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가야와 신라의 ‘國婚’과 ‘變服’의 함의 (The Implications of Daegaya and Shilla’s Royal Marriages and “Changing Clothe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3.04
31P 미리보기
대가야와 신라의 ‘國婚’과 ‘變服’의 함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57호 / 101 ~ 131페이지
    · 저자명 : 신가영

    초록

    이 글에서는 대가야와 신라의 ‘國婚’을 통해 양국 관계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국혼 과정에서 나타나는 신라 衣冠과 ‘變服’ 문제를 복식의 정치적 의미에서 분석하였다.
    6세기에 들어서면서 대가야는 백제와 신라의 위협에 직면하였다. 이에 대응하여 대가야는 신라에 국혼을 요청하였다. 대가야는 신라와의 국혼을 통해서 백제와 신라의 군사적 위협에서 벗어나 독자성을 유지할 수 있었지만, 신라와의 관계는 점차 신라에 복속되어 가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전근대 복식은 禮的 질서의 확립을 위해 활용된 수단이다. 신라 의관은 국혼의 성립 과정에서부터 논의된 주요 안건이었다. 대가야에 파견되었던 신라인들은 신라 의관을 착용하고 있었고, 대가야의 여러 지역에 배치되었다. 대가야왕에 의해 신라인들이 배치되었던 점을 고려한다면, 대가야가 신라의 대가야 잠식 의도를 알고 있었더라도 이들에게 일정한 임무를 부여하고 그 역할에 대해 기대했던 바가 있었을 것이다.
    이후 신라에서는 공식적으로 대가야에서 신라 복식으로 활동했던 신라인들을 통해 대가야에 대한 영향력 확대를 꾀하였고, 국혼 관계를 유지하면서 점진적으로 대가야를 흡수・병합하려고 했다. 이 과정에서 대가야인의 ‘變服’ 문제가 대두하게 되었다. 대가야인의 ‘變服’으로 인해 대가야 내부에 갈등이 생겼고, 대가야인들이 신라를 선택하게 되는 상황이 점차 늘어나게 되었다. 즉, 대가야인의 ‘變服’은 결국 신라가 가야 제국을 복속・통합하는 데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활용되었다. 대가야는 점진적으로 신라에 복속되었고, 562년에 최종적으로 소멸하게 되었다. 국혼 관계에서 나타나는 신라 의관과 ‘變服’은 신라가 가야 제국을 복속・통합하기 위한 조치 중의 하나였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develop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aegaya and Silla through the royal marriages conducted between them. Specifically, the symbolism of Silla's clothing and undergoing a “Changing Clothes” in the process of royal marriages is analyzed in terms of the political meaning of clothing.
    With the onset of the 6th century, the Daegaya faced threats from Baekje and Silla. In response to this struggle, Daegaya requested conducting royal marriages with Silla. These royal marriages helped Daegaya evade the military threats of Baekje and Silla, while also allowing Daegaya to maintain its independence. However, as a result, Daegaya’s status gradually developed into one of subjugation under Silla.
    During pre-modern times, clothing was used as a means to establish ceremonial rank. Silla clothing was an important issue that was discussed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royal marriage system. Many people from Silla were dispatched across various regions of the Daegaya, wearing the traditional clothing of the Silla. An important point to consider is that these individuals were dispatched under the command of Daegaya’s king. As such, even if the people of Daegaya had been aware of Silla's intention to encroach on their territory, the dispatched individuals would have been given certain tasks and would have been expected to fulfill them accordingly.
    Afterwards, the Silla sought to expand its influence on Daegaya through the Silla people who were officially active in Daegaya wearing Silla’s traditional clothing. Furthermore, Silla and Daegaya upheld the custom of royal marriages, as a means of the former’s attempt to gradually absorb and merge the land and people of Daegaya. It was through this process that the “Changing Clothes” of the Daegaya people became an important issue. Conflicts arose within Daegaya due to the noticeable changes in their fellow people, and there were increasing instances in which the Daegaya people chose Silla over their own identity. In other words, the transformation of Daegaya was effectively utilized in Silla's subjugation and integration of Daegaya and its people. Daegaya was gradually subjugated under the Silla, and finally disappeared completely in 562. Silla's clothing and “Changing Clothes” that appear in the national relationship were one of Silla's measures to subjugate and unify the Gay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