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과 터키 군례악(軍禮樂)의상호 비교를 통한 지도 방안 연구 -대취타(大吹打)와 메흐테르(Mehter)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s through the Comparison of Military Music between Korea and Turkey -Focusing on Daechwita and Mehter-)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1.02
43P 미리보기
한국과 터키 군례악(軍禮樂)의상호 비교를 통한 지도 방안 연구 -대취타(大吹打)와 메흐테르(Mehter)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악교육연구 / 15권 / 1호 / 95 ~ 137페이지
    · 저자명 : 이장원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취타와 터키의 군례악인 메흐테르를 비교방법론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학습 설계 절차를 모색해 보았다. 두 군례악을 상호 비교하는 이유는 서로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해 보면서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 음악 문화의 진정한 가치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학교 현장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터키 음악을 제시하여 다양한 국가의 음악 문화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교육 여건을 마련하는 데 있다.
    먼저, 교과서에 수록된 메흐테르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면서 문제점과 개선책을 제시했다. 메흐테르에 관한 지도 내용은 소략할 뿐 아니라 악기의 명칭과 음악에 관한 해설 등이 명확하지 않다. 그 이유는 현재까지 메흐테르 관련 내용을 수록한 이론서에 일부 오류가 많으며 교육적으로 접근한 연구 사례가 없기 때문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대취타와 메흐테르를 비교 분석해 볼 수 있도록 음악의 특징을 분석하여 고찰했다. 더불어 지도 악곡으로 ‘대취타’와 ‘옛 군대의 행진(Eski ordu marsi)’을 선정하여 감상, 표현, 생활화 영역의 순으로 학습 설계 절차를 구성했다. 감상 영역에서는 먼저 미술 및 문학작품과 연계한 역사․문화적 접근을 통하여 과거 행했던 대취타와 메흐테르의 연주 형태와 쓰임을 파악하도록 했다. 선정 악곡의 감상 활동에서는 악기편성과 악기의 음색을 파악해 봄과 동시에 차이점을 분석해 보도록 했다. 표현 영역에서는 각 군례악을 상징하는 타악기 용고와 다불을 연주해 보면서 음악의 장단(리듬)과 표현적 특징을 체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생활화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영상미와 구성이 뛰어난 메흐테르 연주 영상을 살펴본 후 현재 활용되고 있는 대취타 연주 영상의 개선책을 모색하도록 하였다. 이를 토대로 홍보 동영상을 기획해 우리 음악의 우수성과 가치를 이해하고 자긍심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취타와 메흐테르만을 연구 대상으로 제한하였으므로 아시아 음악의 전반적인 특징을 지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앞으로도 민족 음악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서 타국의 문화에 대한 세세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 음악 문화를 제대로 비교하여 교육할 수 있는 여건이 꾸준하게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a learning design procedure that can teach Daechwita and Mehter, Turkish military music, based on a comparative methodology. The reason for comparing the two military music pieces i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two, to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and to guide students to understand the true value of Korean music culture. In addition, by presenting Turkish music, which is not well known in the classroom, it is to provide an educational environment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music cultures of various countries.
    First, after examining the contents of Mehter contained in textbooks,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suggested. The instructional content on Mehter presented in the textbook is abbreviated, and the names of instruments and explanations on the music are not clear. The reason is that there are many errors in the theory books containing the contents of Mehter, and there are no educationally approached research case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were analyzed and examined so that Daechwita and Mehter could be compared and analyzed. In addition, “Daechwita” and “An old army march”(Eski ordu marsi) were selected as instructional songs, and the learning design procedure was composed in the order of the area of appreciation, expression, and application in daily life. In the area of appreciation, through a historical and cultural approach in connection with art and literary works, students are guided to understand the performance form and use of Daechwita and Mehter performed in the past. In the activity of appreciating the selected music, students are instructed to identify the instrumentation and the tones of instruments, analyze the difference, and then understand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In the area of expression, students are instructed to learn firsthand the jangdan(rhythmic cycle)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music by playing the percussion instruments, Yonggo and Davul, each of which symbolizes respective military music. In the area of application in ​​daily life, students are guided to examine a performance video clip of Mehter, which is relatively excellent in visual aesthetics and formation, and to find ways to improve a performance clip of Daechwita playing that are currently being used. Based on this, a promotional video is plann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excellence and value of Korean music and increase their self-pride.
    As this study limited only Daechwita and Mehter the research subjects, there is a limit to teaching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Asian music.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the condition for educating through proper comparative studies of Korean music culture will continue to be prepared, based on a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cultures of other countries with active research on ethnic mus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악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