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40~1950년대 조선 비교문학에 관한 고찰 (A Study on Comparative Literature in DPRK in the 1940~50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1.06
30P 미리보기
1940~1950년대 조선 비교문학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24호 / 379 ~ 408페이지
    · 저자명 : 마성은

    초록

    본고는 1940~50년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조선) 비교문학을검토하였다. 우선 8.15 민족해방 이후 민족문화 모색기에 있어 소비에트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이하 소련)문학을 섭취하고자 했던 논의를 살펴보았고, ‘해외문학파’와 ‘코스모포리타니즘’을 비판함으로써 대한민국(이하한국) 문단을 비판했던 모습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당시 조선에서 소련문학이 어느 정도 번역・소개되었는지 살펴보았고, 소련문학의 번역・소개가 시 창작에 미친 영향도 살펴보았다.
    한국에서 조선의 비교문학은 거의 논의된 바가 없다. 조선문학사를 돌이켜 보더라도, 비교문학에 관한 논의는 비중 있게 다루어지지 못했다. 하지만 조선에서도 비교문학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던 시기가 있었다. 바로 8・15 민족해방 직후부터 1950년대까지의 시기이다.
    8・15 민족해방 이후 조선문학예술계에서는 ‘민족문화론’을 제기하는 글들이 연이어 발표된다. 민족문화론의 주된 논점 가운데 하나는 소련과의국제적 친선을 도모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조선문학은 그 건설단계에서부터 소련문화예술과의 교류를 강조했다.
    1940~50년대 조선에서 이루어진 비교문학에 관한 논의에서 흥미로운것들 가운데 하나가 바로 ‘해외문학파’와 ‘코스모포리타니즘’에 대한 비판이다. 이러한 비판은 곧바로 당시 한국 문단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더욱 주목할 만하다.
    한효는 1949년에 발표한 장문의 평론 「민족문학에 대하여」를 통하여‘해외문학파’와 ‘코스모포리타니즘’을 비판하고 ‘인터나쇼날리즘’을 주장하는데, 이를 통하여 당시 조선에서는 비교문학을 ‘프로레타리아 국제주의적 관점에서 소련문학을 섭취함으로써 조선의 민족문학 건설을 뒷받침할수 있는 방법론’으로 인식했다고 볼 수 있다.
    1940~50년대 조선의 비교문학이 주로 소련문학을 대상으로 설정하고있었음을 고려할 때, 당시 조선에서 소련문학이 어느 정도 번역・소개되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물론 분단 상황에서, 그것도 조선에서 이미 비교문학에 관한 논의를 찾아보기 어려워진 실정에서 1940~1950년대 조선의소련문학 번역・소개 실정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일부 평론과 문헌을 통하여 당시 조선의 소련문학 번역・소개 상황을어느 정도는 가늠해 볼 수 있다.
    1940~50년대 조선에서 비교문학에 관한 논의는 주로 이론 영역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창작 영역에서 비교문학의 양상을 검토하는 것은 상당히어려운 작업이다. 하지만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 기관지 『문학예술』 1950년 2월호에 발표된 이정구의 「쏘베트 시문학과 우리 시인들」을 통하여 시창작에 나타난 비교문학의 면모를 가늠해 볼 수 있다.
    이미 1950년대에 단행본으로 350권 이상의 번역 작품을 내놓은 바 있을만큼, 조선 비교문학의 토양은 척박하지 않았다. 그러나 1956년 ‘8월종파사건’ 이후 ‘천리마시대’가 도래하면서 조선에서는 더 이상 비교문학에 관한 논의가 진행되지 못했다. 이후 조선이 국제무대에서 고립되면서 조선문학 역시 비교문학을 배제하고 자체 내에서만 해명하고자 하는 배타적고립으로 떨어지고 말았다. 이러한 조선문학의 배타적 고립은 주체문학과선군문학으로 이어지면서 외국문학과의 소통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영어초록

    In the Republic of Korea (hereafter ROK), there has been few discussion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ereafter DPRK). Thinking back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of DPRK, there has not been weighty discussion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the 1940~50s, however,there was active discussion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DPRK.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many critics in the North promoted ‘National Culture’. One of the main points of ‘National Culture’ was to establish amicable relations with the USSR. From its beginning, literature of DPRK emphasised the importance of cultural exchange with the USSR.
    One of the interesting points of the discussion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DPRK is its criticism of ‘Foreign Literature Group’ and ‘Cosmopolitanism’. This criticism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connected to criticism of the literature of ROK.
    In Hyo Han’s lengthy critical essay, ‘About National Literature’, published in 1949, Hyo Han criticised ‘Foreign Literature Group’ and ‘Cosmopolitanism’,and promoted ‘Internationalism’. With this, it can be said that comparative literature was perceived in the DPRK as a methodology to build ‘National Literature’ by learning literature of USSR in the viewpoint of internationalism. Considering that one of the main objects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DPRK was literature of USSR, it is required to see how much of literature of USSR was translated and introduced in the DPRK. And yet, as Korea is divided and it is now very hard to find any traces of discussion of comparative literature even in the DPRK,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collect enough material about the situation of the DPRK in 1940~50s. Despite the fact, we can understand the situation more or less via some critics and material about translation and introduction of literature of USSR in the DPRK.
    The base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DPRK was not so poor, as over 350titles were translated and published as early as 1950s. And yet, after ‘August Affair of Sect’ and ‘The Period of Chollima Movement’ that followed, comparative literature ceased to be a topic of discussion in the DPRK. Since that time, as DPRK was isolated from the outside world, literature of DPRK excluded comparative literature and cut itself off from literature of the outside world as well.
    Such international isolation of literature of DPRK leads to ‘Juche Literature’and ‘Songun Literature’, making it even more difficult for exchange of literature with the outsid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