekje. Rather, they appear to have been rewards given to an individual that had cooperated with the Baekje or tools used by Baekje for the reorganization of local powers. The prestige items in Hwaseong region, shows that the mere presence or absence of Baekje's prestige items cannot be used as a universal explanation for local governance methods.
    From the mid-4th century, Baekje actively strengthened its dominance by reorganizing local settlements or building central fortresses. The bestowing of prestige goods to local groups was also a strategy to reconstruct the local internal order in a way favorable for Baekj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