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조대 戊申亂 관련 邊山賊의 성격 (The Feature of Byeonsan Bandits related to Musin Revolt under King Youngjo)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6.05
35P 미리보기
영조대 戊申亂 관련 邊山賊의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報 / 63호 / 241 ~ 275페이지
    · 저자명 : 문경득

    초록

    戊申亂은 영조 4년(1728)에 경기・충청도・전라도・경상도에서 일어난 반란이다. 반란의 성격에 대해 당쟁의 연속선상에서 일어난 정치적 반란으로 보는 시각과 ‘明火賊’을 비롯해 다양한 계층의 민중들이 참여한 반란으로 보는 해석이 있다. 이중 ‘邊山賊’의 성격과 가담여부는 무신란 성격 규명에 있어 주요 쟁점이다. 기존 연구에서 변산적은 일반적으로 ‘도적무리’의 의미로 보고 있는데, ‘역적무리’로 해석할 여지도 존재한다. 게다가 해석에 앞서 사실의 문제가 있다. 변산적에 관한 주요 사료가 피의자의 진술인데 조선시대에는 刑訊이 가능했으므로 고문에 이기지 못하고 허위자백했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변산적에 관한 주요 진술을 검토하여 변산 도적무리의 실재 여부와 무신란과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변산적의 성격이 변산의 역적무리라고 한다면, 실제 관련된 사람들은 누구인지 밝혔다. 먼저 변산 도적은 실재 여부를 검토하였다. 호남별견어사 이광덕의 보고에 따르면 변산적에 대한 과장된 소문이 있었으나 실은 좀도둑들만 존재한다고 한다. 실제로 체포되어 조사받은 변산 도적 3인의 진술을 검토한 결과 이들은 반란모의와 연관이 없었다. 또한 다른 무신란 관련자들의 진술은 그들은 변산 도적에 대해 잘못 알고 있던 내용을 진술한 것에 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변산 도적의 지도자로 알려진 鄭八龍에 대한 진술들도 변산 도적과 관련이 없었으며, 정팔룡은 경상도의 정희량이나 경기도의 정세윤을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변산의 도적은 실재했으나, 무신란과는 관련이 없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변산적은 역적무리임이 유력해졌다. 이에 먼저 변산도적과 결탁한 지역의 토호로 알려진 金守宗과 金守亨이 반란에 가담하였는지 분석하였다. 그러나 高應良과 姜渭徵의 진술 등을 검토한 결과, 김수종과 김수형은 변산적과 관련이 없었다. 반면 전라감사 이광덕은 평교에 집결했던 반란군과 반란 준비에 관여한 송하 패거리가 변산적이었다고 보고했다. 무신란 이후 조정의 논의를 살펴봐도 평교에 집결한 반란군이 변산적으로 거론된다. 따라서 무신란과 관련된 변산적은 변산의 역적무리로, 평교에 집결한 반란군과 반란 모의에 가담했던 송하 패거리였다. 결론적으로 변산적을 변산의 도적무리라고 보고, 이를 전제로 무신란의 성격을 정의하는 것은 재고되어야 한다. 변산적은 변산의 역적이었으며 이들은 박필현, 이인좌, 정희량처럼 신분과 당색이 뚜렷하지 않았으므로 당쟁의 연속선상에서 일어난 사건이라 보기 어렵다. 따라서 전라도지역 무신란의 성격도 재해석할 여지가 있다.

    영어초록

    Musin Revolt(戊申亂) was the revolt which occurred in Gyungi, Chungchung-do, Jeolla-do and Gyungsang-do in the 1728. Some people think of its feature as a political revolt while others regard its feature as the one in which people from various class including plunderers participated. It can vary based on the feature of Byeonsan bandits(邊山賊) and their participation in Musin Revolt. Existing researches have regarded Byeonsan bandits as a group of thieves, but there is room for interpreting it as a group of traitor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of historical facts prior to the interpretation. The major historical records of Byeonsan bandits were from the statements of the accused. But they may have made a false confession by torture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So this article reviewed major statements about Byeonsan bandits and confirmed whether a group of Byeonsan thieves really existed and whether it was related to Musin Revolt. And it revealed who the actual participants were when we assumed that the feature of Byeonsan bandits was the group of Byeonsan traitors.
    Early studies about Musin Revolt didn't refer to Byeonsan bandits. Since 1980s, studies have thought that groups of thieves were involved in the revolt or that groups of thieves were been in collusion with landed gentry. This point of view remains as it was, regardless of the viewpoint difference about the feature of Musin Revolt.
    Then were Byeonsan thieves real? According to the reports of Lee Gwang-deok, a Honam royal emissary, although there were rumors about Byeonsan thieves, in fact there were only petty thieves in Byeonsan. Actually, the statements of 3 Byeonsan thieves, who were arrested and questioned, showed that they didn't participate in preparing for the Revolt. Also the statements of other parties concerned showed that they just stated the things which they misknow.
    The statements about Jeong Pal-ryong(鄭八龍) known as the leader of Byeonsan bandits were not related to it. He seemed to refer to Jeong Hui-ryang from Gyeongsang-do or Jeong Se-yun from Gyeonggi. Therefore Byeonsan thieves were real, but it wasn't related to Musin Revolt.
    Through the discussion above, it became certain that Byeonsan bandits were a group of traitors. First of all, it was analyzed whether Kim Su-jong(金守宗) and Kim Su-hyeong(金守亨), known as landed gentry in collusion with Byeonsan bandits, were involved in the revolt. But, based on the statements of Go Eung-ryang and Gang Wi-jing, it was found that Kim Su-jong and Kim Su-hyeong were not related to the Musin Revolt. Lee Gwang-deok, the governor or Jeolla-do, reported that the traitors gathering in Pyunggyo and Song Ha clique involved in its preparation were Byeonsan traitors. Also the traitor forces gathering in Pyeonggyo were referred to as Byeonsan traitors in the government conference after Musin Revolt.
    Therefore Byeonsan bandits related to Musin Revolt were a group of traitors in Byeonsan and were the traitor forces gathering in Pyeonggyo and Song Ha clique involved in the preparation for the revolt.
    In conclusion, Byeonsan bandits should be regarded as groups of thieves in Byeonsan, and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at the feature of Musin Revolt is defined based on this. It is thought that Byeonsan bandits were the traitors in Byeonsan and were landed gentry and merchants in Jeolla-d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