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조 세종대 문묘제례악에 대한 추고 (Study of the Memorial Music developed for the Confucian shrine during Joseon dynasty King Sejong's reig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09.01
34P 미리보기
조선조 세종대 문묘제례악에 대한 추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21호 / 337 ~ 370페이지
    · 저자명 : 정화순

    초록

    현행 한국문묘제례악은 1430년(세종12)에 조선조에서 새로 제작한 제사아악 가운데 일부로서 남아있다. 그런데 초기 제사아악의 구조로 볼 때, 현행 한국문묘제례악은 여러 면에서 모순점으로 의심되는 부분이 발견된다. 애초 세종대의 신제 제사아악에는 12종의 기본선율유형이 있고, 매 유형마다 12궁을 갖춤으로써 총 144곡의 방대한 규모를 이루고 있었다. 이는 곧 당시 추구해온 유가적 예악제도의 수립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제사의 종류, 의식절차, 주제자의 신분 등을 고려하여 각각 그 조건에 합당한 악곡을 선별 사용할 수 있는 예적 장치가 마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에 기하여 현행 문묘제례악의 모태인 세종대의 문묘제례악을 추고해 봄으로써 현행 한국문묘제례악에서의 모순점이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지 확인하여 보았다.
    그 결과, 현행 한국문묘제례악의 모순점이 극복되려면, ① 조선 전기 제례악의 전통을 따라서 등가에만 악장이 있게 해야 한다. ② 매 절차의 음악은 세종대의 신제 제사아악으로 대처함으로써 송신을 제외한 모든 절차에 오로지 영신곡을 연주하는 폐단이 일소되어야 한다. ③ 초헌에서 『세종실록』 「악보」의 정위와 4배위에 부르던 악장을 적용함으로써 정위 악장 한 가지만을 부르는 잘못을 바로잡아야 한다. ④ 문무퇴⋅무무진의 절차에는 당하악인 고선궁(영신악의 일종)을 연주하지 말고, 세종시기부터 통용되던 ‘서안지악’(『악학궤범』에 전함)으로 대처하여야 한다.
    이상의 개선안은 현행 한국문묘제례악에 내재해있는 여러 가지 모순들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은 될 수 있겠지만, 아악기의 연주는 실로 어려운 것이어서 고도의 음악적 훈련이 요구되기 때문에 실천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영어초록

    Korean memorial music for the Confucian shrine that is now observed today(韓國文廟祭禮樂) remains as part of the Memorial service Ah-ak music(祭祀雅樂) which was newly developed and established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in 1430(12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to be exact. Yet, considering the structure of this 'newly created' Memorial service Ah-ak music of the Sejong's era, the current Korean memorial music for the Confucian shrine shows some apparent contradictions, in many aspects. Originally, the Ah-ak music of the Sejong's era had 12 types of basic melody formats, and each format was equipped with 12 Gung/宮 units, resulting in a grand system of total of 144 music pieces in its collection. This had very much to do with the efforts of the people of the time to establish a Confucian institution of protocols and music. And this grand collection suggests that an ideal condition, in which the users would be able to find and select any musical piece that they deemed appropriate for various types of memorial services, found usable for a variety of procedures, and also considered suitable for the status of the conductor itself, was finally secured in terms of musical protocols. In this article, the Sejong era's newly created memorial music for the Confucian shrine, which practically gave birth to the current Korean memorial music for the same purpose, is examined in order to suggest ways of amending the contradictory aspects apparently existent in the current version.
    In order to remedy the problems of the current Korean memorial music for the Confucian shrine, several corrections should be made. ① Only the Deung-ga section should contain a musical piece, abiding by the traditions from the early half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② All music for the procedures and steps should be replaced with the Sejong era's newly established memorial music for the Confucian shrine, to eliminate the malpractice of playing the 'Yeongshin' music in every phases except the 'Songshin' phase. ③ During the first offering of a drink, the music that was played in Jeongwi and 4-Baewi phases(according to the 「Musical score」 in 『Annals of King Sejong's reign』) should be used, to rectify the wrongdoing of only playing the Jeongwi musical piece. ④ During the Munmu-twae․Mumu-jin phase, instead of the Goseon-gung piece(a 'welcoming spirit' type of music) which belonged to the Dang-Ha-ak category, the 'Seoan-ji-ak' that had been used since the Sejong era(recorded in 『Akhak Gwaebeom』) should be played.
    Suggestions made here could be considered as options to be used in resolving the contradictory aspects inside the current Korean memorial music for the Confucian shrine, yet playing the Ah-ak instruments is a truly difficult task and thus requires a high-level musical training, so it would be considerably difficult to pursue all these suggestions as viable solu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