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90년대 한국연극사의 전통담론 연구 (A Study on Tradition Discourses in Korean Modern Drama during 1990s)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07.04
52P 미리보기
1990년대 한국연극사의 전통담론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극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극예술연구 / 25권 / 165 ~ 216페이지
    · 저자명 : 백현미

    초록

    1990년대 전통에 대한 논의가 생산, 소비, 동원, 억압되는 구조적 조건에 주목하면서, 이 시기 전통담론의 주체와 대상, 인식상의 특징을 밝히고자 했다.전통담론의 주체로는 (국)문학계나 민속학계에 속한 학자들, 정부의 전통문화 정책입안자들, 연극학자와 평론가들을 주목했다. 1990년대에는 이 전통담론 주체들 간의 상호교류가 그 어느 때보다 일상화되었으며, 상호영향력도 증가했다. 담론의 대상으로 공히 주목을 끈 것은 동아시아의 유교적 전통문화였다. 동아시아 전통문화에 대한 비교연구가 증가했고, 궁중문화 및 사대부 문화의 복원사업이 활성화되었으며, 유교문화 코드를 연극적 장치로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면서 ‘아시아적 가치론’과도 조응했다.문화의 세계적 유통이 활성화되면서, 한국 전통연희를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인식하는 논의들이 펼쳐졌다. 김동욱과 조동일을 중심으로 한 학계의 보편성 논의와 연극계의 포스트모던연극론 및 문화상호주의론이 그것이다. 마당극, 창극, 여성국극, 마당놀이 등과 관련된 논의에서는 세계와의 관계성보다는 그 독자성이 배타적으로 강조되는 경향을 띠었다.

    영어초록

    The concept about tradition has changed with transition of the society. In this study, I revolved over tradition discourses brought in Korean modern drama during 1990s, considering the subjects, the objects. the connection with culture theories.
    As cold war tensions had eased after the end of 1980s, the economic globalization and cultural globalization became general. The tradition recognition during 1990s was prevalent in the global world, and new culture theories such as asian-value theory, postmodernism, inter-culturalism were introduced.
    There were many subjects discussing what would be valuable traditional performance and how they could be recreated. I grouped them into three, such as scholars specializing traditional culture, the culture policies of government, and theater critics. Mutual interchange and influence among those subjects became usual during 1990s, in contrast to those subjects often had been mutually exclusive until 1980s.
    The unique object given attention by subjects during 1990s was the confucian culture. Scholars focused on not only Gut, Pansori, and various rituals but also Confucian traditional culture. The culture policy of Korean government stressed on restoring and cultivating Confucian culture. Theater critics also discussed using confucian tradition as a new recreation of tradition in the writer-director Lee Yun Taek's works.
    Asian value theory focusing on modern value of Asian tradition performance became more reasonable, with the rapid increase of cultural interchange between Korea and other Asian countries. Postmodernism gave the perspective in recreating tradition as a sort of modernity, overcoming the west-oriented modernity. Inter-culturalism also was scrutinized in the end of 1990s. That was compared with culture-nationalism and culture-imperi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3 오전