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반론 대아시아주의: 쑨원 ‘대아시아주의론’의 형성과정 연구 — 안중근 ‘동양평화론’과의 이론적 연계를 중심으로 (Counterarguments to Pan-Asianism: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Sun Yat-sen’s ‘Pan-Asianism’—Focusing on the theoretical connection with Ahn Jung-geun’s ‘Oriental Peac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4.04
31P 미리보기
반론 대아시아주의: 쑨원 ‘대아시아주의론’의 형성과정 연구 — 안중근 ‘동양평화론’과의 이론적 연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72호 / 156 ~ 186페이지
    · 저자명 : 역사첩

    초록

    안중근의 ‘동양평화론’과 쑨원의 ‘대아시아주의론’은 1910년대부터 1920년대에 걸쳐 일본의 패권적 대아시아주의에 대한 반론이다. 이 두 이론은 단순한 ‘친일’ 및 ‘반일’의 이분법을 넘어서 자민족의 주체성 확립, 타민족과의 연대, 그리고 동아시아 내의 평화적 공존을 중시하는 관점을 제시했다. 이는 안중근과 쑨원의 이론이 19세기에 형성된 여타 동아시아 공동체 담론과는 별개의 독특한 유사성을 지니며 구분되는 점을 시사한다.
    이들의 이론적 실천은 일본이 제시한 ‘동양/동아시아’에 관한 이론에 대한 대안적 모색의 하나로서, 특히 조선의 독립운동과의 관계에서 두드러진 연계성 및 일치성을 드러냈다. 안중근이 동양평화론을 통해 조선의 독립을 강력하게 호소했듯이, 쑨원 역시 조선의 독립운동을 아시아 약소민족의 해방과 세계 평화의 핵심 요소로 간주하였다. 쑨원은 『民報』 등 국민당 기관지를 통해 안중근의 사상과 조선의 독립운동을 홍보했으며, 다이지타오를 매개로 조선 문제에 직접적인 관심을 나타냈다. 1924년에 발표된 ‘대아시아주의강연’은 조선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며, 일본의 식민주의 대아시아주의 이론에 대한 대안적 접근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한국과 중국이 조선의 독립 문제에 있어 공통된 관심사로 연결되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안중근과 쑨원 사이의 이론적 연계성을 탐구하며, 특히 국민당 이데올로그인 다이지타오가 이러한 연계성을 가능하게 한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한다. 다이지타오와 쑨원의 조선 독립운동에 대한 견해는 상당한 일치를 보였다. 다이지타오는 조선과 일본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지며, 조소앙을 포함한 한국 독립운동가들과의 직접적인 교류를 통해 쑨원의 이론적 토대 형성에 기여했다.

    영어초록

    Ahn Jung-geun’s ‘Oriental Peace’ and Sun Yat-sen’s ‘Pan-Asianism’ served as rebuttals to Japan’s hegemonic Pan-Asianism from the 1910s to the 1920s. These theories transcended the simple dichotomy of pro-Japanese and anti-Japanese sentiments, proposing a perspective that emphasized the establishment of self-identity among nations, solidarity with other nations, and peaceful coexistence within East Asia.
    Their theoretical practice highlighted a notable connection and consistency with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s an alternative exploration to Japan’s ‘East/Oriental Asian’ theories. Just as An Jung-geun strongly advocated for Korea’s independence through his theory of East Asian peace, Sun Yat-sen regarde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s a crucial element for the liberation of Asia’s weaker nations and world peace.
    This study explores the theoretical connectivity between An Jung-geun and Sun Yat-sen, particularly analyzing Dai Ji-tao, a Nationalist Party ideologue, as a critical factor enabling this connectivity. Dai Jitao’s views o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closely matched those of Sun Yat-sen. Dai Ji-tao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Sun Yat-sen’s theoretical foundation through direct exchanges with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