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종대 臺諫 避嫌의 증가와 그 의미 (Increase in the Remonstration officers' "Pi'hyeom" actions during King Seongjong's reign, and its Meaning)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2.09
37P 미리보기
성종대 臺諫 避嫌의 증가와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62호 / 173 ~ 209페이지
    · 저자명 : 송웅섭

    초록

    본고는 조선 성종대 대간의 피혐이 크게 증가하는 현상에 주목하여, 피혐 증가의 맥락과 그것이 가지고 있는 정치적 의미에 대해 검토한 논문이다. 성종대는 국왕과 재상들의 국정 운영에 대한 독점력이 약화되는 가운데 언론이 활성화 될 수 있는 기본적인 여건이 조성되고 있었고, 그와 더불어 다양한 언론관행들이 정착되어 대간의 언론은 안정적으로 제기될 수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간은 자신들만의 독특한 피혐 방식을 또 하나의 관행으로 정착시키며 자신들이 제기하는 언론이 公論으로서의 위상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었다.
    대간의 적극적인 피혐 활동은 기본적으로 ‘臺諫非常員’의 입장에서 대간으로서의 淸望을 지키고자 하는 노력 가운데 이루어지고 있었다. 즉 대간의 피혐은 ‘자신에 대한 혐의 제기’ㆍ‘상피 사례 발생’과 같은 일반적인 피혐 외에도, 대간에서 제기한 간쟁이 논박을 받거나 자신들과 다른 입장이 표명되어 체모에 손상을 입었다고 판단될 경우, 동료들과 의견 충돌이 발생할 경우에도 피혐을 요청하고 있었다. 또한 동료들과의 의견 조율이 실패하여 제기된 피혐에 대해서는 국왕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체직되기를 희망하였으며, 동료들 가운데 같은 의견을 제기하다가 처벌을 받게 되는 경우에도 그들을 구호하기 위해 피혐을 제기하여 연대의식을 고취시키고 있었다.
    대간의 피혐이 증가함에 따라 조정에서는 국정 운영과 정책 집행에 있어서 시비 문제에 그만큼 민감해지면서 무엇에 근거해서 시비가 결정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대간 피혐의 증대는 다른 언론관행들과 더불어 조선의 국정 운영이 公的인 기준에 입각한 도덕적 정치문화를 구축하는데 일조하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re was a noticeable increase in the remonstration office' "Pi'hyeom(피혐)" actions during King Seongjong's reign. This "Pi'hyeom" practice, which could be interpreted as an act of 'Addressing charges,' refers to an action in which a governmental official would acknowledge the fact that a charge or accusation was filed against him, and take an 'appropriate' action such as filing a resignation or requesting a transfer, sometimes admitting their own misconducts while sometimes pleading their innocence. At the same time, there were also other ordinary situations in which a possibility of a 'conflict of interest' problem is noted, and the removal of the presence of a particular official from the situation is suggested. 'Pi'hyeom' actions were taken at those occasions as well. Examined in this article, is why there was an increase in occasions of this particular practice in the first place, and what was the political meaning of that increase.
    In the reign of King Seongjong, the King and the ministers' control over the government was weakened, and the environment for more active remonstrations was being formed. Various forms of remonstrations and expostulations were established, and their activities became not only more stable but also more consistent. And in the wake of all those changes, the remonstration officers came to establish their unique "Pi'hyeom" practice as a new customary practice inside the government. By activating such practice, they were trying to provide their own remonstrations with dignity and status worthy of a 'public, impartial and just opinion("Gong'ron, 公論").'Primarily, the remonstration office' active raising of 'Pi'hyeom' was also intended to preserve their reputation as "Officers of Integrity("Cheong'mang, 淸望")," as their position was not that 'permanent(or resident)' in the government, being designated as "Irregular members of the government(‘臺諫非常員’)." And aside from ordinary Pi'hyeom instances which would normally include accusation situations or above-mentioned 'conflict of interest' issues, remonstration office would resort to Pi'hyeom actions when the remonstrations they offered were rebutted, or when they felt their dignity was damaged by such rebuttals or even opinions which were different from their own, or when a clash of an opinion occurred between colleagues or fellow remonstration office. In case an effort to hammer out a compromise would eventually fail, in usual they would request a transfer even with the king's repeated persuasion to stay. Also, when a fellow remonstration officer would file an opinion, which other remonstration officers happened to share, and summarily be punished as a result of that remonstration, the other fellow officers would take Pi'hyeom actions as sort of a 'relief aid,' and strengthened their own feeling of solidarity in the process.
    With the number of Pi'hyeom instances increasing, the government became more and more conscious of such "controversy(‘Shibi, 是非’)" matters, and became keenly interested in determining what kind of standards should be abided by in the resolving of such controversies in the process of governmental operations and policy implementations. In that regard, the increase of Pi'hyeom occasions, along with other remonstration practices, enabled the Joseon society to develop a more moral political culture, based upon public and official standar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